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인증 취득·온실가스 절감 등 수출기업 ESG 경영강화 기조에 대비"
[메디게이트뉴스 서민지 기자] 국내 제약바이오기업을 비롯한 보건산업 수출 기업들은 코로나19 이후 국제통상 환경의 급격한 변화와 인플레이션 압박에 따른 자국 중심의 공급망 개편 시도, 보호무역주의 통상정책 변화와 함께 ESG 요소들이 새로운 통상쟁점으로 부각되는 사안에 대비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이주하 책임연구원은 22일 보건의료 통상리포트 창간호를 통해 "최근 ESG 요소들이 국가 규제와 통상정책 등에 반영되면서, 해외 진출 기업 등에게 비관세 장벽으로 작동할 수 있다"고 밝혔다. ESG는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를 의미하며, 기업의 비재무적 성과를 정량화, 계량화해 기업경영에서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을 판단하고 달성하기 위한 3가지 핵심 요소를 의미한다. 과거 기업의 가치는 재무제표와 같은 단기적, 정량적 지표에 의해 주로 평가돼왔던 데 반해, 전세계적 기후변화 위기와 코로나19 팬데 2023.05.23
알테오젠, 히알루로니다제(ALT-B4)+항체의약품 혼합제형 일본특허 결정
알테오젠은 인간 히알루로니다제 PH20 의 변이체인 ALT-B4와 각 항체의약품들의 혼합 제형에 대한 일본 특허에 대한 결정을 통지 받았다고 22일 밝혔다. 향후 추가적인 진행과정을 거쳐 특허를 등록하게 된다. 지난해 10월 밝힌 ALT-B4와 Pembrolizumab(펨브롤리주맙, 제품명:키트루다) 혼합제형 특허등록과는 별개의 건이다. 이번 특허는 알테오젠이 지적재산권 보호와 Hybrozyme™(하이브로자임) 플랫폼 확장을 위해 지속적으로 추진해 온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향후 약 10년 간 55개 블록버스터 약물의 특허 만료가 다가오고 있어 이에 대비해 다양한 항체의약품에 대응할 수 있는 혼합제형 특허가 플랫폼 확장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번 특허를 통해 ALT-B4를 사용한 SC제형 항체의약품의 독창성을 주요 의약품 시장 국가인 일본에서 인정받게 됐다. 알테오젠 관계자는 "치료제로 개발됐거나 개발될 가능성이 높은 항체를 중심으로 ALT-B4와 혼합제형의 특허를 2023.05.23
CJ바이오사이언스, R&D 투자 재원 확보 위한 유상증자
CJ바이오사이언스는 23일 공시를 통해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방식으로 약 650억원, 323만3830주 규모의 유상증자를 진행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신주 예상 발행가액은 2만100원이며, 신주 배정기준일은 7월 10일이다. CJ바이오사이언스는 이날 이사회 결의에 따라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를 통해 기명식 보통 주식을 발행하며, 대표 주관사는 NH투자증권이다. 이번 유상증자는 ‘마이크로바이옴 신약개발’ 목표 달성을 위한 조치라고 밝혔다. CJ바이오사이언스는 CJRB-101의 미국, 한국 임상 개발과 지난 3월 진행된 4D파마 신규 파이프라인 인수 등으로 신약개발 성장동력을 확보한 상태다. CJRB-101은 CJ바이오사이언스가 확보한 면역항암 타깃 신약후보물질(파이프라인)로, 올해 초 미국 FDA에서 임상1상, 2상 임상시험계획서(IND) 승인을 받았다. CJ 바이오사이언스는 "미생물 데이터베이스 정밀분석 플랫폼인 ‘Ez-Mx 플랫폼’과 4D파마의 플랫폼 기술을 접목해 차별 2023.05.23
폐암 신약 렉라자, 리얼월드 데이터 첫 발표
