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정바이오, 데일리파트너스와 유망기술기업 투자 지원 위한 MOU 체결
우정바이오가 데일리파트너스와 유망기술기업 발굴과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15일 밝혔다. 양 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우정바이오 신약클러스터에 입주하는 유망기술기업에 대한 심사 및 투자 검토 ▲데일리파트너스 기투자 바이오벤처의 CRO 협업 ▲데일리파트너스 기투자 바이오벤처의 비임상시험센터 컨설팅 ▲데일리파트너스 기투자 바이오벤처의 우정바이오 신약클러스터 참여 ▲우정바이오 신약클러스터 신약개발 대표 플랫폼 위상 강화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데일리파트너스는 바이오 전문 벤처캐피털로 2020년 10월 기준 15개 펀드, 총 운용자산(AUM)은 1998억 원이며 2021년 3500억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주로 신약개발, 의료기기, 바이오·헬스케어 기업에 투자하고 있다. 또한 2019년 1월 액셀러레이터 라이선스를 취득한 뒤 팁스(TIPS) 운용사로 선정돼 초기 기업 발굴에도 집중을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바이오 스타 벤처기업을 육성하는 프로그램인 D’LABS를 운영하고 있다. 2020.10.15
SCM생명과학, 아토피피부염 치료제 임상 1상 환자 투여 완료
에스씨엠생명과학(SCM생명과학)은 자사가 개발 중인 아토피피부염 줄기세포치료제 'SCM-AGH'의 임상 1상 환자 투여가 모두 완료됐다고 15일 밝혔다. SCM생명과학은 올해 2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이 치료제의 임상시험계획(IND) 승인 후 불과 8개월 만에 국내 6개 기관(인하대병원, 강동경희대병원, 건국대병원, 고대안산병원, 연대 세브란스병원, 순천향대 부천병원)에서 대상환자 20명 전원에 대한 등록 및 투여를 마쳤다. 이번 임상시험은 EASI(Eczema Area Severity Index) 16점 이상의 중등증 이상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며 줄기세포치료제 투여 후 12주차 시점의 EASI 점수를 통해 효과를 확인한다. EASI는 아토피 증상의 심각도를 평가하는 습진중증도평가지수로 대한아토피피부염학회는 16점 이상의 환자를 중등도 아토피피부염, 23점 이상을 중증 아토피피부염으로 분류하고 있다. 현재 투여 후 12주차 시점을 달성한 환자는 총 15명이며 금일 투여가 끝난 환자 2020.10.15
지엔티파마 넬로넴다즈, 뇌졸중 환자 임상2상서 긍정적 결과 도출
지엔티파마가 급성 뇌졸중 발병 후 8 시간 이내에 혈관 재개통 수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넬로넴다즈의 안전성과 약효를 검증하는 임상 2상 연구(SONIC, 소닉) 탑라인 결과를 15일 발표했다. 약물투여 후 1주, 4주, 12주 지나 정상으로 또는 도움 없이 자신의 일을 돌보는 정도로 회복하는 환자의 비율이 위약군에 비해 넬로넴다즈를 투여한 그룹에서 용량 의존적으로 확연히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경기도의 지원을 받아 발굴한 넬로넴다즈는 뇌졸중 후 장애와 사망을 유발하는 뇌세포사멸의 2개 경로인 흥분성 신경독성과 활성산소 독성을 동시에 억제하는 최초의 다중 표적 뇌세포보호약물로서 NMDA 글루타메이트 수용체를 억제하고 활성산소를 제거한다. 소닉은 미국립보건원(NIH) 뇌졸중 지수 8 이상의 중등도 이상의 환자를 대상으로 국내 7개 대학병원 뇌졸중 센터에서 총 209명을 대상으로 수행한 임상 2상 시험이다. 환자는 혈전제거수술 30분 전 위약 또는 500㎎(저용량 2020.10.15
EDGC-성동구청, 유전체 기반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업무협약
