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헬스케어 신약 케이캡, 중남미 8400만 달러 규모 수출
CJ헬스케어는 중남미 17개 국가에 케이캡정(성분명 테고프라잔)을 독점 공급하는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중남미 수출 계약으로 CJ헬스케어는 멕시코 카르놋에 계약금 및 국가별 기술료, 순 매출에 따른 로열티, 제품 공급 금액을 포함해 10년 간 약 8400만 달러(약 1008억 원)규모의 케이캡정 완제품을 공급하게 된다. 케이캡정은 카르놋을 통해 중남미 시장에서 멕시코를 필두로 2022년부터 17개 국가에서 순차적으로 출시될 예정이다. 카르놋은 1941년 설립된 멕시코 제약회사로 멕시코에서 소화기 의약품 시장 점유율 1위(2018년 9월 IQVIA 기준)를 차지하고 있다. 멕시코 외에도 브라질, 아르헨티나, 콜롬비아 등 중남미 전역에 자회사 및 지사를 보유하고 있다. 2016년 BMI Research 자료에 따르면 중남미 의약품 시장 규모는 브라질(199억 달러), 멕시코(97.9억 달러), 아르헨티나(54.2억 달러), 칠레(35.2억 달러), 콜롬비아(31 2019.02.13
머크, 美 제약 바이오 R&D 시설 확충…혁신 임상 파이프라인 강화
머크(Merck KGaA)가 7000만 달러를 투자해 미국 매사추세츠주 빌레리카(Billerica, Massachusetts)에 소재한 첨단 연구개발(R&D) 시설을 확충한다고 13일 밝혔다. 새로 투자되는 제약 바이오 R&D 시설은 연면적 14만 5000 평방피트에 실험실과 협업 공간을 갖추게 되며 신규 충원될 인력을 포함해 400여명의 연구진들이 종양, 면역항암, 면역 분야에서 연구 속도를 앞당기게 된다. 머크 바이오파마에서 글로벌 연구개발을 총괄하는 루치아노 로세티 박사는 "능력과 열정을 갖춘 빌레리카 R&D 센터 연구원들은 그 동안 다수의 제약 바이오 후보 물질을 개발하는 데 전념해 왔다"며 "우리는 글로벌 제약 바이오 R&D 본사가 있는 독일 담스타트와 함께 미국 R&D 센터에서도 혁신적인 연구 활동을 지속해 전세계 환자들에게 새로운 연구 가치를 전달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이번 투자를 포함해 머크가 미국 매사추세츠주 제약 바이오 R&D 시설에 투자한 금액은 최근까지 1억 2019.02.13
테라젠이텍스, '맞춤형 유전체 분석 칩' 상용화
테라젠이텍스 바이오연구소는 '테라젠 맞춤형 유전체 분석 칩(테라젠 PMRA 칩)'을 개발, 이를 활용한 연구 및 빅데이터 기반 유전자 검사 서비스에 나선다고 13일 밝혔다. 독자 기술로 기업 고유의 유전체 분석 칩을 개발해 상용화한 것은 국내에서 이번이 처음이다. 테라젠이텍스는 미국 써모피셔사이언티픽이 개발한 '아시안 맞춤형 유전체 분석 칩'을 기반으로 그간 확보한 유전체 분석 노하우를 집약해 최근 테라젠 PMRA(Precision Medicine Research Array) 칩을 완성했다. 테라젠 PMRA 칩은 82만여 개의 대규모 유전 변이를 기존과 동일한 기간 내에 동일 정확도로 분석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분석에 2주 정도 소요되며 99.8%의 재검 일치율과 포함범위(Coverage) 95% 이상의 유전체 대표성을 지니고 있다. 테라젠이텍스 홍경원 유전체서비스개발팀장은 "이 칩은 한국인을 포함한 아시아인 전체를 대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유전 지표들을 한 번에 볼 2019.02.13
길리어드 NASH 치료제 3상 실패…다음에 결과 나올 후보는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길리어드의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치료 후보물질이 3상 임상에서 실패했다. 현재 치료제가 없는 NASH 시장에서 올해와 내년에 걸쳐 3상 임상 결과가 연이어 나올 것으로 예고되면서 다음 후보물질은 어떤 결과를 보일지에 업계 관심이 쏠리고 있다. 길리어드사이언스(Gilead Science)는 11일(현지시간) 대상성 간경변증(F4)이 있는 NASH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셀론서팁(selonsertib) 3상 임상 STELLAR-4가 48주째 평가변수를 달성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셀론서팁은 산화 스트레스 상황에서 염증과 세포사멸(apoptosis) 및 섬유화를 촉진하는 단백질 ASK1(apoptosis signal-regulating kinase 1)에 대한 저분자 억제제로 하루 1회 경구 투여제로 개발되고 있다. STELLAR-4 연구에서는 17~80세 성인 환자를 셀론서팁 18㎎(n=354), 6㎎(n=351) 또는 위약(n=172) 군에 무작위 2019.02.13
