디어젠-이플라스크, AI 활용 신약개발 공동연구 협약 체결
인공지능(AI) 신약 개발 전문기업 디어젠이 신약개발 바이오벤처 이플라스크와 인공지능을 활용한 신약 개발 공동연구 협약을 체결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디어젠과 이플라스크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후보물질(Hit Compound) 발굴 및 검증 ▲선도물질 (Lead Compound) 최적화 ▲이후 상업화 연구개발 등의 범위에서 공동연구를 진행하게 된다. 이플라스크는 신풍제약의 지주회사인 송암사에서 2020년 설립한 신약 연구개발 전문 회사로 퇴행성 질환 및 말초, 감각기관 관련 질환 등 삶의 질 개선과 관련된 파이프라인을 구축하고 있다. 이플라스크 강경구 대표는 동아에스티 출신의 신약 개발 전문가로, 동아에스티 연구본부에서 30년 가까이 전임상 연구부터 의약 평가 연구까지 신약개발연구전반에 대한 풍부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그 외에도 약리독성, 임상개발, 사업개발 등 분야별 신약 개발 전문가들로 구성돼 오픈이노베이션(Open Innovation)과 연구개발효율의 극대화를 통 2021.07.01
에이디엠바이오사이언스, 유바이로직스와 패치형 코로나19 백신 개발 MOU 체결
천연 DNA를 소재로 유효물질을 인체 내로 전달할 수 있는 용해성 마이크로니들 기술을 연구개발해 온 에이디엠바이오사이언스는, 국내 백신기업인 유바이오로직스와 차세대 코로나 예방백신 공동개발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양해각서는, 양사가 보유하고 있는 후보물질과 기술을 적용해 보다 안전하고 유효하며, 보관도 용이한 차세대 피부 부착형 코로나19 백신개발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양사간 협력하는 것이다. 유바이오로직스 최석근 공동대표는 "현재 당사는 유전자재조합 항원을 이용한 코로나 예방백신(유코백-19)으로 임상 2상을 진행 중이며, 동일한 백신성분을 천연 연어 DNA를 사용하여 제조한 나노마이크로 DNA 니들 담체를 통해 패치타입으로 적용하는 시험에서도 좋은 연구결과가 기대돼 업무협약을 맺게 됐다"고 말했다. 기존의 근육 주사 형태의 백신들을, 일회용 주사기를 사용하지 않고 간편하게 피부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대체하는 차세대 백신기술은 세계보건기구(WHO)의 권 2021.07.01
[슬립테크] 잠 못자면 치매 위험 높지만 노인 대부분이 수면장애 동반…잘 자면서 치매 예방하는 방법은?
7월 9일 대한수면학회 특별세미나 코엑스D홀 내 컨퍼런스룸 ①11:00~11:20 청소년의 잠과 뇌, 그리고 학습-김혜윤 가톨릭관동의대 국제성모병원 신경과 교수 ②11:20~11:40 치매를 예방하는 수면습관-신원철 강동경희대병원 신경과 교수 ③13:30~13:50 우리 아이의 심한 이갈이 이야기-김성택 연세대 치과병원 구강내과 교수 ④13:50~14:10 수면 중 잠꼬대와 다리경련, 적절한 진단과 치료- 신정원 차의대 분당차병원 신경과 교수 ⑤14:20~14:40 수면제, 안전하게 사용하기-정석훈 서울아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⑥14:40~15:00 약 없이 해결하는 불면증-서수연 성신여대 심리학과 교수 ⑦15:10~15:30 수면호흡장애가 우리 건강에 미치는 영향-김상하 원주세브란스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⑧15:30~15:50 야간 빈뇨의 원인과 치료-이중식 의정부 을지대병원 비뇨의학과 교수 ⑨16:00~16:20 우리 남편 심한 코골이/수면무호흡증 건강보험으로 수면검사 진단 받 2021.07.01
