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스트앤바이오, 65억원 시리즈A 투자 유치
맞춤형 항암 신약 스크리닝 및 세포 치료제 플랫폼 개발 기업 넥스트앤바이오가 65억 규모의 시리즈A 투자를 유치했다고 3일 밝혔다. 넥스트앤바이오는 오가노이드(Organoid, 장기 유사체) 기술에 미세유체역학 기술을 접목한 기업으로 이번 투자 유치를 통해 신약 평가 플랫폼을 이용한 국내외 비즈니스를 본격화할 계획이다. 이번 투자에는 한국 콜마, HK이노엔(구 CJ헬스케어), 스톤브릿지벤처스, 현대투자파트너스, 현대기술투자 등 총 5개 투자사가 참여했으며 총규모는 65억원이다. 넥스트앤바이오는 최신 조직공학 기술이 적용된 차세대 배양 기술을 기반으로, 환자로부터 유래된 줄기세포 및 3차원 장기 유사체인 오가노이드를 표준형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현재 오가노이드 기업 중 가장 먼저 정부기관과 함께 오가노이드를 이용한 바이오 의약품에 대한 안전성 평가 가이드라인 구축을 위한 과제를 진행하고 있으며 국내 제약기업 및 병원, 벤처기업들과 함께 항암 신약에 대 2020.04.03
클리노믹스, 헝가리 정부와 코로나19 진단키트 수출계약 체결
아미코젠 관계사 클리노믹스가 헝가리 정부와 코로나바이러스(COVID-19) 진단키트 수출계약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클리노믹스가 헝가리에 수출할 코로나바이러스 진단키트는 테스트 50만회분으로 약 400만 달러 규모다. 수출할 진단키트의 원활한 공급을 위하여 클리노믹스는 코로나바이러스 진단키트 제조사인 원드롭과의 공급계약도 체결했다. 클리노믹스는 국내 유전체 검사와 다중오믹스 기반 조기진단 전문 기업으로 미국 및 영국 등 지사를 설립하는 등 글로벌 회사로 발돋움하고 있다. 올 3분기 코스닥 시장 상장을 계획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유전체 진단검사, 액체생검 플랫폼 기반의 암 모니터링, 다중오믹스 기반 조기진단(자살/우울증, 심근경색, 대장암, 폐암 등) 등 다수의 기술들을 토대로 4월부터 기술성 평가에 진입할 예정이다. 원드롭은 '1copy' 기술을 활용해 코로나바이러스 진단키트를 개발했다. 1copy는 기존 암진단 제품에 활용하던 기술로 단일분자 수준의 유전자 측정이 가능하다. 원 2020.04.02
바이오니아, 아프리카 가봉 등에 18억 규모의 추가 수출 계약 체결
바이오니아가 코로나19 수출용허가 승인 이후 대리점이 없는 3개국에 분자진단시스템과 코로나19 진단키트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해 공급을 시작했다고 2일 밝혔다. 바이오니아는 25개 국가 대리점을 통해 코로나19 관련 분자진단용 장비와 진단키트, 추출시약 등에 대한 공급하고 있는 가운데 대리점이 없던 아프리카 가봉, 중동 레바논 등에도 코로나19 진단키트를 턴키 방식으로 공급하는 18억 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 아프리카 가봉은 분자진단 장비가 크게 부족한 상황이라 코로나19 검사를 확대하기 위해 전세기로 검사인력을 바이오니아에 파견한다. 회사의 분자진단시스템 운용 교육을 이수하고 분자진단장비와 코로나19 진단키트를 직접 공수해 신속하게 검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바이오니아 관계자는 "바이오니아의 분자진단시스템 ExiStation은 임상시료만 투입하면 수작업 없이 핵산추출부터 PCR 시약 혼합까지 자동으로 검사할 수 있어 검사자의 에러를 줄이고 신속·정확한 검사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2020.04.02
압타바이오, 혈액암 치료제 'Apta-16' 특허 취득
