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정바이오-씨엔알리서치, 신약개발·협력 MOU 체결
우정바이오는 지난 25일 경기도 광교 본사에서 국내 1위 임상시험수탁기관(CRO) 씨엔알리서치(C&R Research)와 글로벌 신약에 대한 공동연구개발 및 투자에 관한 전략적 업무제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신약개발 사업화를 위한 ▲공동연구·개발·교육·투자 ▲신약개발사업 추진을 위한 인프라 협력 ▲초기 비임상·임상단계에서의 정확한 데이터와 솔루션 제시 ▲인허가를 위한 비임상·임상시험 및 협력 ▲글로벌 비임상·임상시험 확대 및 발전전략 공유 ▲유망 스타트업 발굴 및 인큐베이팅 협력 ▲산·학·연 파트너십에 기반한 전문 인력풀 및 리소스 활용 등의 분야에서 긴밀히 상호협력하기로 했다. 씨엔알리서치 윤문태 대표이사는 "우정바이오가 그간의 경험과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국내 최초로 민간주도 신약클러스터 건립을 추진한다는 소식에 매우 감명 깊었다. 신약개발에 중요한 것은 전략적 시험 데이터 구축이다. 신약개발에서 필수적 시험은 임상시험인데 임상시험을 위 2020.03.26
카이노스메드, AI신약개발기업 닥터노아바이오텍과 공동연구 협약 체결
하나금융11호스팩과 합병상장을 추진하고 있는 카이노스메드가 인공지능(AI) 플랫폼을 활용한 신약개발에 나선다. 카이노스메드는 AI기반 신약개발 전문기업인 닥터노아바이오텍과 공동연구개발 협약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닥터노아바이오텍은 AI플랫폼을 활용해 타깃 질환에 최적화된 물질의 구조를 제공하고 이를 기반으로 카이노스메드가 물질합성 및 최적화를 통해 신약후보물질로 도출해 낼 계획이다. 카이노스메드는 파킨슨병과 에이즈 등 난치병 치료제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에이즈치료제인 KM-023는 현재 중국 임상 3상이 진행 중이며 KM-819는 미국에서 파킨슨병 치료제로, 한국에서 다계통위축증 치료제로 각각 올해 임상 2상을 시작할 계획이다. 항암제, 항바이러스 치료제 등의 연구 파이프라인이 있으며 신규 파이프라인 구축에 닥터노아바이오텍의 AI 기반 ARK 플랫폼을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닥터노아바이오텍은 문헌 정보, 유전체 정보, 구조 정보 등을 통합 분석할 수 있는 AI 2020.03.25
알테오젠, 한림제약과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국내 판매 위한 협약 체결
알테오젠은 한림제약와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의 국내 판매를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협약 체결에 따라 한림제약는 알테오젠이 개발 중인 황반변성 치료제인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의 국내외 임상시험에 필요한 임상비용의 일부를 투자하고 국내판매권을 독점으로 보유한다는 내용으로 양사는 추진위원회를 구성해 조속한 시일 내에 본 계약을 체결을 할 예정이다. 알테오젠의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는 이미 오리지널사의 제형 특허를 회피한 고유의 제형 특허를 확보하고 있어 한국, 일본, 제3국가 등에서 오리지널사의 물질 특허가 만료되는 2024년에 제형 특허와 상관없이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제품을 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난해 말 국내 처음으로 임상 1상을 시작했고 올해 말 예정된 임상 3상을 위해 임상시험약을 제조하고 있다. 또한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단백질의 생산을 위한 배양 조건 최적화로 품질 향상 및 대량 생산에 대한 특허가 국내 및 호주에 등록돼 어느 경쟁사보다 먼저 제품을 발 2020.03.25
에스씨엠생명과학, 인하대병원과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업무협약 체결
