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구바이오제약, 투자 바이오벤처사 상장 가속화
동구바이오제약이 30억원 투자를 진행하고 지난 15일 '인공지능 의료솔루션의 상용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의료 AI 솔루션 개발 선두업체인 뷰노가 기술성 평가를 통과했다고 1일 밝혔다. 코스닥 기술특례 상장을 위해 전문평가기관 2곳에 기술성 평가를 의뢰한 뷰노는 각각 'A, A' 등급을 획득하며 심사를 통과해 연내 코스닥 상장 절차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기술성평가를 통해 인공지능 기술력의 우수성을 확인 받은 뷰노는 이번 결과를 기반으로 코스닥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 청구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지난 4월 동구바이오제약이 30억원 투자를 진행한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신약 연구개발 기업인 지놈앤컴퍼니도 최근 기술성평가를 신청하고 상장을 위한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018년 12월 코넥스에 상장 후 코넥스 시가총액 2위의 지놈앤컴퍼니는 기술성평가 결과가 나오는 대로 코스닥 이전 상장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 지난해 1400억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유치를 성공적으로 완수하고 최근 2020.06.02
젠큐릭스, 중국 기업 유순과 유방암 예후예측 서비스 전략적 제휴
젠큐릭스가 중국의 여성암 전문 진단 기업 북경유순의학검사실험실유한회사(北京优迅医学检验实验室有限公司)와 유방암 예후예측 검사인 진스웰 BCT의 중국 내 서비스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1일 밝혔다. 중국 북경에 본사를 둔 유순은 중국 최고 유전자 분석기업인 BGI(Beijing Genomics Institute)의 투자를 받아 설립된 여성암 전문 진단 기업이다. 유방암 예후진단 서비스를 중국 현지에서 제공할 수 있는 진단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중국 전역을 커버할 수 있는 유방암 전문 영업조직을 갖추고 있어 젠큐릭스의 진스웰 BCT 중국 사업을 함께 추진할 파트너로 최종 낙점됐다. 젠큐릭스는 국내 시장에서 진스웰 BCT 론칭 이후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해 지난해 중국 절강대학부속병원 임상센터와 중국 내 공동 임상연구, 인허가 및 학술 네트워크 상호 지원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또한 북경대학교병원(북경), 중국의학과학원 종양병원(북경), 푸단대학교병원(상해) 등과도 임상연 2020.06.01
엔케이맥스, ASCO에서 키트루다 폐암 병용요법 예비결과 발표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엔케이맥스(NKMAX)가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연례학술대회에서 SNK01과 키트루다의 병용요법에 대한 임상연구 예비결과를 발표했다. 서울아산병원 연구팀은 백금 기반 항암화학요법에 모두 실패한 PD-L1 양성, EGFR 음성, ALK 음성 4기 비소세포폐암 환자 18명을 대상으로 키트루다(Keytruda, 성분명 펨브롤리주맙) 단독요법과 SNK01 병용요법을 평가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1차 평가변수는 안전성이고, 2차 평가변수는 객관적 반응률(ORR), 무진행 생존기간(PFS), 전체 생존기간(OS), 진행되기까지의 시간(TPP), 삶의 질(QoL)이다. 현재까지 14명 환자가 등록됐고, 9명이 치료를 완료했다. 환자 2명이 키트루다에 대한 3등급 독성으로 인해 SNK01 첫번째 용량을 투여하기 전 치료를 중단했다. 3명에서 키트루다 단독요법을 완료했고, 모두 진행성 폐암 환자였다. 3명은 키트루다와 2 x 109 SNK01 병용요법을 나머지 2020.06.01
에스씨엠생명과학, 혁신 신약 개발로 세계적 세포치료제 전문 기업 도약
세포치료제 개발 전문 바이오기업 에스씨엠생명과학㈜(이하 SCM생명과학)이 코스닥 상장을 앞두고 최근 여의도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향후 사업 비전과 전략을 밝혔다. SCM생명과학은 ▲층분리배양법 기반의 차세대 고순도 줄기세포치료제와 ▲수지상세포 및 동종CAR-CIK-CD19을 이용한 면역항암제(면역세포치료제) 등 바이오 신약 연구개발 전문 기업으로 2014년 설립됐다. 주요 파이프라인은 줄기세포치료제 분야의 이식편대숙주질환(GVHD), 급성 췌장염, 아토피피부염,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 간경변, 제1형 당뇨병 등 치료제와 면역항암제 분야의 전이성 신장암 치료제 'CMN-001',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치료제 'CAR-CIK-CD19' 등으로 구성돼있다. 이 외에도 척수 소뇌성 실조증 줄기세포치료제 기술도입을 추진 중이며 신장 섬유화증 및 자궁벽 섬유화증 치료용 '셀 시트'(Cell Sheet, 세포시트)와 화상, 당뇨병성 족부궤양 치료용 '3차원 스페로이드'(3D Spheroid) 등 2020.06.01
레고켐바이오, 1주당 1주 무상증자 결정
