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로직스 존림 대표, '바이오 디지털 2021'서 개회사 진행
삼성바이오로직스는 15일 존림 대표가 세계 최대 바이오 행사 ‘바이오 디지털(BIO Digital) 2021’에 참가해 개회사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올해로 28회를 맞는 바이오 디지털 2021은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BIO International Convention)'을 온라인으로 전환해 개최한 행사로 지난 10일 개막해 오는 18일까지 일주일 간 열린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창립 첫해인 2011년부터 2019까지 9년 연속 단독 부스를 마련해 이 행사에 참가했다. 코로나19로 온라인 행사로 전환된 지난해부터는 가상 전시관을 구축해 고객사와 연결을 이어가고 있다. 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는 15일 미국 외교협회장 리처드 하스(Richard Haass)·오비드 테라퓨틱스 제레미 레빈(Jeremy Levin) 대표가 진행하는 발표 세션의 개회사 연사로 나서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쌓은 지난 10년의 업적과 사업 확장 계획, 비전을 업계 리더들에게 소개했다. 존림 대표는 "삼성바이오로직 2021.06.16
GSK, CD226 면역항암제 개발 위한 세번째 항체 도입…아이테오스와 14억달러 규모 계약 체결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GSK(GlaxoSmithKline)가 벨기에 기반 바이오 기업인 아이테오스 테라퓨틱스(iTeos Therapeutics)와 14억 달러 규모의 차세대 면역 항암제 공동 개발 계약을 맺었다. GSK는 아이테오스와 현재 임상 1상 단계 개발 중안 항-TIGIT 단클론항체 EOS-448을 공동 개발 및 공동 상업화하기로 합의했다고 14일(현지시간) 밝혔다. TIGIT는 CD226 체크포인트 축의 일부로, 강력한 전임상 데이터를 통해 유망한 차세대 면역 종양 요법 표적으로 기대되고 있다. GSK는 CD226 축을 표적하는 면역관문억제제를 개발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있다. 이번 계약으로 EOS-448이 추가되면서 CD226 체크포인트로 알려진 TIGIT(EOS-448을 통해), CD46(GSK’608을 통해), PVRIG(GSK’562를 통해) 세 가지를 모두 표적하는 항체를 가진 유일한 회사가 됐다. GSK가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 2021.06.15
암젠코리아-한국과학기술한림원, '암젠한림생명공학상' 시상 사업 업무협약 체결
암젠코리아와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14일 국내 기초과학 연구 활성화 및 젊은 연구자 지원을 위한 '암젠한림생명공학상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5일 밝혔다. '암젠한림생명공학상'은 청년 연구자들의 연구 의욕 고취와 국내 생명과학 및 생물공학 분야의 경쟁력 제고에 기여하기 위한 취지에서 제정됐으며 암젠코리아가 후원하고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이 주관한다. 이번 시상은 생명과학 및 생물공학 분야에서 탁월한 연구 업적을 달성한 박사후 연구원 1명과 만 45세 이하 차세대 과학자 1명을 대상으로 하며 각각 상금 2000만원과 4000만원 등 총 6000만원을 후원받는다. 시상은 2021년부터 2023년까지 매년 진행되며 올해는 6월 중 시상 사업 공고가 발표될 예정이다. 이번 시상 사업은 암젠이 지난 40여년간 생물학과 응용유전학 등 기초과학을 기반한 '생명과학 최우선(Biology-first)' 접근을 통해 성장한 만큼 국내 기초과학 연구의 활성화 및 젊은 연구자들을 격려하고 지원하는데 목적을 두고 2021.06.15
RNA 표적 항암제 벤처 네오나, TIPS 과제 최종 선정