사노피 프랄런트, 6월 7일부터 건강보험급여 적용으로 환자들의 접근성 높아져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 사노피(Sanofi)의 한국법인인 사노피-아벤티스 코리아가 원발성 고콜레스테롤혈증 및 혼합형 이상지질혈증과 죽상경화성 심혈관계 질환 환자의 지질치료에 허가된 PCSK9억제제 프랄런트(성분명 알리로쿠맙)의 건강보험급여 출시를 기념하는 기자간담회를 30일 온라인으로 열었다. 이 날 기자간담회에서는 '심혈관 질환 고위험군 환자의 지질 관리를 넘어선 새로운 치료 전략'을 주제로 계명의대 심장내과 남창욱 교수와 사노피 메디컬팀 김한아 실장이 각각 발표를 진행했다. 남 교수는 '심혈관 질환 고위험군 환자 대상 프랄런트의 주요 임상결과와 향후 과제'에 대해 발표했다. 남 교수는 "한국인 대상 임상시험인 오디세이 KT(ODYSSEY KT)에서 프랄런트 치료군은 24주 째에 LDL-C 수치를 기저치 대비 65.7% 감소시켰으며 92%의 환자에서 LDL-C 수치를 70mg/dL 미만으로 낮춰 위약군 대비 우수한 LDL-C 감소효과를 나타냈다"고 말했 2021.06.30
에이비엘바이오, ABL111 미국 임상 1상 투약 개시
이중항체 전문기업 에이비엘바이오가 이중항체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ABL111(Claudin18.2 X 4-1BB)의 미국 임상 1상 시험의 첫 환자 투약을 완료했다고 30일 밝혔다. 첫 투약을 진행한 캐롤라이나 바이오온콜로지(Carolina BioOncology Institute) 존 파우덜리(John Powderly) 박사는 "클라우딘18.2와 4-1BB를 타깃하는 세계 최초의 임상단계 이중항체인 ABL111의 첫 투약을 성공적으로 실시하게 돼 기쁘다"고 말했다. 에이비엘바이오와 글로벌 파트너사 아이맵(I-Mab Biopharma)은 미국 내 다수의 임상 연구기관에서 용량증량(dose escalation) 코호트에서는 최대 48명의 고형암 환자를 모집할 계획이며 용량확장(dose expansion) 코호트는 최대 60명의 위암, 식도암 및 췌장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ABL111의 단독요법에서의 내약성, 안전성, 예비 항암 유효성 등을 평가할 계획이다. ABL111의 중국 권리를 보유한 2021.06.30
알테오젠, 브라질 크리스탈리아와 지속형 인성장호르몬 글로벌 소아용 임상 2·3상 진행 준비 완료
알테오젠이 인도에서 시행한 소아용 지속형 인성장호르몬(ALT-P1)의 성인 대상 반복 투여 고용량 안전성 시험에서 안전성을 확보했다고 30일 밝혔다. 알테오젠은 1월에 인도에서 IGF-1이 저하된 성인을 대상으로 글로벌 임상 1b를 시작했다. 이 임상은 향후 브라질 크리스탈리아에서 수행할 소아 대상의 임상 2, 3상을 위한 적정 용량 및 부작용을 모니터링 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한 것이다. 이번에 IGF-1이 저하된 성인 40명을 대상으로 ALT-P1을 0.2㎎/㎏, 0.4㎎/㎏, 0.6㎎/㎏, 0.8㎎/㎏의 4개 용량군에서 1주 간격으로 총 6회를 투여했으며 대조군으로 매일 주사하는 성장호르몬인 노르디트로핀(Norditropin)을 투여해 IGF-1의 변화를 관찰했다. 임상 결과 ALT-P1 0.4㎎/㎏과 0.6㎎/㎏ 투여 군 사이에서 일일(daily) 성장호르몬의 투여에 의한 IGF-1 변화 추이와 유사한 실험결과를 얻었다. 또한 ALT-P1의 반복 투여에 의한 약물 부작용은 특 2021.06.30
클래리베이트, 2021년 출시 예정 블록버스터급 신약 후보 4개 발표
클래리베이트가 2021년 시장에 출시되거나 주요 적응증을 추가할 예정인 의약품들 중 2025년까지 블록버스터급 판매고를 달성할 것으로 예상되는 제품들을 선정한 연례 '블록버스터 신약(Drugs to Watch)' 목록을 30일 발표했다. 올해 블록버스터 신약 목록 및 분석 결과는 알츠하이머병과 전립선 암 및 울혈성 심부전 등 만성 진행성 질환임과 동시에 대개 신경쇠약 질환에 해당되는 질병에 대한 치료법에 초점을 맞췄다. 클래리베이트는 이미 승인을 받았거나 곧 승인받을 예정인 새로운 의약품 및 생물학적 제제들 중 향후 5년 이내에 10억 달러 이상의 연 매출액을 기록해 블록버스터급 판매고를 달성할 것으로 예상되는 치료제로 아두카누맙과 비메키주맙, 렐루골릭스, 베리시구아트 등 4개를 선정했다. ①아두카누맙(Aducanumab) 아두카누맙은 현재 전세계 약 5000만명의 환자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알츠하이머병에 대한 약전을 구축하기 위한 싸움에서 잠재적인 게임 체인저로 여겨진다. 아두 2021.06.30