압타바이오가 혈액암 치료제 'Apta-16' 특허를 취득했다고 2일 공시했다. Apta-16은 회사의 원천기술인 Apta-DC를 기반으로 발전시킨 혈액암 치료제다. 개발 초기 단계였던 2016년에 삼진제약을 대상으로 기술이전(라이선스아웃)을 완료했다. 이번 특허는 삼진제약과 공동연구를 통해 이룬 성과로, 두 회사가 공동 특허권자로 등록됐다. Apta-16은 지난해 전임상을 성공적으로 완료했으며 올해 임상 1/2상 진입을 목표로 회사는 막바지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압타바이오가 이번에 취득한 특허 기술은 '압타머-약물융합체'로 혈액암 치료에서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혈액암 1차 치료제에서 효과가 미비한 경우나 1차 치료제 내성 발현의 경우에도 치료 효과가 우수했다. Apta-DC는 암세포의 표면에 존재해 암세포가 증식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뉴클레오린(nucleolin) 단백질을 타깃해 결합한다. 뉴클레오린과 결합한 압타머-약물융합체는 암세포 내로 들어가 암세포 성장 및 증식을 정 2020.04.02
애브비, 급성골수성백혈병 아자시티딘 병용요법 제3상 임상 연구 결과 발표
애브비는 이전 치료 경험이 없고 집중 항암화학요법에 부적합한 급성골수성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 환자를 대상으로 한 VIALE-A(M15-656) 임상연구에서 벤클렉스타(성분명 베네토클락스)와 아자시티딘(azacitidine) 병용요법이 위약군 대비 전체 생존기간(OS) 및 복합 완전관해율(CR+CRi)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하는 이원적 1차 유효성 평가 변수를 달성했다고 2일 밝혔다. 독립 데이터 모니터링 위원회(IDMC)의 권고와 사전 지정된 중간 분석 계획에 따라 전체 생존 기간의 1차 중간 분석에서 긍정적인 유효성 결과를 보이면서 임상 연구 결과가 조기에 보고될 예정이며 연구 데이터는 미국 식품의약국(FDA) 및 세계 보건 당국에 제출될 것이다. 연구 결과는 추후 의료전문가 학술대회에서 발표되거나 동료 검토 저널에 게재될 예정이다. 애브비 네일 갈라퍼(Neil Gallagher) 의학 박사는 "지난 30년간 집중 항암화학요법 혹은 골수이식을 받을 수 2020.04.02
美FDA 라니티딘 즉시 퇴출 결정…보관 온도높고 기간길면 NDMA 크게 증가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미국에서 라니티딘 성분의 모든 처방의약품 및 일반의약품(OTC)이 시장에서 퇴출된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잔탁(Zantac)이라는 브랜드명으로 알려져 있는 라니티딘 제제에서 발암물질인 NDMA(N-Nitrosodimethylamine)가 검출된 것에 대한 조사 결과 시장에서 즉시 철수시키도록 결정했다고 1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번 결정으로 라니티딘 제품은 미국에서 즉각 퇴출되며, 신규 또는 기존 처방, OTC 사용이 불가능하다. FDA는 일부 라니티딘 제품에서 검출된 불순물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리고 실온보다 높은 온도에서 보관될 때 증가해 소비자들이 허용될 수 없는 수준의 불순물에 노출될 수 있다고 결정했다. NDMA는 인간 발암 물질(probable human carcinogen)로, 노출 수준이 높을수록 사람의 암 발생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지난해 여름 라니티딘에서 NDMA가 낮은 수준으로 발견되면서 FDA는 2019년 9월 대중 2020.04.02
오픈 이노베이션 위한 제 3기 '머크 액셀러레이터 차이나' 참가 스타트업 모집
머크는 중국 이노베이션 허브에서 유망 스타트업을 발굴해 지원하는 머크 액셀러레이터(Accelerator) 차이나 프로그램의 2020년 첫번째 세션에 참가할 기업을 모집한다고 1일 밝혔다. 선정된 스타트업은 중국 상하이에 있는 이노베이션 허브 및 광동, 베이징에서 머크 전문가들과 집중적으로 협력하게 된다. 독일 본사에서 진행하는 프로그램과 별개로 운영되며 올해 3회를 맞는 머크 액셀러레이터 차이나 프로그램은 머크의 글로벌 혁신 네트워크 중 하나인 중국 이노베이션 허브가 진행하는 프로그램이다. 중국 이노베이션 허브는 스타트업, 학계, 업계, 현지 정부와의 파트너십 구축함으로써 머크 그룹과 협력 기업의 독창적인 기술과 전문성을 결합,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중국을 포함한 전세계 시장에 새로운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국 머크 글렌 영 대표는 "머크는 현재의 사업 분야를 뛰어넘는 혁신을 통해 새로운 사업을 창출하고 있다. 한국의 스타트업들이 머크 액셀러레이터 프로그램을 통해 2020.04.01