GC녹십자, 2018년 매출 1조3349억…전년比 3.6%↑
GC녹십자는 연결재무제표 기준 지난해 매출이 1조3349억원으로 전년보다 3.6%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12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50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4.5% 줄었고, 당기순이익 규모는 343억원을 기록했다. GC녹십자는 주력인 혈액제제 사업 부문 등에서 견고한 성장세가 이어지며 사상 최대 매출을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GC녹십자의 국내 매출은 전년 대비 2.4% 늘어났다. 부문별로 보면 혈액제제 사업의 매출 규모가 3.9% 증가했고 전문의약품 부문도 8.9%의 매출 성장세를 보였다. 해외 매출 역시 혈액제제의 중남미 수출 증가에 따라 10.1%의 높은 성장세를 나타냈다. 다만, 백신 사업의 경우 자체 생산 품목인 독감백신의 내수 판매실적이 경쟁 심화 속에서도 양호한 성적을 냈지만 외부 도입 상품은 공급 지연 등의 영향으로 판매가 다소 부진했다. 이와 같이 외형이 성장하는 동안 수익성 변동 폭이 컸던 이유는 연구개발 비용이 지난해 같은 기간 보 2019.02.12
이뮨온시아, 파라투스에스피 사모투자합자회사로부터 435억원 투자 유치
면역항암제 개발 회사 이뮨온시아는 파라투스에스피 사모투자합자회사로부터 총 435억원 규모의 투자유치에 성공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뮨온시아는 유한양행과 미국의 항체신약 개발기업 소렌토가 합작해 지난 2016년 설립한 조인트 벤처 회사로 면역항암제 연구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이뮨온시아는 미국 내과 전문의이자 삼성종합기술원, 사노피 글로벌 R&D 출신의 송윤정 대표를 위시해 국내외 제약사에서 15~20년 신약개발 경험이 있는 연구개발 인력으로 구성돼 있다. 지난해 2월 국내에서 면역항암제 'IMC-001'의 임상 1상 시험계획을 승인 받아 현재 임상 1상 시험의 완료단계에 있다. IMC-001은 암세포 표면에 있는 단백질의 일종인 PD-L1을 표적으로 하는 면역관문억제제로 인체 내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해 암을 치료하는 3세대 항암제인 면역항암제의 일종이다. 이뮨온시아는 IMC-001을 희귀암에 대한 'First-to-Market'을 목표로 임상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바이오마커 2019.02.12
브릿지바이오, 국제 학회서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 후보물질 임상 1상 결과 발표
브릿지바이오가 7일(현지시간)부터 사흘간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개최된 2019 크론씨병·대장염학회(Crohn’s & Colitis Congress)에서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 후보물질 BBT-401의 전임상 및 임상 1상 주요 결과를 발표했다고 12일 밝혔다. 포스터 형식으로 진행된 이번 발표에는 동물 모델을 대상으로 진행된 BBT-401의 전임상 효력시험 및 건강한 성인 자원자를 대상으로 한 미국임상 1상의 주요 결과와 더불어 올 2월부터 실제 궤양성 대장염 환자를 대상으로 첫 투약이 시작된 미국임상 2상에 대한 향후 계획이 포함됐다. 쥐 등의 동물모델을 대상으로 한 전임상 효력시험 결과, BBT-401은 기존 약물 대비 개선된 임상 지표 및 병리 지수를 나타내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확인했다. 아울러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한 임상 1상에서 경구 투여시 약물의 전신노출 없이 안전성 및 내약성이 확인돼 향후 병변(손상된 대장 내 점막)에서만 약물이 작용해 치료효율이 높은 신약으로의 개발 2019.02.12
