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엑스앤브이엑스(Dx&Vx), 225조원 중국 의약품 시장에 항생제 출시
디엑스앤브이엑스(DXVX)는 중국 자회사를 통해 Dx&Vx 브랜드 항생제를 출시하며 중국 의약품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고 21일 밝혔다. 중국 자회사 Dx&Vx China(북경디아이웨이스생물과기유한공사)는 오는 6월 정식 제품 출시를 목표로 최근 중국 현지 제약사와 공동브랜딩(Co-Branding) 계약 체결을 통해 의약품의 생산 및 판매에 대해 상호 협력을 최종 조율 중이다. 중국 의약품 시장은 연간 약 225조4000억원 규모로 미국에 이어 세계 2위 규모다. 특히 중국 항생제 시장은 연간 약 37조원 규모로 세계 1위 시장이다. 자체 브랜드로 출시 예정인 항생제는 아지트로마이신(Azithromycin)으로 호흡기 질환에 탁월한 효능을 가진 약물이다. 이번 항생제 출시는 디엑스앤브이엑스의 중국 보건사업 진출의 시발점이며, 향후 다수의 기초 의약품 추가 출시와 베스트인클라스(best-in-class, 동일계열 내 차별화된 효능을 가진 치료물질) 제품, 신약 등으로 포트폴리오를 확대해 2023.04.21
"성인 대상포진, 유전자재조합 사백신으로 97.2% 예방 가능"
한국유방암환우총연합회는 최근 '성인백신 예방접종의 중요성'에 대한 건강강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강좌는 지난달 개최된 '난소암 및 여상암의 조기발견과 치료, 관리의 중요성' 강좌에 이어 두 번째 진행됐다. 이날 강남세브란스병원 동재준 교수가 강사로 나서 성인예방접종의 필요성과 백신의 종류, 암환자에게 필요한 백신, 암환자와 대상포진, 백일해 등을 소개했다. 동 교수는 "암환자에게 접종이 필요한 백신이 있다. 독감, 폐구균, 파상풍-백일해 디프테리아, 인유두종바이러스, A형-B형 간염, 대상포진 등이 포함된다"고 밝혔다. 특히 2019년 대한감염학회 권장 상황별 성인예방접종 권장표를 안내하고 면역저하가 이뤄지는 성인에 대한 대상포진-백일해 백신 접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동 교수는 "대상포진은 과거 수두에 걸리거나 수두 예방접종을 한 사람의 경우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감염돼 바이러스가 일생동안 잠복하게 되는데, 신체 노화나 질병 등으로 면역체계에 이상이 생기면 잠복해 있던 바 2023.04.21
삼천당제약, 캐나다 보건부와 SCD411 허가 신청 사전 미팅 확정
삼천당제약은 캐나다 보건부(Canada Health)와 SCD411(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허가 신청을 위한 Pre-Submission(사전 미팅) 일자가 최종 확정됐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미팅에는 삼천당제약과 캐나다 보건부, 캐나다 파트너사가 참석할 예정이다. 이번 미팅은 SCD411의 CSR(임상 최종 보고서) 수령 후 최대한 빠른 시일내 허가 신청을 하기 위해 진행하는 것으로 삼천당제약과 파트너사는 계약과는 별개로 허가 획득 시기도 중요하다는 상호 합의가 이뤄져 성사됐다. Pre-Submission(신청 전 사전 미팅)은 규제기관에 허가 절차 방향에 대해 질의하고 공신력 있는 답변을 확인할 수 있는 미팅이다. 규제기관으로부터 허가 신청 전 부족한 부분이 있는지 직접 확인 받을 수 있는 절차로 알려져 있다. 삼천당제약 관계자는 "계약만큼 허가 획득과 관련된 일정도 중요함에 따라 당초 계획과는 달리 허가 신청 절차 진입을 한발 빠르게 진행하는 것으로 변경했다"며 "다른 국가들도 2023.04.21
한독 "웰트와 역량 결합해 '웰트아이' 상용화 성공모델로"
