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립테크] 스마트 침대로 코로나19 예측할 수 있을까…슬립넘버, 리얼월드 데이터 발표
대한민국꿀잠프로젝트, 슬립테크 2021 한국수면산업협회와 메디씨앤씨(메디게이트)가 주최하고 메디게이트뉴스와 팀마이스가 주관하는 '대한민국꿀잠프로젝트' 슬립테크2021 수면산업전시회가 오는 2021년 7월 8일(목)~10(토) 기간 중 서울 삼성동 코엑스 3층 D홀에서 개최됩니다. '슬립테크2021'을 통해 수면건강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대한민국 수면산업 성장에 일조하고자 하니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①중년여성, 수면제 1·2년 장기 복용 효과 없어 ②단 하루만 수면 부족해도 뇌 대사 노폐물 제거 기능 손상 ③양압기, 수면 무호흡증 환자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 44%↓ ④어린이 수면장애, 신체발달과 행동·정서 모두 악영향 ⑤귀에서 얻은 수면데이터, 합병증 예측 바이오마커 가능성 ⑥스마트 침대로 코로나19 예측할 수 있을까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미국 침구 기업인 슬립넘버(Sleep Number)가 '360 스마트 침대'에 대한 대규모 리얼월드 데이터 2건을 발표했다. 하나는 2021.06.18
면역력 낮은 장기이식 환자, 코로나19 백신 추가 접종 시 항체 생성 증가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장기이식을 받은 환자는 신체가 이식된 장기를 거부하지 않도록 면역억제제를 복용하기 때문에 면역 체계가 약하다. 미국 존스홉킨스의대(Johns Hopkins School of Medicine) 연구팀이 3월 미국의사협회지(JAMA)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장기이식을 받은 환자에서는 화이자/바이오엔텍(Pfizer/BioNTech) 및 모더나(Moderna)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받은 뒤 항체 생성률이 17.4%에 그쳤다. 그러나 같은 연구팀이 최근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으로 강력한 면역반응을 일으키는데 실패한 장기이식 환자에서도 백신을 추가로 투여하면 면역력이 높아질 수 있다는 새로운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미국 존스홉킨스의대 도리 세게프(Dorry L. Segev) 박사팀이 mRNA 기반 코로나19 백신 2회 접종을 마친 장기이식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1회 추가 접종한 사례를 분석한 결과가 15일(현지시간) 내과학회보(Annals of Internal 2021.06.18
셀레믹스, 글로벌 임상 유전체 분석기업 스트랜드와 파트너십 계약 체결
바이오소재 기술기업 셀레믹스가 생물정보학(BI, Bioinformatics) 분석 파이프라인 고도화를 목적으로 스트랜드 라이프 사이언스(Strand Life Sciences)와 전략적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스트랜드 라이프 사이언스는 2000년 설립된 회사로, 미국 내 임상검사실을 운영할 수 있는 미국병리학회(CAP, College of American Pathologists)인증을 획득하며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국립보건원(NIH) 등 정부기관과 화이자, 존슨앤드존슨, 일루미나, 애질런트 등 글로벌 기업들을 상대로 110여개의 의약품에 관해 8만회에 이르는 임상실험 서비스를 제공한 최고 수준의 임상 유전체 분석 및 정밀의료 솔루션 기업이다. 최근 환자별 맞춤형 치료를 제공하는 정밀의료가 새로운 의료 패러다임으로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정밀의료를 위한 유전자 분석 뿐만 아니라 그 분석결과를 임상적으로 해석하는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현직의 임상의들이 2021.06.17
박셀바이오, 국제세포치료학회서 Vax-NK/HCC 치료 효능 발표
