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립테크] 수면 부족, 고통스럽거나 불쾌한 기억 제어 방해한다
대한민국 꿀잠 프로젝트, 꿀잠 자야 건강하다 한국수면산업협회와 메디씨앤씨(메디게이트 법인명)가 주최하고 메디게이트뉴스와 팀마이스가 주관하는 2020 대한민국 꿀잠 프로젝트 ‘슬립테크2020’ 전시회가 오는 2020년 11월 13일(금)~15(일) 기간 중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 3층 D홀에서 개최됩니다. '슬립테크2020'을 통해 수면건강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대한민국 수면산업 성장에 일조하고자 합니다. ① 수면시간 5시간 이하, 적정수면 대비 복부비만 1.96배·대사증후군 1.69배 ②잠못드는 노인들...노인 절반은 불면증, 고령일수록 수면장애 증가 ③잠 못잔 노동자, 술 취한 사람과 비슷...18시간 못자면 혈중 알코올 농도 0.05% ④학업 스트레스 등으로 청소년들 4명 중 3명은 수면부족 상태 ⑤교대근무 간호사들 수면장애 심각...3일 연속 야간근무하면 불면증 6.5배 ⑥넷플릭스 보느라 늦게 자면 다음날 아침 긍정적 감정 감소 ⑦노인 불면증 만성화...증상 평균 10년, 장기 수 2020.11.06
바이오니아, 3분기 영업익 사상최대 기록
바이오니아는 5일 잠정 실적 공시를 통해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 737억, 영업이익 424억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코로나19 여파가 컸던 전분기와 대비해서도 매출액은 24.3%, 영업이익은 32.2% 증가한 수치다. 올해 3분기까지 누적 매출액은 연결 기준 1455억 원에 달한다. 이번 3분기 실적 호조는 바이오니아의 전략적인 판단의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타 분자진단업체들이 코로나19에 앞다퉈서 빠른 키트 공급에 주력한 반면, 바이오니아는 자체적으로 구축한 핵산추출장비-핵산추출시약-분자진단장비-분자진단키트에 이르는 모든 라인업을 일괄 공급하는 차별화된 사업 전략을 펼쳐 장기적인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선진시장뿐만 아니라 분자진단 인프라가 부족한 중동, 남미, 아프리카 등 제3세계 국가들의 문을 두드려, 글로벌 업체들과 기술력만으로 경쟁하며 성과를 거두고 있다. 바이오니아 관계자는 "최근 수출승인을 받은 코로나19, 독감 동시진단키트를 2020.11.05
엠디뮨, '2020 재미한인제약인협회 가을 심포지엄'서 신진 과학자 후원
엠디뮨은 미국 현지 기준으로 10월 31일 열린 '2020 재미한인제약인협회 가을 심포지엄(KASBP Fall Symposium)'에서 우영재 박사(뉴욕 Icahn School of Medicine at Mount Sinai)에게 펠로우십 어워드(Fellowship award)를 수여했다고 5일 밝혔다. KASBP 심포지엄은 제약 산업 및 생명 공학 분야에 종사하는 한미 양국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춘·추계 행사다. 엠디뮨은 올해부터 KASBP 심포지엄의 공식 스폰서로 활동하고 있다. 이번 KASBP 가을 심포지엄은 'New Therapeutic Modalities'라는 주제로 온라인 미팅으로 진행됐다. 어워드는 뛰어난 연구 성과를 달성한 재미 신진 과학자를 대상으로 하는 후원이다. 우영재 박사는 Icahn Mount Sinai 의대에서 빅데이터를 이용한 알츠하이머병의 멀티스케일 모델 연구로 수상자로 선정됐다. 엠디뮨 오승욱 CSO는 "이번 행사로 신진 과학자를 후원해 바이오산업 2020.11.05
팬젠, 혈우병치료제 'PGA40' 임상 1상 시험 완료