한독은 최근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 웰트와 협업하는 불면증 디지털치료기기 '웰트아이(WELT-I)'를 상용화 성공모델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19일 WELT-I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품목 허가를 받았다. 이는 의학적으로 입증된 인지행동치료를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치료기기로, 환자의 수면 패턴에 따라 개인 맞춤형으로 인지행동치료를 제공한다. 인지행동치료는 현재 임상진료지침에서 1차 치료로 권고되고 있다. WELT-I는 의사 처방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처방을 받은 불면증 환자가 스마트폰에 WELT-I를 설치하면 수면 패턴에 따라 ▲수면제한요법 ▲수면위생교육 ▲자극조절치료 ▲인지재구성 ▲이완요법 등을 8주 동안 정밀하게 전달해 불면증 증상을 개선한다. 실제 웰트가 불면증 환자 12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임상시험 결과, WELT-I가 수면 효율을 유의하게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면 효율은 환자의 수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객관적, 정량적 지표다. 식약처 허가에 이어 한독 2023.04.21
안국약품, ADC 항암제 개발 피노바이오와 전략적 투자(SI) 계약
안국약품은 바이오벤처 피노바이오와 전략적 투자(SI) 계약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안국약품의 전략적 투자를 통해 양사간 향후 공동 연구에 대한 포괄적 파트너십을 더욱 강화할 뿐만 아니라, 혁신적인 신약 파이프라인 확대를 위한 오픈 이노베이션 활동을 다각화할 계획이다. 앞서 안국약품과 피노바이오는 2022년 12월 ‘차세대 ADC 항암제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양사는 안국약품의 전문적인 면역항암제 연구개발 역량과 피노바이오의 ADC 링커-페이로드 기술을 결합해 차세대 ADC 항암제 개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ADC 링커-페이로드 기술은 특정 항원에만 반응하는 항체에 치료효과가 뛰어난 화학약물(Payload)을 결합해 약물이 항원을 발현하는 세포에 선택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기술이다. 피노바이오는 2017년에 설립된 ADC 플랫폼 및 표적항암제 전문 바이오 벤처로서, ADC 플랫폼 PINOT-ADC™ 을 개발, 이를 기반으로 국내외 기술이전을 성 2023.04.21
KAIST, 말기 고형암 표적 2세대 면역치료제 개발
카이스트(KAIST)는 생명과학과 김찬혁 교수 연구팀이 면역시스템이 억제되는 종양미세환경을 극복하는 2세대 T세포 수용체 T(T cell receptor specific T, 이하 TCR-T) 세포치료제를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카이스트 생명과학과 나상준 박사와 김세기 박사가 공동 제1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저널 포 이뮤노쎄라피 오브 캔서(Journal for Immunotherapy of Cancer)'에 지난 4월 5일 출판됐다.(논문명: Engineering second-generation TCR-T cells by site-specific integration of TRAF-binding motifs into the CD247 locus) 초기 미비한 항암 효과를 보이는 1세대 키메라 항원 수용체(chimeric antigen receptor, 이하 CAR)를 장착한 CAR-T 세포와 달리, 추가신호 전달체가 포함된 2세대 CAR-T 세포는 말기 백혈병 2023.04.20
다산제약, 사전 안전조치로 공장화재 피해 최소화
다산제약은 입장문을 통해 지난 19일 아산제1공장에서 공장화재가 발생했으나, 2시간여만에 진화했다고 밝혔다. 다산제약은 "예기치 못한 화재사고에도 신속한 대피와 안전조치를 통해 인명피해 발생되지 않은 상황"이라며 "피해규모도 아산1공장의 일부로 최소화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피해복구를 위해 전 임직원이 최선을 다해 공장 안정화와 공급 재개 등에 차질이 없도록 할 예정"이라며, "그동안 미래성장을 위해 준비해온 차세대 인프라 확보계획을 조기에 추진하겠다"고 했다. 회사는 "이를 통해 안정화는 물론 추가 성장동력을 빠르게 확보해 보다 발전시키는 기회로 삼겠다. 앞으로 더욱 신뢰받는 기업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밝혔다. 2023.04.20