항암면역치료제 개발 기업인 박셀바이오가 28일 ‘국제세포유전자치료학회(ISCT) 2021 연례회의’에서 진행성 간암치료제 Vax-NK/HCC의 치료 효과와 향후 임상 전략 등을 발표한다고 17일 밝혔다. 1992년 설립된 ISCT(International Society for Cellular&Gene Therapy)는 캐나다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매년 세포 유전자 치료제 관련 연례회의를 개최해 관련 산업 연구 발전을 주도하고 있다. 미국 캐나다 등 주요 국가의 의약품 규제기관과 학술단체, 연구기관, 다국적 바이오·제약사 등 80여 개 기업과 기관과 1500명 이상의 연구자가 참여하고 있다. ‘자연살해(NK)세포를 활용한 암치료법’을 주제로 한국에서 열리는 올해 ISCT 연례회의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세미나가 인터넷 웹 사이트에서 개최되는 웨비나(Webinar) 형태로 진행된다. 박셀바이오 이준행 대표 등 2명이 연사로 초청받았다. 이 대표는 차세대 암 치료법으로 각광받는 항암면역세 2021.06.17
툴젠, 티앤알바이오팹과 면역 거부 극복 줄기세포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 계약 체결
유전자교정 전문기업 툴젠은 3D바이오프린팅 전문기업 티앤알바이오팹과 면역 거부 극복 유도만능줄기세포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계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양사는 공동연구에서 면역 거부 반응에 관련된 유전자들을 교정해 폭넓은 재생의료 소재로 활용가능한 유도만능줄기세포를 개발하고 검증하게 된다. 현재 대부분의 세포치료제는 이식 시 면역거부반응으로 인해 자가세포를 이용하게 되는데 면역 거부 반응에 관련된 유전자들을 교정하게 되면 동종세포 이식이 가능하게 되며, 이를 유도만능줄기세포에 적용하여 동종 세포치료제를 개발하게 된다면 생산성 또한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기존 연구·개발에서 면역 거부 극복을 위한 타깃 유전자들과 차별화 되는 새로운 타깃 유전자들을 접목해 독자적인 면역거부 극복 유전자교정 전략을 검증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툴젠 이재영 치료제 개발부문장에 따르면 "유전자교정 기술을 줄기세포에 접목시키는 것과 면역 거부를 극복하는 것은 재생의료에 사용되기 위한 핵심적인 2021.06.17
편두통 예방 CGRP 표적치료 주사제와 먹는약 비교하는 일대일 임상 시작된다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편두통 시장에서 칼시토닌 유전자 관련 펩타이드(CGRP) 표적 치료제 간의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편두통 예방 적응증을 놓고 경구제와 주사제를 직접 비교하는 일대일 연구가 시작된다. CGRP 표적 약물을 비교하는 일대일 임상시험은 이번이 처음이다. 릴리(Eli Lilly and Company)는 편두통 예방을 위해 월 1회 주사하는 앰겔러티(Emgality, 성분명 갈카네주맙)와 이틀에 한 번 복용하는 경구약 너텍(Nurtec, 성분명 리메게판트)의 직접 비교(head-to-head) 연구를 시작한다고 15일(현지시간) 밝혔다. 릴리가 개발한 앰겔러티는 2018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편두통 예방제로 승인을 받았다. FDA 승인 라벨에 일시적 편두통 환자의 치료 기간 동안 월간 편두통 일수를 50% 이상, 75% 이상, 100% 감소시켰다는 내용이 포함된 유일한 CGRP 요법이다. 너텍은 미국의 바이오해븐(Biohaven Pharmaceuti 2021.06.16
바이오젠이 15억달러에 사들인 우울증 단기 치료제, 3상서 증상 개선 효과 확인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현재 개발 중인 신경 활성 스테로이드 GABA-A 수용체 양성 알로스테릭 조절자 계열 우울증 치료제가 피보탈 3상에서 치료 2주 후 우울증 증상을 크게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이지 테라퓨틱스(Sage Therapeutics)와 바이오젠(Biogen)이 2주간 1일 1회 복용하는 경구용 항우울제 주라놀론(zuranolone, 구 SAGE-217)이 주요우울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한 3상 WATERFALL 연구 결과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고 15일(현지시간) 밝혔다. 지난 60년간 모노아민 기반 항우울제가 주요우울장애(MDD)의 만성 치료를 위한 표준 치료제로 사용돼 왔다. 이러한 치료제는 매일 투여되는 약물로, 효과를 유지하기 위해 충분한 노출과 함께 지속적인 사용이 필요하다. 주라놀론은 산우우울증과 주요우울장애 치료를 위해 개발 중인 경구용 1일 1회 2주 투여 약물이다. 신속하면서도 지속가능한 치료 옵션을 제공하도록 설계된 분자로, 우울증 관리에서 새 2021.06.16