에스씨엠생명과학(SCM생명과학)이 인하대병원과 24일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및 임상시험용의약품 'SCM-AGH'의 코로나19 중증 환자 대상 치료목적임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SCM생명과학과 인하대병원은 최근 전 세계적으로 인류 사회에 위협이 되고 있는 코로나19 사태에 대응하기 위해 바이러스의 확산 방지 및 치료제 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관련 연구개발 및 임상에 협력하기로 상호 협의했다. 면역 과잉 반응인 '사이토카인 폭풍(cytokine storm)'은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 환자들 중 기저질환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폐렴증세를 보이다가 사망하게 되는 주요 원인으로 파악되며 특히 젊은 층에서 발생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다발성 장기부전과 패혈증으로 악화되기 전 급성 염증을 조절하는 적절한 초기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SCM생명과학의 SCM-AGH는 코로나19로 발생하는 사이토카인 폭풍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질환을 치료할 가능성이 높 2020.03.25
EDGC 헬스케어, 미국 주정부 코로나19 진단시약 100만명분 LOI 체결
이원다이애그노믹스(EDGC)는 자회사인 EDGC 헬스케어가 뉴욕, 네바다, 캘리포니아 등 미국 다수의 주정부와 관계회사인 솔젠트의 코로나19 진단시약 100만명분 LOI를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EDGC 헬스케어 관계자는 "미국 다수의 주에서 코로나 감염증의 빠른 확산에 따라 EDGC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 대규모 시약 공급으로 미국을 포함해 전세계 194여개 국에 이르는 펜더믹(세계적 대유행) 상황을 조기 종료하는데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25일 오전 문재인 대통령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진단키트 기업 초청 간담회 EDGC 관계회사 솔젠트의 유재형 공동대표가 5개 기업 중 1개 기업 대표로 참석했으며 글로벌 위기 상황에 따른 의견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유 대표는 ▲GMP 공장의 증설에 따른 변경 신고 절차 간소화, 생산관련 기자재 및 설비 지원 ▲미국 FDA승인 등 각 국가 승인에 정부의 전폭 지원 요청 ▲K-POP과 같이 K-BIO와 같은 국가적인 브랜 2020.03.25
"주요 혁신기술은 대형 제약사에서 나오지 않는다"…노바티스의 디지털 헬스케어 오픈이노베이션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대부분의 디지털헬스케어 분야 관계자는 주요한 혁신 기술이 대형 제약사에서 나올 것이라 생각하지 않는다. 그러나 우리는 스타트업, 혁신가와의 교류 및 협력을 통해 보다 대담하고 지속적으로 확장 가능한 무언가를 만들 수 있다." 노바티스 바이옴(Novartis Biome)의 혁신전략부서 책임자이자 공동 설립자인 로빈 로버츠(Robin Roberts)가 24일 한국노바티스 이노베이티브 뉴스레터(Innovative Newsletter)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노바티스 바이옴은 다양한 오픈이노베이션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디지털 혁신 연구소다.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는 계속해서 진화하고 있다. 질병을 예측하는 알고리즘을 만들 있수 있고, 제약사의 의약품 개발과 유통 방식에 변화를 가져오거나 치료법을 더 낮은 비용으로 신속하게 제공하는데도 도움을 줄 수 있다. 뉴스레터는 "유망한 디지털 발명품이라도 우리의 건강에 바로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의료 기술 생태 2020.03.24
고바이오랩,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2호 'KBLP-002' 글로벌 임상 돌입