레고켐 바이오사이언스는 보통주 및 전환우선주 1주당 1주(100%)를 배정하는 무상증자를 결정했다거 1일 밝혔다. 신주배정 기준일은 17일이며 상장예정일은 7월7일이다. 이번 무상증자로 새롭게 발행되는 주식수는 보통주 10,770,101주와 전환우선주 1,283,070주이며, 증자 후 총 발행주식수는 24,106,342로 증가될 예정이다. 레고켐바이오 관계자는 "낮은 유통주식수로 인하여 연 이은 기술이전이라는 호재에도 불구하고 저평가되는 측면이 있어 무상증자를 결정했다"며 "이번 무상증자를 시작으로 향후 더 적극적으로 시장과 소통하며 주주친화적 기업으로 거듭나겠다"고 밝혔다. 2020.06.01
머크, 베일러 의대와 손잡고 코로나19 백신 제조 플랫폼 개발 앞당긴다
머크가 미 텍사스주 휴스턴에 소재한 베일러 의과대학(Baylor College of Medicine)과의 협업 기간을 연장해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백신 제조 플랫폼 개발을 앞당기고 임상 1상까지 개발 기간을 가속화할 계획이라고 1일 발표했다. 머크 생명과학 사업부 우딧 바트라 CEO는 "백신 제조는 매우 복잡하기에 베일러 의대의 코로나19 백신 후보 물질을 빠르게 제조하기 위한 공정 개발에 서로 협력하고 있다"며 "코로나19와 싸우려면 매우 짧은 기간에 전례없는 양의 백신을 생산해야 하며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가능한 많은 접근법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백신 생산 방식은 복잡하고 다양하기 때문에 표준적인 제조 양식이나 공정이 없다. 따라서 어떤 조직이든 안전하고 효과적인 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해 생산하기까지 어려움이 따를 수밖에 없다. 머크는 베일러 의대는 물론, 백신 개발을 위한 텍사스 아동병원 센터(Texas Children's Hospital Center for 2020.06.01
애브비, '스카이리치' 건강 보험 급여 적용으로 출시 본격화
한국애브비는중증 건선 치료 인터루킨-23(IL-23) 억제제 '스카이리치(Skyrizi, 성분명 리산키주맙, Risankizumab)'에 대한 건강 보험 급여가 1일부터 적용된다. 급여 적용 대상은 6개월 이상 지속되는 중등도에서 중증 건선 환자 중 ▲판상건선이 전체 피부면적의 10%이상 ▲PASI 10 이상이면서 ▲메토트렉세이트(MTX) 또는 사이클로스포린을 3개월 이상 투여했음에도 반응이 없거나 부작용 등으로 치료를 지속할 수 없는 경우 혹은 ▲피부광화학요법(PUVA) 또는 중파장자외선(UVB) 치료법으로 3개월 이상 치료했음에도 반응이 없거나 부작용 등으로 치료를 지속할 수 없는 경우다. 건선은 몸의 면역 기능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면역 매개 질환이다. 전신에 걸쳐 피부가 붉어지는 홍반과 하얀 각질이 일어나는 인설이 발한다. 특히 홍반과 인설이 전신의 10% 이상을 덮고 있는 중등도 및 중증 건선 환자들은 심한 증상으로 인해 전염병으로 오해를 받거나 사회적 편견으로 심리적 고 2020.06.01
GSK, 10억 도즈 팬데믹 백신 항원보강제 생산 계획 발표
GSK는 다수의 COVID19 항원보강제 백신 후보물질 개발 지원을 위해 2021년까지 10억 도즈의 팬데믹 항원보강제 시스템을 구축할 것이라고1일 밝혔다. GSK는 자사의 팬데믹 백신 항원보강제 시스템이 COVID-19 백신 개발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GSK의 팬데믹 항원보강제를 사용하면 도즈 당 필요한 항원의 양이 줄어 더 많은 백신을 생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더 많은 사람들에게 백신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로 지난 독감 유행시즌에 그 중요성을 입증한 바 있다. 추가로 백신 항원보강제는 면역반응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감염에 대해 더 강력하고 오래 지속되는 면역력을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SK는 자사의 팬데믹 항원보강제 기술을 COVID-19 백신 후보 물질을 개발 중인 협력사에 제공하는 것을 최우선으로 두고 있다. 현재까지 GSK는 백신 개발을 위해 북미, 유럽, 중국의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한 협력사들과 다양한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또한 잠재적인 파트너들과 2020.06.01
[인포그래픽] 코로나19 바이러스 얼마나 오래 남을까?
2020.06.01
메드팩토, ASCO서 데스모이드종양 치료 가능성 제시
바이오마커 기반 혁신신약 개발 기업 메드팩토는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연례회의에서 '백토서팁'의 데스모이드종양에 대한 연구자임상시험 1b/2a상 초기 결과를 발표했다고 1일 밝혔다. 데스모이드종양 임상은 백토서팁과 항암제 성분 이마티닙을 병용 투여하는 것으로, 세브란스병원 김효송 교수가 주관하고 있다. 발표에 따르면, 데스모이드종양 환자를 대상으로 안전성 및 약동학을 평가한 결과, 우려할 만한 부작용이 관찰되지 않았고, 용량제한독성(DLT)도 보고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현재는 임상 2a상 단계에서 유효성 검증을 진행 중이다. 백토서팁과 이마티닙 병용요법의 초기 항종양활성 평가 결과에서는, 객관적 반응률(ORR) 28.6%(2명/7명)로 기존에 보고된 이마티닙 단독요법 1년 반응률(11~13%) 대비 높은 개선 효과를 나타냈다. ORR 확보 기준에 미치지 못한 피험자 중 일부는 유의미한 치료 효과에 근접하는 수준의 종양 감소 수치를 보였다. 6개월 무진행생존율(PFS)도 100% 2020.06.01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