이원다이애그노믹스(EDGC)가 서울시 성동구청, 성동구도시관리공단, 성동문화재단 등 3개 기관의 직원 및 가족들에게 유전체 기반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를 위한 업무협약을 13일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 기관 업무협약은 ▲성동구청 및 소속기관 직원, 가족을 위한 유전체 검사를 통한 선제적인 건강관리 기준 마련 ▲유전체 검사 서비스를 통해 직원 건강관리 프로그램 개발 등을 추진한다는 내용을 담았으며, 첨단 유전체 빅데이터 알고리즘을 이용해 암과 일반질환 등 질병의 위험을 예측하고 선제적으로 관리하는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대중화 모범사례를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협약식에서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가족력을 비롯하여 질병의 원인을 미리 예측할 수 있는 EDGC의 유전체 서비스를 통해, 직원 및 가족들과 향후 구민들에게도 선제적인 건강관리를 할 수 있도록 길을 열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EDGC 조성민 상무는 "서울시 25개 자치구 중 첫번째로 성동구에 첨단 유전체 기반 헬스케어 서비스 2020.10.14
SCM생명과학, 척수소뇌성 실조증 줄기세포치료제 기술도입
에스씨엠생명과학(SCM생명과학)이 대만의 주요 바이오벤처와 손잡고 척수소뇌성 실조증(spinocerebellar ataxia, SCA) 줄기세포치료제 기술을 도입하고 국내에서 임상시험 등 개발을 진행한다. SCM생명과학은 대만의 줄기세포 바이오기업 스테미넌트(Steminent Biotherapeutics)와 손잡고 기술도입에 관한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이에 따라 SCM생명과학은 스테미넌트의 줄기세포치료제인 Stemchymal 관련 기술을 라이선스인 하여 국내 시장에서 개발 및 상용화에 대한 독점적 권한을 확보하게 됐다. 이 파이프라인은 2015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척수소뇌성 실조증 치료를 위한 희귀의약품 지정을 받았다. 또한 2016년 일본 세포치료제 기업인 리프로셀(ReproCELL)에게 일본 시장에 대한 라이선스 아웃 후, 일본 의약품의료기기종합기구(PMDA)에서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받아 임상이 진행중이다. 척수소뇌성 실조증은 인체 내 운동을 총 2020.10.13
큐리언트, 코로나바이러스 치료제 임상 2상 신청
큐리언트는 텔라세벡(Telacebec)을 코로나바이러스(COVID-19) 치료제로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임상 제2상 시험을 신청했다고 13일 공시했다. 텔라세벡은 이미 다제내성결핵치료제로 임상 1상을 완료해 안전성이 확보된 신약 물질이다. 따라서 임상 1상을 다시 할 필요 없이 임상 2상부터 진행된다. 이번 임상 2상 시험은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약 7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14일 경구 투여를 통해 코로나 치료제로서의 효능을 확인하며 사이토카인 폭풍(Cytokine storm)에 의한 류코트리엔(Leukotriene) 생성 억제를 통해 코로나19 환자의 폐기능 회복과 치료를 기대한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은 코로나바이러스 누적 확진자가 68만명으로 세계 10번째로 확진자가 많고 아스트라제네카의 백신 임상국가 4개국(미국, 영국, 브라질, 남아공)에 포함될 정도로 임상시험에 적합한 국가로 평가 받고 있다. 최근 국내외에서 코로나바이러스 치료는 완치됐지만 폐기능 등이 정상화되지 않는 사례가 빈번 2020.10.13
제넨바이오, 이종이식 연구개발 위한 형질전환센터 개소
제넨바이오가 지난달 29일 이종이식 원료의 개발 및 양산을 위한 연구개발 시설인 형질전환센터를 개소했다고 13일 밝혔다. 제넨바이오는 지난해 국내 첫 이종이식 원스탑 플랫폼으로 본격 출범하며 국내 최대 규모 이종장기 연구센터 조성을 계획해왔다. 경기도 평택 어연·한산산업단지 내 1100여 평 규모로 구축된 형질전환센터는 세계이종이식학회의 국제 가이드라인을 준수한 원균제어사육시설(DPF, Designated Pathogen Free)를 포함하고 있어 이종이식의 원료가 되는 형질전환 돼지를 개발하는 핵심 시설로 운영될 계획이다. 형질전환센터 운영은 제넨바이오의 자회사인 제넨리소스가 담당한다. 형질전환센터는 형질전환 세포주를 확립하고 복제수정란을 제조하는 '연구동'과 무균돼지를 입식하고 양산하는 '사육동' 등 총 2개동으로 구성돼 있다. 이중 사육동은 미니돼지 무균화와 양산이 동시에 가능한 DPF 시설이다. 센터에서 확립 및 양산될 세포주는 3가지 유전자(α-Gal, CMAH, β4Gal 2020.10.13