고바이오랩이 마이크로바이옴 신약후보 'KBLP-002'의 호주 임상1상 시험 승인을 획득했다고 23일 밝혔다. 고바이오랩 관계자는 "임상 1상 시험에 들어갈 KBLP-002는 자체 보유한 마이크로바이옴 플랫폼기술인 SMARTiome 기술을 통해 발굴한 두 번째 신약 후보로 아토피성 피부염 및 천식 등 다양한 알레르기성 면역 질환에 효능을 보이는 치료제 후보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고바이오랩은 면역 피부 질환 치료 신약 후보인 'KBLP-001'에 이어 'KBLP-002'의 임상 1상에 진입하며 주요 파이프라인의 임상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첫 번째 신약 후보인 KBLP-001은 현재 임상1상 투약을 마쳤으며 미국식품의약국(FDA)에 임상 2상 진행을 위한 임상시험계획(IND)을 제출할 준비를 하고 있다. 회사는 지난해 FDA와 Pre-IND 미팅을 통해 KBLP-001의 글로벌 임상 시험에 필요한 요건을 사전에 충족시켜 임상 2상 IND 승인은 큰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2020.03.23
바이오니아, '코로나19' RNAi 치료제 개발 본격 착수
바이오니아는 신약개발전문 자회사 써나젠테라퓨틱스와 함께 코로나19(COVID-19)와 사스(SARS) 바이러스 증식을 억제하는 SAMiRNA 기반 치료제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고 23일 밝혔다. 바이오니아는 바이러스 게놈분석을 통해 코로나19 바이러스와 SARS 바이러스 증식을 모두 억제할 수 있는 SAMiRNA 후보물질들을 설계했다. 12일 후보물질 480종 합성을 완료했고 생물안전 3등급 시설보유 국가기관들과 협의해 코로나19 바이러스를 대상으로 약효탐색을 시작했고, 치료 후보물질을 4월 이내에 도출해 써나젠테라퓨틱스에서 신속하게 임상개발을 진행할 예정이다. siRNA 치료제는 바이러스의 RNA를 정확히 인식해 바이러스의 RNA를 분해하는 메커니즘이다. 이 분야의 선도기업인 미국의 앨라일람(Alnylam Pharmaceuticals)은 4일 고위험 바이러스 신약을 개발하는 Vir 바이오테크놀로지(Vir Biotechnology)와 공동연구를 통해 350여 개의 후보물질을 합성해 코 2020.03.23
英이비인후과 의사들 "코로나19, 다른 증상 없이 후각·미각 상실만 나타날 수 있다"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영국 이비인후과 의사들이 갑자기 냄새를 잘 맡지 못하게 되거나 맛을 느끼지 못하게 된다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COVID-19)을 의심해봐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특히 후각상실증은 다른 증상 없이 코로나19 검사 결과 양성인 환자에서 나타났다며, 이들이 숨겨진 바이러스 보균자일 수 있다고 했다. 이에 따라 영국 의사들은 코로나19 감염 가능성에 대한 선별도구 목록에 후각상실증과 미각장애를 추가할 것을 제안했다. 알레르기성 비염이나 급성 비염, 만성 비염과 같은 다른 호흡기 질환 없이 후각상실증과 미각장애가 나타난다면 의사에게 코로나19 감염 가능성을 경고하고, 자가격리 및 코로나바이러스 검사를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23일 뉴욕타임즈 등 외신에 따르면 영국비과학회(British Rhinological Society) 회장 클레어 홉킨스(Clare Hopkins) 교수와 영국이비인후과학회(ENT UK) 회장 너멀 쿠마(Nir 2020.03.23
큐리언트, 이종 독감백신 접종으로도 항 바이러스 면역 증대 효과 확인
큐리언트는 현재 개발 중인 후보물질 중 이종백식 접종으로도 항바이러스 면역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물질 Q601을 발굴해 동물 실험을 통해 그 효과를 확인했다고 23일 밝혔다. 일반 A형 독감(H1N1) 백신투약 후 조류독감(H5N1) 바이러스 감염 시 대부분 생쥐가 사망한 반면 Q601로 명명된 이 물질을 경구 투약 후 일반 A형 독감 백신을 접종받은 생쥐는 조류독감에 대한 면역이 증대되어 생존률이 90% 이상으로 급격히 증가하는 효과를 보였다. 매년 전세계 독감 유행 예측을 통해 독감 백신의 선 생산이 이루어 지지만 예측이 빗나갔을 경우 백신 효과가 제한적으로 나타나 많은 환자들의 발생하고 사망하는 현상이 종종 일어나는 상황에서 이번 발견과 같이 이종백신 접종으로도 효과를 보일 수 있다면 바이러스의 대유행을 막을 수 있다. 현재 독감바이러스(Influenza virus)를 통해 확인된 Q601의 효과는 현재 유행 중인 코로나19(Covid19)에도 적용 가능하며 특히 향후 코로나 2020.03.23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