RNA 표적 항암제 개발 벤처기업 네오나가 5월 팁스(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TIPS과제)에 최종 선정됐다고 15일 밝혓다. TIPS(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는 중소벤처기업부의 기술 기반 스타트업 지원 프로그램으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기술 아이템을 보유한 창업팀을 집중 육성하는 민간 투자 주도형 기술창업 지원 프로그램이다. 네오나는 2020년 8월 가톨릭의대 남석우 교수가 설립한 회사로, 질병의 원인이 되는 타깃 RNA와 이를 조절하는 RNA 조절네트워크를 이용한 파이프라인을 개발하고 있다. 대식세포 면역항암제, RNA 조절인자 표적 항암제 개발뿐 아니라 조기 간암 진단 키트를 개발해 조기 간암 치료를 가능하게 하고자 한다. 네오나는 마우스 모델에서 간암 크기를 감소시킨 RNA 면역항암제 연구결과를 간암 전문 학술지인 헤파톨로지(Hepatology)에 게재했다. 이를 기반으로 간암세포에서 과발현돼 있는 마이크로RNA를 억제하는 안티센스 마이 2021.06.15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BBT-401 임상 2상 중·고용량군 환자 투약 개시
혁신신약 연구개발 기업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는 11일(현지시간) 미국에서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 후보물질 BBT-401 다국가 임상 2상 중·고용량군 시험의 첫 환자 투약을 개시했다고 14일 밝혔다. 지난해 완료된 임상 2상 저용량군 시험 이후 약 10개월 만에 본격적인 투약이 개시된 이번 중·고용량군 시험에서는 총 36명의 중등증 및 중증 궤양성 대장염 환자를 대상으로 BBT-401의 안전성 및 유효성 등을 평가하게 된다. 임상의 1차 지표는 투약 8주차의 임상적 반응률(Clinical Response Rate)이며 평가는 전체 메이요 점수(Total Mayo Score)에 기반해 진행된다. 2차 지표로는 투약 8주차의 임상적 관해율(Clinical Remission Rate) 및 내시경적 관해율(Endoscopic Remission Rate)이 함께 평가된다. 이번 연구는 뉴질랜드, 미국, 폴란드, 한국, 우크라이나 등 총 5개국에 소재한 약 36개 임상 기관에서 다국가 임상으로 2021.06.14
셀트리온 렉키로나, 대규모 글로벌 임상 3상 탑라인 결과 효능·안전성 입증
셀트리온은 코로나19 항체 치료제 '렉키로나'의 글로벌 임상 3상 탑라인(Top Line) 결과를 발표하며 효능과 안전성을 입증했다고 14일 밝혔다. 렉키로나 글로벌 임상 3상은 1월부터 한국, 미국, 스페인, 루마니아 등 전 세계 13개 국가 에서 코로나19 경증 및 중등증 환자 1315명을 모집해 4월 렉키로나 투약을 완료했다. 이후 28일 간의 치료기간을 거쳐 이번 탑라인 결과를 발표하게 됐다. 셀트리온은 치료군과 위약군별 환자수에 제한이 있었던 임상 2상과 달리 충분한 환자수가 확보된 이번 대규모 임상 3상에서는 가장 중요한 임상적 결과인 중증 악화율과 임상적 증상 개선 시간에 대한 4개의 주요평가지표(1차 평가지표 1개, 2차 주요평가지표 3개)를 지정해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모든 평가지표(4개 평가지표 모두 p<0.0001)에서 치료군과 위약군 간의 명확한 차이를 증명했다. 렉키로나(40㎎/㎏)를 투여한 환자군은 위약 환자군과 비교해 중증 악화율이 고령, 기저질환 동반 2021.06.14
[슬립테크] 양압기 치료, 수면 무호흡증 환자의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 44% 낮춘다
대한민국꿀잠프로젝트, 슬립테크 2021 한국수면산업협회와 메디씨앤씨(메디게이트)가 주최하고 메디게이트뉴스와 팀마이스가 주관하는 '대한민국꿀잠프로젝트' 슬립테크2021 수면산업전시회가 오는 2021년 7월 8일(목)~10(토) 기간 중 서울 삼성동 코엑스 3층 D홀에서 개최됩니다. '슬립테크2021'을 통해 수면건강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대한민국 수면산업 성장에 일조하고자 하니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①중년여성, 수면제 1·2년 장기 복용 효과 없어 ②단 하루만 수면 부족해도 뇌 대사 노폐물 제거 기능 손상 ③양압기, 수면 무호흡증 환자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 44%↓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치료를 받지 않은 중등도~중증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환자는 심혈관 질환을 경험할 위험이 더 높은 반면, 양압기(CPAP) 치료를 받은 환자에서는 심장 문제가 발생할 위험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칸자스대학교 메디컬센터(University of Kansas Medical Cente 2021.06.12