EGFR 변이 양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2차 치료에서 유한양행 렉라자(성분명 레이저티닙)에 대한 첫 리얼월드 데이터(Real World Data, 이하 RWD)가 발표됐다. 연세암병원 종양내과 임선민 교수와 국립암센터 종양내과 안병철 교수는 2021년 1월부터 2022년 8월까지 연세암병원과 국립암센터에서 렉라자를 투여 받은 10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통해 유효성과 안전성 데이터를 분석했다고 22일 밝혔다. 해당 RWD는 Lung Cancer 저널에 게재됐다. 이번 연구는 EGFR 변이 양성 비소세포폐암 환자 중 이전에 EGFR-TKI 치료제 사용 후 내성이 생긴 T790M 환자를 대상으로 했다. 이번 RWD연구를 통해 실제 임상현장에서 렉라자의 EGFR T790M 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 2차 치료에서 일관된 효과와 안전성을 재확인했다. 분석의 대상이 된 환자 103명 중 90명이 2차 또는 3차 치료제로 렉라자를 투여 받았다. 1차 평가지표는 무진행 생존기간 중앙값( 2023.05.22
동아제약 파티온, 노스카나인 트러블 바디워시&미스트 2종 출시
동아제약은 트러블케어 전문 브랜드 파티온이 ‘노스카나인 트러블 바디워시&미스트’를 출시했다고 22일 밝혔다. 노스카나인 트러블 바디워시&미스트는 여름철 과도하게 분비되는 유분과 피지로 인해 유발되는 바디 트러블을 케어하는 데 도움을 준다. 바디 워시는 살리실산(BHA) 성분으로 여드름성 피부 완화에 효능이 있는 기능성 제품이다. 트러블의 주요 원인인 과도한 유분과 각질을 씻어내는 항균 제품으로 모공에 쌓인 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케어한다. 임상 연구센터를 통해 유분 개선, 피지 개선 테스트를 완료해 2주 사용 시 유분 및 과잉 피지가 개선됐으며, 한 번 사용으로 항균(P.acne) 99.60%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노스카나인 트러블 바디미스트는 바디트러블의 진정뿐만 아니라 잡티, 색소침착을 개선하는 제품이다. 나이아신아마이드와 트라넥사믹애씨드 성분 설계로 색소침착 완화의 시너지 효과를 높였다. 임상 연구센터를 통해 외부 자극(냉풍, 온풍, 열)에 의해 자극된 피부 진정, 잡티 2023.05.22
종근당, 관절 건강기능식품 ‘관절엔 자관원’ 출시
종근당은 최근 관절, 연골 건강에 도움을 주는 프리미엄 관절 건강기능식품 ‘관절엔 자관원’을 출시했다고 22일 밝혔다. 관절엔 자관원은 관절과 연골조직을 구성하는 황성분의 일종인 MSM을 비롯해 새우, 게 등 갑각류의 주성분인 키틴에서 추출한 N-아세틸글루코사민(NAG), 수용성 칼슘을 주성분으로, 관절 건강에 도움을 주는 제품이다. 주성분 외에도 녹용, 홍삼, 당귀 등 20가지의 다양한 한방 소재를 배합하여 기능성을 강화했다. 이 제품은 4단계 공정으로 불순물을 최소화한 순도 98% 프리미엄 MSM 2000mg과 NAG 500mg, 수용성 칼슘 210mg 등 각 기능성 원료의 하루 최대 권장 섭취량을 함유하고 있다. 관절관리가 필요한 중·노년층과 갱년기 여성, 어깨, 손목, 팔꿈치 등 관절 부위가 불편한 사람들에게 도움을 준다. 액상 형태의 파우치 포장으로 1일 1회 1포로 하루 권장량을 섭취할 수 있으며, 기호에 따라 따뜻하게 데워서 먹을 수 있다. 기능성 원료인 MSM은 무릎 2023.05.22
아이진, 2023 BIO USA 참가해 20여개 글로벌 제약사와 파트너링 모색
아이진은 2023 BIO USA에서 산업통상부가 지원하고 한국바이오협회와 KOTRA(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가 주관하는 한국관 부스에 참여한다고 22일 밝혔다. 아이진은 이번 행사 파트너링을 통해 양이온성 리포좀 구조의 mRNA 전달체 시스템 EG-R을 활용한 mRNA 기반 백신 기술과 양이온성리포좀 구조 면역증강제가 포함된 재조합 대상포진백신(EG-HZ) 기술의 글로벌 사업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행사 기간 중 20여개의 글로벌 제약사 등과 파트너링을 수행할 예정이다. 현재 아이진은 양이온성 리포좀의 mRNA 전달체 시스템 EG-R을 활용해 냉장보관이 가능하고 부작용이 현저히 낮은 코로나 백신을 개발 중이다. 실제 우한주(Wild type)와 오미크론 변이주 전용 이지코비드(EG-COVID), 이지코바로(EG-COVARo) 등의 부스터 임상 2a상 단계를 호주에서 수행 중이다. 또한 레나임은 아이진의 EG-R을 활용해 mRNA 기반의 항암백신과 치료제의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있 2023.05.22