글로벌 주요 3사 2018년 유럽 바이오시밀러 시장 성과와 전략은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2018년에도 바이오시밀러와의 경쟁으로 유럽에서 블록버스터 의약품의 매출이 많이 감소했다. 특히 휴미라(Humira, 성분명 아달리무맙)은 4분기 처음으로 바이오시밀러와 경쟁하면서 분기 매출(미국 제외)이 약 15% 감소했다. 휴미라 바이오시밀러로는 암젠(Amgen)의 암제비타(Amgeivita), 산도스(Sadoz)의 하이리모즈(Hyrimoz), 삼성바이오에피스(Samsung Bioepis)이 임랄디(Imraldi), 마일란(Mylan)의 훌리오(Hulio)등이 출시됐는데, 각 회사의 2018 실적자료를 분석해보면 경쟁 첫 분기 매출 성과는 임랄디가 가장 앞서나가고 있다. 바이오시밀러에 대한 매출 실적이 공개된 주요 글로벌 제약회사들의 4분기 컨퍼런스 콜 내용을 바탕으로 유럽 시장에서 각 회사의 성과와 전망을 살펴봤다. 바이오젠, 임랄디 출시 첫 분기매출 1700만 달러로 순항 바이오젠(Biogen)의 바이오시밀러 매출은 2018년 4분기 1억 350 2019.02.12
대웅재단, 신진의과학자 지원 위한 '제1회 대웅학술상' 개최
대웅재단이 지난달 31일 잠실 베어크루즈에서 ‘대웅학술상' 시상식을 개최했다고 11일 밝혔다. 시상식을 통해 ▲고현용 박사(한국과학기술원 의과학대학원 의과학과) ▲이승주 교수(서울아산병원 신경외과) ▲이용호 교수(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에게 대웅학술상을 수여했다. 대웅학술상은 대웅재단이 창의적인 연구가 지속 시도되어 한국 의과학 연구분야의 진흥과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올해 첫 제정한 것으로, 신진의과학자의 우수한 연구 성과에 수여하는 상이다. 45세 미만의 MD취득자 중 5년 내 우수한 가치와 높은 사회 공헌도를 가진 연구논문을 발표한 의과학자를 발굴해 포상한다. 이번 대웅학술상은 의과학 전 분야를 망라해 지원한 86명을 대상으로 운영위원회의 논문 분석평가와 심사를 통해 최종수상자 3명을 선정했으며 총 3000만원의 상금을 수여했다. 수상자 고현용 박사는 난치성 뇌전증의 치료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여 기존의 학설을 반박하며 뇌전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발명해 국외 P 2019.02.11
삼성바이오에피스, 중국 기업과 두 번째 파트너십 체결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중국 기업과 두 번째 파트너십을 체결하며 중국 바이오의약품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하기 시작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11일 중국의 벤처펀드 운용사‘C-브릿지 캐피탈(C-Bridge Capital)′과 바이오시밀러 제품 판권 계약 관련 파트너십을 맺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에 따라 삼성바이오에피스와 C-브릿지는 SB3(성분명 트라스투주맙, 허셉틴 바이오시밀러), SB11(성분명 라니비주맙, 루센티스 바이오시밀러) 그리고 SB12(성분명 에쿨리주맙, 솔리리스 바이오시밀러)에 대한 중국 내 임상, 인허가 및 상업화를 협업하게 된다. C-브릿지는 중국에 '에퍼메드 테라퓨틱스(AffaMed Therapeutics)'라는 이름의 바이오 기업을 설립해 향후 승인 받는 제품의 판매를 담당할 예정이며, 삼성바이오에피스는 판권 계약에 대한 선수금을 확보하고 이후 제품 판매에 따른 일정 비율의 로열티를 지급 받는다. 삼성바이오에피스 고한승 사장은 "삼성바이 2019.02.11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