테라젠바이오, 배추 뿌리혹병 막을 '저항성 유전자' 위치 발견
전 세계 배추과 작물의 최대 병해 중 하나인 뿌리혹병을 예방할 수 있는 핵심 유전자 좌위(특정 위치)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발견됐다. 테라젠바이오는 농촌진흥청, 충남대 농생명대, 삼육대 생명과학대, 호주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대 농생명대 등과 공동으로 유럽 계통 순무 유전체를 해독, 이 같은 성과를 거뒀다고 11일 밝혔다. 연구팀은 뿌리혹병에 강한 유럽 계통 순무 전장 유전체 해독(WGS)을 통해 뿌리혹병 저항성 유전자가 존재할 것으로 추정되는 유전자 좌위 'CRa'와 'CRb' 등 2건을 발견했다. 학계에서는 이번 연구 성과를 응용해 일명 '배추 암'이라 불리는 뿌리혹병 유전자의 기능과 발현 기작 등을 규명할 수 있으며 근본적인 방제법 개발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연구팀은 순무에서 발견한 2건의 유전자 좌위를 분석하고 배추 염기서열과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선천성 면역계 수용체 단백질 종류의 병해 저항성 유전자 위치를 최종 확인했다. 테라젠바이오 관계자는 "이번 성과는 배추 품 2021.06.11
삼성바이오로직스, 첫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발간 2021년 ESG 경영 출사표
삼성바이오로직스가 11일 첫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발간하고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에 본격 착수한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해 12월부터 임직원·전문가·이해관계자 등의 의견을 바탕으로 ESG 보고서를 작성하고 외부 컨설팅을 받으며 ESG 경영을 위한 체계적 로드맵을 준비했다. 이어 올해 2월 이사회 산하에 ESG 위원회를 신설해 ESG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이행에 대한 감독 기능 등을 수행하도록 했다. ESG 위원회는 경영진으로부터의 독립성이 검증된 사외이사 4인으로 경영·경제·생명공학·법·제도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됐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번 첫 보고서에 환경, 사회, 지배구조 투명성 강화를 위해 기울여 온 지난 10년 간의 노력과 앞으로의 실천 계획을 담았다. 먼저 환경 부문에서는 바이오 제약 업계 최고 수준의 친환경 사업장을 구현하겠다는 목표를 수립했다. 이를 위해 글로벌 표준 에너지경영시스템(ISO 50001), 안전보건경영시스템(ISO 45001)을 도입했 2021.06.11
셀트리온그룹 서정진 명예회장, 한국인 최초 EY 세계 최우수 기업가상 수상
셀트리온그룹 서정진 명예회장이 10일(현지 시간) 글로벌 4대 회계·컨설팅 법인인 EY가 주최한 'EY 세계 최우수 기업가상(EY World Entrepreneur Of The Year)' 시상식에서 한국인 최초로 최종 수상의 영예를 얻었다. EY 세계 최우수 기업가상은 '비즈니스 분야의 오스카상'으로 불릴 정도로 세계적인 권위를 인정받고 있는 상으로 멈추지 않는 도전과 리더십으로 혁신을 이끈 경영자에게 수여된다. 특히 전 세계에서 국가별 'EY 최우수 기업가상' 수상자들 중 단 한 명에게만 수여되기에 비즈니스 분야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명성이 높다. 올해는 전세계 38개국 45명의 EY 최우수 기업가상 마스터 수상자들을 대상으로 각종 성과 서류제출 및 심사위원단 심층 인터뷰 등을 통해 수상자를 선정했다. 주요 심사 기준은 기업가 정신, 가치창출 및 재적성과, 혁신성, 전략적 방향성, 국내 및 세계적 영향력, 개인적 품성 및 리더십 으로 8인의 독립된 EY 외부의 글로벌 심사위원으로 2021.06.11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