셀트리온헬스케어, 이달 브라질서 '허쥬마·트룩시마' 잇따라 수주 성공
셀트리온헬스케어에서 판매 중인 '허쥬마'(성분명 트라스투주맙)와 '트룩시마'(성분명 리툭시맙)가 중남미 최대 바이오제약 시장인 브라질에서 이달 들어 잇따라 수주에 성공하며 빠르게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브라질은 중남미 바이오제약 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핵심 국가다. 최근 브라질 정부는 코로나19(COVID-19) 바이러스 확산으로 의료 재정 부담을 완화시킬 수 있는 바이오시밀러 도입을 적극 검토한 것으로 알려졌다. 브라질 정부의 변화에 주목한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정부와 시장의 니즈(needs)를 충족시킬 수 있는 맞춤형 전략을 수립하는 등 적극적으로 시장에 대응하고 있다. 그 결과 셀트리온헬스케어의 허쥬마가 다수의 글로벌 제약사들이 참여한 브라질 최대 규모의 트라스투주맙 연방정부 입찰에서 경쟁사들을 제치고 수주에 성공했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계약에 따라 향후 1년 간 브라질 트라스투주맙 시장의 약 40%에 해당하는 공공시장에 허쥬마를 공급할 예정이다. 트룩시마 역시 지난 주 브라 2020.10.13
미국 바이오시장, 3분기까지 1년치 수준의 벤처캐피탈 투자 쏟아져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미국 바이오 시장에서 기업들이 3분기 단 3개월만에 2019년 1년동안 기업공개(IPO)를 통해 조달한 금액과 거의 맞먹는 자본을 유치한 동시에 2020년 첫 9개월동안 1년치 수준의 벤처캐피탈(VC) 펀딩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시장조사기관 이밸류에이트(Evaluate)에 따르면 2020년 3분기까지 9개월동안 바이오 기업이 벤처 투자를 받은 금액은 총 157억달러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1년간 147억달러, 2018년 179억달러, 2017년 132억달러, 2016년 104억달러 투자를 받았던 것과 비교하면 거의 1년치에 근접하거나 높은 수준이다. 분기별로는 3분기 111개 기업이 47억달러를 투자받으면서 올해 들어 투자 규모는 가장 낮았다. 이는 1억달러 이상 대규모 투자가 줄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1억달러 이상 투자받은 바이오 기업의 투자액 합계는 1분기 24억 8000만원, 2분기 28억달러였던 반면 3분기는 그 절반 수준인 2020.10.12
SCM생명과학, 2020 세포&유전자 컨퍼런스서 아토피피부염 1상 중간결과 등 발표
에스씨엠생명과학(SCM생명과학)은 12일 '2020 세포 & 유전자 미팅(Cell & Gene Meeting on the Mesa 2020)'에 발표기업으로 선정돼 지난해 자사의 연구성과와 파이프라인 현황, 향후 연구계획 등에 대해 발표한다고 밝혔다. 이 행사는 전세계 세포 및 유전자 치료제의 연구개발 기술동향을 공유하는 학술회의로 16일까지 개최된다. 기존에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칼스배드 지역에서 열렸으나 올해는 코로나19바이러스감염증의 여파로 온라인으로 전환됐다. 미국, 유럽, 일본 등 주요 시장에서 세포치료제, 유전자치료제 관련 빅파마와 바이오벤처등 120여개 기업이 참석해 학술회의와 네트워킹, 비즈니스 미팅 등이 진행된다. SCM생명과학은 지난 3년간 계속 참석했으며 코스닥 입성 이후는 처음으로 글로벌 주요행사에서 글로벌 빅파마와 바이오벤처 앞에서 자사의 비전과 마일스톤을 발표할 기회를 가지게 됐다. SCM생명과학은 시장에서 주목하고 있는 아토피피부염 줄기세포치료제에 대한 임상 2020.10.12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