시야장애 치료 '인지치료소프트웨어' 혁신의료기기 지정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가상현실 기반의 시지각학습 훈련을 제공해 시야장애 개선에 도움을 주는 '인지치료소프트웨어'인 뉴냅스 비비드브레인(VIVID Brain)을 제33호 혁신의료기기로 지정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는 뇌 손상으로 인한 시야장애를 개선하는 국내 첫 제품으로, 뇌의 시각중추가 손상돼 시야 일부 또는 전체에 볼 수 없는 영역이 나타나는 시야장애를 겪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다. 사용자 맞춤형의 시각 자극 위치와 난이도가 적용된 시지각학습 훈련을 가상현실 기기로 제공, 반복적 시각 자극 훈련으로 뇌의 기능이나 구조가 환경이나 경험에 의해 변화하는 특성인 뇌가소성을 증진시켜 시야장애를 개선해준다. 식약처는 해당 제품이 새로운 작용원리와 사용목적 등이 적용된만큼, 기술의 혁신성과 차별성 등을 인정받아 이번에 혁신의료기기로 지정했다. 뇌 손상으로 인한 시야장애 치료에 사용하던 기존의 보완적인 보상, 대용 등 방법 대신, 시지각학습 훈련으로 뇌가소성을 증진시키는 근본적 원인 해결 방법을 2023.05.22
엔데믹 영향 본격화 2023년 1분기 의약품·의료기기 수출 급감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22일 2023년 1분기 의약품·의료기기·화장품 등 보건산업 수출 실적을 발표했다. 올해 1분기 보건산업 수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2% 감소한 52억7000만 달러(약 6조9522억원)를 기록하였다. 분야별로는 의약품 19억 달러(△15.2%), 화장품 18억9000만 달러(+2.3%), 의료기기 14억8000만 달러(△48.3%) 순으로 수출 실적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확산으로 수출이 증가했던 백신과 체외 진단기기 수출은 올해 들어 감소세를 보인 반면, 화장품 수출은 중국과 일본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기초·색조화장용 제품류 중심으로 증가세를 기록한 데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구체적으로 의약품은 바이오의약품과 독소류 및 톡소이드류 수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백신류'의 수출 감소로 2023년 1분기 의약품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5.2% 감소한 19억 달러를 기록했다. 전체 의약품 수출의 약 52.4%를 차지하는 바 2023.05.22
국내 제약사+AI기업 '신약개발' 협업만 88건…가시적 성과 얻으려면?
[메디게이트뉴스 서민지 기자] 국내 제약사들이 AI전문기업들과 협업이나 지분투자 등을 통해 신약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지만, 인력이나 비용적인 한계로 인해 아직까지는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 AI신약개발지원센터 김우연 센터장은 지난 19일 AI 주도 신약개발, 제약바이오 혁신의 새로운 시대’를 주제로 열린 제약바이오 혁신 포럼에서 이같이 밝히면서, 국내 AI 신약개발을 가속화할 방안을 제시했다. 김 센터장은 "지난해 씨드 단계부터 IPO까지 AI 신약개발기업에 대한 다양한 투자가 이뤄졌다. 현재 국내 AI신약개발 회사는 50여곳이 있고, 신약개발 AI 플랫폼은 타겟, 후보물질 도출 단계에 집중돼 있다"면서 "국내 29개 AI 신약개발 기업의 누적 투자 금액은 약 6000억원이며, 시가 총액을 포함하면 1조2000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어 "투자가 증가하면서 파이프라인 수도 증가 중인데, 15개 AI신약개발 기업의 신약 파이프라인 수는 2023.05.2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