의료정보 플랫폼 후다닥, 큐에스택과 '비대면 소변검사' 사업 진출
일동제약그룹은 의료 정보 플랫폼 기업 후다닥(WHODADOC)이 체외 진단기기 전문 기업 큐에스택(QSTAG)과 업무 협약을 맺고,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비대면 소변 검사 서비스' 사업에 진출한다고 20일 밝혔다. 큐에스택은 IT·스마트 기술을 접목한 검사용 의료기기를 제조·공급·개발하는 업체로, 다양한 검사 키트와 함께 분석·판독 기술, 데이터 활용 역량 등을 보유하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후다닥은 큐에스택이 개발한 검사 키트(QSCheck-UIS4)와 분석 관련 온라인 기술 등을 활용, 자사의 플랫폼 내에서 비대면 소변 검사 서비스를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후다닥의 소변 검사 서비스는 사용자가 스마트폰 앱을 통해 구동되는 전용 프로그램과 카메라를 이용해 검사 키트에 첨부된 큐알(QR) 코드와 검사지를 함께 스캔하면 분석 결과를 바로 확인할 수 있는 방식이다. 이는 혼자서 간편하게 자가 테스트를 시행할 수 있고, 모바일을 활용한 비대면 판독을 통해 소변과 연관된 건강 상태를 2023.04.20
SK바이오팜 제로 앱, iF 디자인 어워드 본상 수상…연이은 세계적 디자인 어워드 석권
SK바이오팜은 자체 개발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모바일 앱(App)인 제로 앱™(Zero App™)이 iF 디자인 어워드 2023(International Forum Design Award 2023)에서 서비스 디자인 부문(헬스케어·웰니스) 본상(Winner)을 받았다고 20일 밝혔다. SK바이오팜은 올해 웨어러블 디바이스 2종의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본상 수상에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관련 앱으로 다시 한 번 세계 무대에서 디자인 경쟁력을 인정받았다. iF 디자인 어워드는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IDEA와 함께 세계 3대 디자인상으로 꼽힌다. 올해 전 세계 56개국에서 약 1만1000여개의 출품작이 수상을 위해 경쟁을 펼쳤다. 제로 앱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수집한 생체신호를 실시간으로 기록·분석하는 모바일 앱으로의 서비스 기능뿐 아니라, 사용자 경험 및 인터페이스 등에서 디자인적 차별성과 우수성을 높게 평가받았다. 이번 제로 앱 디자인은 BTS, 29CM의 브랜딩 및 UX/UI 2023.04.20
HK이노엔 세포유전자치료제센터, 브렉소젠 엑소좀치료제 개발용 세포주 생산
HK이노엔(HK inno.N)이 줄기세포에서 유래한 엑소좀 치료제 개발용 세포주 위탁생산을 추진한다. HK이노엔은 20일 엑소좀 치료제 전문 기업 브렉소젠과 엑소좀 치료제 개발용 세포주 위탁생산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으로 HK이노엔은 브렉소젠의 엑소좀 치료제 개발용 세포주를 생산할 예정이다. 생산은 경기도 하남에 구축한 HK이노엔의 세포유전자치료제 센터에서 진행한다. 엑소좀은 세포가 분비하는 나노 입자로, 국내외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엑소좀을 활용해 바이오마커, 약물 전달 시스템(DDS) 또는 치료물질로 개발하고 있다. 기존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 치료제의 경우, 세포 내 생성되는 엑소좀들의 상태가 각기 달라 고순도 엑소좀을 얻기 어렵고 대량으로 생산하기 어려운 점이 한계점으로 꼽혀왔다. HK이노엔과 손잡은 브렉소젠은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한 다양한 엑소좀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브렉소젠이 보유한 엑소좀 플랫폼인 ‘BG-Platform’은 엑소좀을 생산하는 줄기세포 2023.04.2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