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25.01.22 15:33최종 업데이트 25.01.22 15:33

제보

대공협 "공보의 급감…의무사관후보생 공보의로 충원해야"

공보의 모집인원 642명→250명으로 줄어…징벌적 복무 기간·불필요한 순회 진료 등 개선 필요


[메디게이트뉴스 박민식 기자] 올해 공중보건의사(공보의) 모집 인원이 크게 줄어든 가운데 대한공중보건의사협의회(대공협)가 정부를 향해 공보의 감소에 대한 대책을 내놓을 것을 촉구했다.
 
대공협은 22일 입장문을 통해 “의무사관후보생을 공보의로 충원해 공보의의 업무 부담을 줄이라”고 주장했다.
 
지난 1일 정부는 올해 의과 공보의를 250명 선발한다는 계획을 공개했다. 이는 2023년 904명, 2024년 642명에 비해 크게 줄어든 수치다. 오는 4월 전역할 공보의도 512명에 달해 공보의 수는 1년만에 262명 감소할 예정이다.
 
대공협은 이와 관련 “해마다 공보의가 줄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지속 주장해 왔다. 훈련소 기간이 산입되지 않아 36개월 3주라는 징벌적 복무 기간을 조정해야 하고, 공보의 배치 방식을 개선해 불필요한 순회 진료를 줄여야 한다”고 했다.
 
이어 “그러나 공보의 감소에 대한 대책은 전무한 가운데, 정부와 지자체는 ‘지자체의 재량’이라는 무적의 논리는 또다시 꺼내들 것”이라며 “단순히 숫자를 통해 지역에 공보의를 배분하면 된다는 안일한 사고 때문에 도움이 필요한 지역에서는 공백이, 도움이 필요치 않은 지역엔 인력 과잉이 발생할 것”이라고 했다.
 
대공협은 “공보의 수를 쪼개어 제도를 유지하겠다는 정부의 태도는 무척 실망스럽다. 입영 대기를 통해 공보의의 유입마저 막는다면 공보의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의료 전반의 문제가 더욱 왜곡될 것”이라며 “비현실적 복무 기관과 열악한 환경에서는 앞으로 어떤 의대생도 의무사관후보생 서약서에 서명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이어 “정부는 의무사관 후보생을 공보의로 충원해 공보의의 업무 부담을 줄여라. 또 공보의 운영 대책을 즉각 제시하라”며 “젊은 의사들의 헌신에만 목매는 게 아니라 지역 의료에 마땅한 보상을 지급하라”고 촉구했다.

박민식 기자 (mspark@medigatenews.com)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