바이오의약품 전문기업 팬젠이 혈우병 치료제 'PGA40'의 임상 1상시험을 완료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에 완료된 임상 1상 시험은 대전 을지대학교병원에서 치료 경험이 있는 중증 A형 혈우병 환자 총 12명을 대상으로 수행됐다. PGA40 투여 시 약물동력학(PK)을 대조약과 비교했고 6개월 동안 유지요법 방식으로 투여 시 약물의 안전성 및 유효성을 평가했다. 임상시험 디자인은 유럽과 한국의 임상시험 가이드라인을 준수했다. 임상시험 결과 PGA40의 약물동력학적 특성이 대조약인 미국 화이자사의 재조합 혈우병 A 치료제인 진타(Xyntha, 성분명 모록토코그알파)와 매우 유사했으며 4개월 동안의 유지요법 투여 시에도 그 특성이 유지됐다. 유효성 확인 시험에서는 전체 6개월간의 시험기간 동안 시험대상 환자 당 연간 출혈률이 4.23회로 출혈 예방에 효과적이었고 출혈치료 성공률은 86.96%로 기존 다국적제약사 제품들과 비교했을 때 우수한 효능이 있었다. 또한 전체 시험기간 동안 중대한 2020.11.04
코이뮨, 4500만 달러 규모 시리즈 A 투자 유치 성공
에스씨엠생명과학(SCM생명과학)과 제넥신의 미국 현지 합작법인 코이뮨(CoImmune Inc.)이 지난달 30일 국내 및 유럽 투자 기관으로부터 4500만 달러(약 510억원) 규모의 시리즈 A 투자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투자로 코이뮨은 기존의 면역세포치료제 파이프라인 연구 및 임상 개발에 속도를 올릴 수 있게 됐으며 나아가 미국 나스닥 상장 계획도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코이뮨은 차세대 동종 CAR-T 기반 백혈병 치료제 및 수지상 세포 항암 백신을 개발하고 있으며, 글로벌 cGMP 제조시설을 갖춘 면역세포치료제 생산 및 개발 기업이다. 국내 투자사 중에는 한국투자파트너스(800만 달러), 마그나인베스트먼트(500만 달러), DSC인베스트먼트, DS자산운용, 브레인자산운용, W자산운용(각 400만 달러) 등 유수의 벤처캐피탈(VC)과 자산 운용사 및 증권사 등이 3800만 달러를 투자했다. 여기에 더해 FIDIM 등 이탈리아 기관투자자를 주축으로 한 700 2020.11.04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코스피 상장예비심사 승인
항체의약품 개발 전문 제약사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가 3일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코스피)본부의 상장예비심사를 통과했다고 4일 밝혔다.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는 2015년 싱가포르에서 설립된 항체의약품 개발전문 제약회사로 암, 류마티스 등에 대한 바이오시밀러 및 항체신약 개발이 주력 사업이다. 주력 제품 제조를 담당하는 있는 주요 관계사인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와의 사업적 관련성을 고려해 코스피시장 상장을 추진한다. 상장 후 국내외 기업 인지도 제고 뿐만 아니라 대규모 투자를 통한 사업 확장을 기대하고 있다. 현재 주력 파이프라인으로는 ▲유방암, 전이성 위암 등에 적용되는 로슈 허셉틴 바이오시밀러 'HD021' ▲유방암, 폐암, 위암, 대장암, 난소암 등에 적용되는 로슈 아바스틴 바이오시밀러 'HD204' ▲류마티스 관절염, 건선 등에 적용되는 애브비 휴미라 바이오시밀러 'PBP1502' 등이 있다. 이 중 'HD201'은 국제임상을 완료하고 유럽의약품청(EMA) 의 제품허가를 기대하고 있다 2020.11.04
암환자 8명 중 1명 암 관련 유전자변이 가져…"모든 암환자 유전자검사해야"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암 환자 8명 가운데 1명은 유전된 암 관련 유전자 변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암 유전자 검사의 표준 지침에 따라 검사했을 때 이러한 변이가 있는 환자의 절반 가량에서만 변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미국 메이요클리닉(Mayo Clinic) 연구팀이 유전성 암 환자를 위한 범용 유전자 검사와 가이드라인 지정 표적 검사를 비교한 연구결과를 최근 JAMA Oncology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2018년 4월부터 2020년 3월까지 2년간 INTERCEPT(Interrogating Cancer Etiology Using Proactive Genetic Testing) 연구를 통해 미국 애리조나와 플로리다, 미네소타에 있는 메이요클리닉 암센터에서 암 진단을 받은 환자 3084명을 대상으로 표준 암 치료의 일환으로 무료 유전자 검사 및 상담을 제공했다. 이 프로젝트에는 유방암, 대장암, 폐암, 난소암, 췌장암, 방광암, 전립선 2020.11.04
