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25.02.20 07:35최종 업데이트 25.02.20 07:35

제보

빅5 수준으로 육성한다던 지방국립대병원……적자 누적 속 '지방의료' 고사 위기

지방국립대병원 교수·전문의, 사직 후 서울·수도권 행…"의료전달체계 개편 없인 해결 불가"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메디게이트뉴스 조운 기자]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발표 이후 1년 이상 지속되고 있는 의료대란으로 지방국립대학병원들이 휘청이고 있다.

전공의 이탈에 따른 의료공백으로 기존의 교수들과 전문의들마저 빠져나갔지만 신규 의사 배출 마저 중단된 지방국립대병원들은 정부의 '비상진료체계'에 따른 지원에도 지난해 전국 10곳 국립대병원 적자는 5662억원을 기록했다.

19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선민 조국혁신당 의원실이 전국 10개 국립대병원에서 받은 실적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0개 병원 전체 손실액은 5662억 원으로 전년도 손실액(2847억 원)과 비교할 때 약 2배로 늘었다.

해당 자료에 따르면 2023년 21억원 흑자를 냈던 서울대병원 역시 지난해 1089억원의 적자를 낸 가운데 이미 의정갈등 이전부터 적자에 시달리던 지방국립대병원들의 적자 폭은 더욱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대병원은 2023년 407억원 적자에서 1039억원으로 적자폭이 늘어났고, 전남대병원은 2023년 228억원에서 677억원으로 적자가 늘어났다.

부산대병원 역시 2023년도 469억원 적자에서 2024년 656억원으로, 전북대병원은 2023년 87억원에서 2024년 490억원 적자였다.

충북대병원도 418억, 제주대병원과 충남대병원도 각각 334억원, 강원도병원 314억원, 경상국립대병원 본원분원 통합 305억원으로 손실이 발생했다.

분당서울대병원만 16억원의 흑자를 냈으나 그마저도 전년 대비 손익이 35%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지난해부터 예비비와 재난관리기금, 매달 약 2000억원의 건강보험까지 투입해 '비상진료체계'를 유지하기 위해 약 4조원에 달하는 혈세를 투입했으나 국립대병원의 막대한 적자를 메우기는 역부족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더 큰 문제는 의료인력 수급 문제다. 

당장 사직 전공의들로 인해 발생한 의료공백을 메우기 위해 수도권 대학병원들이 채용공고를 내면서 지방 국립대병원 교수, 전문의들이 사직을 하고 서울로, 수도권으로 쏠리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해 상반기에만 국립대병원 교수 223명이 사직하면서 정부가 약속한 국립대병원 교수 1000명 확보 목표도 요원한 상황이다.

전공의들마저 복귀할 기미를 보이지 않으면서 일부 국립대병원들은 일부 병동을 통폐합하고, 부족한 인력은 PA간호사를 통해 메우고 있다. 이에 따라 지방 중증응급의료 기능마저 축소되며 사실상 지방의료가 고사직전이라는 말도 나온다.

의료계 관계자는 "장기화되는 의료대란으로 취약한 지역부터 무너지고 있다. 전공의들이 돌아오더라도 지역의료 붕괴는 개선되기 어려울 것이다. 지역의료는 의료전달체계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의대 증원 사태로 더욱 더 망가진 의료전달체계로 지방 국립대병원들은 무너질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조운 기자 (wjo@medigatenews.com)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