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1.1709:17

인턴 대체 입원전담전문의 논란에 '제도' 문제점 수면위…본사업 '전환' 과제는?

시범사업 정착 막은 이유는 미흡한 수가 지원, 수요공급 엇나가…본사업 전 역할 배분 확실히 해야 [메디게이트뉴스 하경대 기자] 보건복지부가 의대생 의사 국가고시 미응시로 인한 의료공백을 입원전담전문의로 메운다고 밝히며 한차례 논란을 빚은 가운데 입원전담전문의 제도의 내년 본사업 전환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입원전담전문의 제도는 지난 2016년 전공의법 시행에 따른 병원 의료인력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시범사업으로 도입됐다. 특히 입원환자 안전성 확보와 진료 질 향상을 위해 실시되고 있지만 아직도 의료계 내에서 자리를 잡지 못하고 ‘계륵’ 같은 존재로 방치돼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건정심 가입자 반대로 미끌어진 본사업…“안정적 예산 확보 필수” 17일 의료계에 따르면 앞서 복지부는 지난 9월 '입원전담전문의 관리료' 수가를 마련하기 위해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에서 논의를 거쳤지만 결국 유보됐다. 가입자 측 일부 위원들이 수가가산 등에 회의적인 입장을 보인 것이 변수였다. 이들은 최근 의료계 단체행동에 대해 거부감을 나타내며 수가가산 체계의 적정성에 문제를 제기한 것으로 알려

2020.11.1307:12

[단독] 복지부 "국시 미응시 따른 인턴공백, 이번에는 ‘응급의학과 전공의’ 늘려 해결"?

응급의학회 “논의 사실 없는데다 실효성도 의문”…전공의들 "엉터리 수련환경 우려에 임시방편 부작용이 더 커" [메디게이트뉴스 하경대 기자] 보건복지부가 의대생 의사 국가고시 추가시험 미실시에 따른 인턴 수급 대책으로 ‘응급의학과 전공의 정원 확대’를 고려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입원전담전문의 확대와 더불어 응급의학과 전공의 정원을 늘려 필수의료 등 인턴 공백을 최소화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그러나 복지부가 해당 대책에 대해 대한응급의학회 등과 논의 과정이 없었으며, 학회는 물론 전공의 모두 대책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해 논란이 예상된다. 인턴 공백 따른 대책 투트랙, ‘응급의학과 전공의 정원 확대’와 ‘입원전담전문의’ 13일 국정감사 서면답변을 확인한 결과에 따르면, 복지부는 최근 국민의힘 주호영 원내대표의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종합국정감사에 대한 서면답변을 통해 응급의학과 전공의 정원 확대를 언급했다. 입원전담전문의 확대는 이미 수차례 복지부 박능후 장관 등을 통해 인턴공백 해결 대안으로 언급된 적이 있지만 응급의학과 전공의 확대는 처음으로 등장했다. 주 원내대표는 서면질의를 통해 "의사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