쓰리빅스-서울대 치의학대학원, 바이오 빅데이터 연구개발 및 학술 공동 연구협약
바이오 빅데이터 플랫폼 전문기업 쓰리빅스는 2일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과 업무 협약을 맺고 인공지능과(AI) 빅데이터를 활용한 구강 질병 진단·관리 연구개발을 추진한다고 3일 밝혔다. 이날 업무 협약식에는 쓰리빅스 박준형 대표이사, 이동호 사외이사,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한중석 원장, 박영석 학생부원장, 이성중 연구부원장, 한승현 교수 등 관계자 약 1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업무 협약으로 양 기관은 구강 질병 진단과 신약개발을 위한 연구개발을 위해 ▲Multi-Omics와 AI 기술을 활용한 바이오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및 질병 진단 기술 공동 연구 ▲ 구강 질병 신약후보 물질의 발굴 및 실험 검증 ▲공동 연구 및 협력 프로젝트 발굴과 개발 ▲기타 관련 교육·학술·홍보 활동 등에 대해 협력한다. 쓰리빅스 박준형 대표는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의 구강 질병 관련 우수한 연구와 쓰리빅스의 바이오 빅데이터 플랫폼과 AI를 활용한 산업화 역량을 기반으로 글로벌 바이오산업 진출을 진행할 2020.11.03
플랫바이오, 3개 신약 후보 물질 기반 항암제 개발 본격 착수
플랫바이오(PLATBIO)는 기존 면역항암제 후보 물질 외에 저분자 합성 신약 후보 물질 2개를 추가로 확보하고 올해 총 3종의 항암제 파이프라인을 기반으로 본격적인 항암 신약 개발에 착수했다고 3일 밝혔다. 플랫바이오는 2018년 10월 창업 이후 약 2년간 자사가 수행한 연구 성과 및 임상 이행 연구 능력에 신뢰를 보여준 바이오 기업들과 파트너십을 통해 신약 후보 물질을 확보하는 전략으로 신약 개발을 진행해왔다. 바이오 기업들이 플랫바이오의 기술을 바탕으로 신약 개발에 성공하면 해당 신약의 지분을 일정 부분 확보하는 식이다. 6월 저분자 합성 신약 전문기업 비씨켐과 파트너십을 체결한 플랫바이오는 비씨켐과 함께 RAF(Rapidly Accelerated Fibrosarcoma) 키나아제(인산기 전이효소)의 활성을 제어하는 저분자 합성 신약 개발에 돌입, 비임상시험을 개시했다. 이 신약 후보 물질은 기존 RAF 저해제 치료에 대한 저항성 기전에서 주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CR 2020.11.03
사노피-GSK, 코백스에 2억 도즈의 재조합 단백질 코로나19 백신 지원
사노피와 GSK가 세계백신면역연합(GAVI, The Global Alliance for Vaccine and Immunizations)과 의향서를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GAVI는 전세계 코로나19 백신의 공동 조달 및 공평한 분배를 위한 범국가적 위험 분담 기구인 코백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의 관리 주체다. 사노피와 GSK는 면역증강제 기술을 활용한 재조합 단백질 기반 코로나19 백신이 규제 당국의 승인을 받을 시 계약에 따라 코백스 퍼실리티에 2억 도즈 분량의 백신을 공급할 계획이다. 양사는 코로나19 백신이 승인되면 이를 필요로 하는 모든 사람들이 제한없이 접종을 받을 수 있도록 보장한다는 코백스의 취지에 기여한다는 입장이다. 코백스 퍼실리티는 코로나19 백신의 개발 및 생산, 공정한 배분을 가속화하기 위한 정부, 글로벌 보건기구, 기업과 자선 단체의 글로벌 협력 기구인 코백스에 소속돼 있다. 코백스는 GAVI, 전염병대비혁신연합(CEPI), 세계보건기구(WH 2020.11.03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