압타머사이언스, '바이오 코리아' 참가...글로벌 기술이전∙협력 강화 논의
압타머사이언스가 '바이오 코리아 2021(BIO KOREA 2021)'에 참가해 글로벌 빅파마와 전략적 파트너링 미팅을 갖는 등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를 마련했다고 16일 밝혔다. 또한 식품의약품안전처 의료기기 제조허가(3등급)를 획득한 AptoDetect-Lung 폐암 진단키트를 선보이며 폐암진단제품에 대한 해외 진출 계획도 밝혔다. 최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바이오 코리아 2021(BIO KOREA 2021)'은 국내 최대 규모의 바이오산업 국제행사로 우리나라 제약·바이오 산업의 기술수준을 세계에 알리고 국제거래와 교류 증진을 촉진시키기 위해 개최됐다. 올해로 16회를 맞은 바이오 코리아는 '뉴노멀: 바이오 혁신과 한계 극복'이라는 주제로 총 53개국 680여개의 기업이 참여했으며 새로운 시대에 바이오 헬스사업 기술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압타머사이언스는 국내외 제약·바이오 기업을 대상으로 차세대 항체 대체물질로 알려진 '압타머'를 비롯해 회사 2021.06.16
삼성바이오에피스, 바이오 인재들에게 직무 멘토링 나서
삼성바이오에피스는 하반기 채용에 앞서 여름방학 기간 동안 국내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 다채로운 채용 연계 행사를 진행한다고 16일 밝혔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여름에 뭐하니?'라는 주제로 학생들에게 회사와 산업에 대한 생생한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며 이날부터 홈페이지를 통해 순차적으로 참가 신청 접수를 받는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이번에 총 3개의 리크루팅 프로그램을 진행할 예정이며 그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현직 선배들과의 직무 멘토링 '에피스쿨(EPISchool)'을 꼽을 수 있다. '에피스쿨'은 삼성바이오에피스의 입사 2~4년차 직원 40 여명이 직접 멘토로 나서 직무 소개, 필요 역량, 취업 노하우 등을 공유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삼성바이오에피스는 학년에 구분없이 총 120명의 학생을 선발해 총 4회에 걸쳐 7월 한달 간 멘토링 프로그램을 진행할 계획이다. 그 외에도 채용 담당자와 신입사원이 함께 참여하는 취업 상담 행사 '에피스윗(EPIS.with)'과 바이오 산업 및 회사 생 2021.06.16
[슬립테크] 귀에서 얻은 수면데이터, 신경학적 합병증 예측 바이오마커 될 수 있을까
대한민국꿀잠프로젝트, 슬립테크 2021 한국수면산업협회와 메디씨앤씨(메디게이트)가 주최하고 메디게이트뉴스와 팀마이스가 주관하는 '대한민국꿀잠프로젝트' 슬립테크2021 수면산업전시회가 오는 2021년 7월 8일(목)~10(토) 기간 중 서울 삼성동 코엑스 3층 D홀에서 개최됩니다. '슬립테크2021'을 통해 수면건강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대한민국 수면산업 성장에 일조하고자 하니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①중년여성, 수면제 1·2년 장기 복용 효과 없어 ②단 하루만 수면 부족해도 뇌 대사 노폐물 제거 기능 손상 ③양압기, 수면 무호흡증 환자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 44%↓ ④어린이 수면장애, 신체발달과 행동·정서 모두 악영향 ⑤귀에서 얻은 수면데이터, 합병증 예측 바이오마커 가능성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귀에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웨어러블 뇌파도(EEG) 기기가 두피에 부착하는 기존 EEG 전극만큼 안정적으로 수면을 측정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덴마크 T&W 엔지니어링(T&W E 2021.06.16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