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25.02.03 06:45최종 업데이트 25.02.03 08:02

제보

코로나 때 소아과 닫은 의사 64%, 소아진료 떠나…시장경제 논리로 필수의료 생존 불가

노진원 교수 연구팀, 소아과 전문의 나이 많을수록 의원 폐쇄 확률 높아…급변하는 의료시스템 대처 어려워

소아과 의원 수 10년 추세. 사진=Massive Closures of Pediatric Clinics and an Exodus of Pediatricians in Korea During the COVID-19 Pandemic: What Career Paths Did Closed-Down Pediatricians Choose, JKMS.

[메디게이트뉴스 하경대 기자] 코로나19 기간 동안 소아과 의원을 닫은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중 34.9%만이 지금까지 그대로 소아 진료에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다수인 64%는 소아과 의료기관 폐쇄 후 휴업 중이거나 소아과와 관련이 없는 요양병원 등에서 근무하고 있었다. 

노진원 연세대 보건행정학부 교수 등 연구팀은 오는 4월 14일 대한의학회지(JKMS)를 통해 '코로나 팬데믹 기간 동안 한국의 소아과의 대규모 폐쇄와 소아과 의사들의 이탈(Massive Closures of Pediatric Clinics and an Exodus of Pediatricians in Korea During the COVID-19 Pandemic: What Career Paths Did Closed-Down Pediatricians Choose)' 연구를 공개할 예정이다. 

이번 연구는 코로나19 기간 동안 소아과 의원이 폐쇄한 이후 의료기관을 닫은 소아과 전문의들의 발자취를 추적한 최초의 연구로 주목받고 있다.

연구팀은 2013년부터 2022년까지 10년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소아와 의원의 추세를 분석했다. 연구결과, 2017년까지 운영 중인 소아과 의원이 증가하다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급격한 감소 경향을 나타냈다. 특히 새로 설립된 의원 수는 꾸준히 감소 추세다. 

2019년 말 기준 소아과 의원은 2229개소였지만 코로나19 기간 동안 약 100개의 의원이 순감소했고 최종적으로 이 기간 동안 379개 의원이 폐쇄했다.

2019년 대비 2022년 전체 소아과 의원 수는 94개 감소했으며, 전국 229개 지역에서 소아과 의원이 없는 지역은 2019년 54개였지만 2022년 58개로 4곳 더 증가했다. 

소아과의 감소율이 가장 높은 곳은 전라북도와 광주광역시였다. 2016년부터 5년간 소아과 폐업률은 전라북도가 47%, 광주광역시가 41.4%, 전라남도가 31.6%로 가장 높았다. 

코로나19 기간 동안 문을 닫은 소아과 전문의들의 이후 진로도 흥미롭다.

34.9%(127명)만이 여전히 소아과 관련 의료기관에 종사하고 있었고 29.7%(108명)은 폐쇄 중이거나 휴업 상태였다. 나머지 35.4%(129명)는 요양병원, 정신병원 등 소아과와 무관한 의료기관에서 근무하고 있었다. 

특히 소아과 전문의 나이가 의료기관 폐쇄와 연관성을 보였는데, 50세 미만과 50~64세 사이 전문의가 65세 이상 전문의 보다 폐쇄를 경험할 가능성이 낮았다. 

연구팀은 "코로나19 기간 동안 매출 손실로 인해 대부분의 소아과가 재정적 어려움에 직면했다. 급변하는 의료시스템 안에서 의료기관 원장이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한데 나이가 많은 원장은 상대적으로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없었기 때문에 재정 취약성이 증가하고 폐쇄될 가능성이 높았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재정 문제도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총진료비가 감소한 곳은 67%였으며, 종별 총진료비 감소기관 비중은 의원(67.9%)이 가장 높았고 종합병원(59%), 병원(50.6%), 상급종합병원(21.4%) 순이었다. 

의원급의 경우 소아청소년과의 98%, 이비인후과의 97%가 진료비 감소를 보였다. 연구팀은 "소아과는 특히 재정 회복률이 낮다. 소아과 의원은 운영을 지속하는 데 있어 재정적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며 "2022년 기준 전국 228개 지역 중 25.4%인 58개 지역에 소아과 전문의가 한 명도 없는 실정으로 시장경제 논리로는 필수의료가 생존하기 어려운 실정"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번 연구는 한국의 소아과 의사들의 필수의료 이탈 가속화를 여실히 보여준다. 폐쇄된 소아과 의원 원장 3분의 1 이상이 다른과로 이동했다. 소아과 유지를 위해 실질적인 인센티브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하경대 기자 (kdha@medigatenews.com)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