모더나,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 중화 작용 데이터 추가 발표
모더나(Moderna)가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마친 피험자들의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활동성을 보여주는 시험관 중화 실험 결과를 29일(현지시간) 발표했다. 모더나 백신 접종자들은 추가적인 베타 변이(B.1.351. 남아프리카에서 첫 확인), 카파(B.1.617.1)와 델타 변이(B.1.617.2) 포함한 B.1.617(인도에서 첫 확인)의 3개 계통 변이, 에타 변이(B.1.525. 나이지리아에서 첫 확인), A.23.1(우간다에서 첫 확인), A.VOI.V2 변이(앙골라에서 첫 확인)를 포함한 모든 변이 바이러스에 대해 중화 역가를 형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데이터는 의학 관련 논문 사이트인 BioRxiv에 제출됐다. 모더나 스티븐 방셀 최고경영자(CEO)는 "팬데믹을 퇴치하려면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능동적 대처가 중요하다. 모더나는 새롭게 등장하는 변이를 연구하고, 데이터를 생성하고, 공유하는데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면서 "새로운 데이터는 매우 고무적이며, 모더나 2021.06.30
일리아스바이오로직스, 엑소좀 치료제 핵심 원천기술 일본·중국 특허 등록
일리아스바이오로직스가 엑소좀 기반 치료제에 대한 핵심 원천기술인 EXPLOR(Exosome engineering for Protein Loading via Optically Reversible protein-protein interaction)의 일본과 중국 특허 등록을 완료했다고 30일 밝혔다. EXPLOR 기술은 한국과 미국에서 이미 특허를 취득했고, 이번 일본과 중국 특허 등록을 통해 일리아스는 세계 헬스케어 시장에서 중요하게 평가되는 거의 모든 주요 국가들에서 EXPLOR에 대한 특허를 확보하게 됐다. EXPLOR는 빛에 의해 결합하는 단백질 모듈을 이용하여 엑소좀 내부에 고분자량의 약리 단백질을 능동적으로 탑재하는 제 4세대 엑소좀 기술이다. 기존의 엑소좀 기술은 고분자 단백질을 엑소좀 외부에 탑재하거나 내부에 탑재하더라도 내막과 연결돼 단백질의 치료 효능이 떨어지는 것이 한계로 지적돼 왔다. EXPLOR는 치료용 단백질을 엑소좀 표면막 또는 내막에 연결되지 않은 자유 형태 2021.06.30
셀트리온, 코로나19 항체 치료제 '렉키로나' 유럽 유망 코로나19 치료제 선정
셀트리온은 코로나19 항체 치료제 '렉키로나'가 유럽엽합 집행위원회(EC)로부터 유망한 코로나19 치료제로 선정됐다고 30일 밝혔다. EC는 유럽지역 전체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유망 코로나19 치료제 5개를 선정해 발표했다. EC에서 코로나19 관련 유망 치료제를 선정해 발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EC는 셀트리온 렉키로나를 포함해 유럽의약품청(EMA)에서 롤링리뷰(Rolling Review, 허가신청 전 사전검토 절차)를 진행 중인 항체 치료제 4종과 시판 중인 면역억제제 1종 등 총 5개 치료제를 유망 치료제로 선정했다. EC는 이번 유망 치료제 선정과 관련해 백신 접종이 빠르게 진행되는 상황에서도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사라지지 않아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제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유망 치료제를 추가적으로 확인하는 한편, 유럽 전역에서 사용 가능한 최소 3개의 치료제를 오는 10월까지 승인하고 연말까지 총 5개의 치료제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셀트리온은 2021.06.3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