한국베링거인겔하임, 만성폐쇄성폐질환 및 천식 환자 위한 다회용 레스피맷 출시
한국베링거인겔하임은 1일 새로운 다회용 레스피맷을 국내 시장에 출시했다. 다회용 레스피맷은 COPD 치료제인 바헬바 레스피맷(성분명 티오트로퓸+올로다테롤)와 COPD 및 천식 치료제인 스피리바 레스피맷(성분명 티오트로퓸)의 주성분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새로운 흡입기다. 더 쉽고 편리한 사용을 위한 향상된 기능들을 제공하며 환자들은 리필 카트리지만 6개까지 교체해 레스피맷 흡입기를 재사용할 수 있게 됐다. 서울대병원 호흡기내과 유철규 교수는 "COPD와 같이 흡입기 사용을 필요로 하는 호흡기질환 환자들은 흡입기 조작, 흡입 등에 어려움을 경험할 수 있다"며 "그렇기 때문에 환자들에게 최적의 흡입기와 그 흡입기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올바른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는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진료 가이드라인에서도 강조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에 새롭게 출시된 다회용 레스피맷은 흡입기의 크기를 키워 그립감이 개선됐으며 조립법 역시 단순해져 카트리지를 2020.04.01
천랩, 호주법인 설립으로 마이크로바이옴 신약개발에 박차
마이크로바이옴 빅데이터 플랫폼 기업 천랩이 호주 시드니에 현지 법인(ChunLab LBP Pty., Ltd.)을 설립하고 마이크로바이옴 신약개발을 위해 5억원을 출자 한다고 1일 밝혔다. 천랩은 지난해 빅데이터 플랫폼을 통해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후보물질 CLCC1을 발굴하고 고형암에 효과를 보이는 전임상 유효성 데이터를 확보했다. 이번 호주법인 설립을 통해 의약품으로서의 미생물 생산 인증(cGMP) 시설을 보유하고 있는 호주의 전문 의약품 위탁개발 생산기관(Contract Development and Manufacturing Organization, CDMO)인 루이나 바이오(Luina Bio)와 계약을 체결해 안전성시험과 임상시험을 위한 신약 제제 생산을 본격화 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더불어 글로벌 임상수탁 연구기관(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 CRO)과 안전성시험과 임상시험의 준비를 위한 미팅을 진행하는 등 오픈이노베이션 전략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2020.04.01
마크로젠-성균관대, 과학수사 분야 연구개발 위한 MOU 체결
정밀의학 생명공학기업 마크로젠은 지난달 31일 서울 가산동 본사에서 성균관대 과학수사학과와 법유전학 및 소비자 직접 의뢰(Direct-To-Consumer, DTC) 유전자 검사를 통한 개인 식별 연구를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개인 식별 분야(STR, SNP) 연구 개발 ▲마이크로바이옴 및 DTC 유전자 검사를 통한 개인 식별 추정 연구 ▲개인 식별 관련 국책과제 수행 등 다양한 협력을 추진하기로 했다. 마크로젠은 과학수사에서 개인의 신원을 확인하는 데 필요한 STR(Short Tandem Repeat, 짧은연쇄반복) 및 SNP(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단일염기다형성) 분석 서비스를 제공한다. STR 분석은 개인 간 짧은 염기서열이 반복되는 특정 구간의 길이를 비교하는 방식이며 SNP 분석은 한 개의 염기서열에서 개인별로 나타나는 차이를 분석하는 방법이다. 해당 분석 방법은 범죄 현장 증거물에서 용 2020.04.01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