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황재희 기자] 치매국가책임제 사업에 따라 전국 252개 보건소에서 실시하는 치매안심센터가 인력 구성의 변동 없이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보건복지부는 향후 치매안심센터 추이를 지켜본 후, 필요하다면 추가인력에 대한 요건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사실상 큰 변동은 없을 것으로 분석된다.
치매국가책임제는 치매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을 줄이고, 치매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전국 252개 보건소에 치매안심센터를 설치하는 것이 주요 골자다.
치매를 조기 진단하고, 경증치매 환자 및 가족들에게 1대1 맞춤형 상담, 검진, 관리, 서비스 연결 등을 통합적으로 지원한다.
복지부는 치매안심센터의 센터장은 보건소장인 의사에게, 필요 인력은 간호사 및 사회복지사, 작업치료사, 임상심리사로 한정했다.
간호사는 필수로 있어야 하지만 나머지 3직군은 지자체 사정에 따라 우선 자유롭게 배치하도록 했다.
그러자 간호조무사와 물리치료사, 운동·미술치료사 등 각 단체들은 치매안심센터 인력을 한정짓지 말고 확대하는 방향으로 재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한 달 전 있었던 치매안심센터 관련 국회 토론회에서는 간호조무사협회뿐 아니라 기타 전문가들도 전문성 및 인력부족 등을 우려하며 기준을 폭넓게 구성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대한간호조무사협회 최종현 기획이사는 "이미 치매안심센터를 수행하는 보건소에서는 간호인력 3745명 중 29%인 1095명이 간호조무사이며, 보건지소는 73%가 간호조무사"라면서 "이처럼 치매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곳에서 간호조무사가 법적 근거에 의해 근무하고 있지만 치매안심센터 인력기준에는 간호조무사가 제외됐다"고 말했다.
최종현 이사는 "치매안심센터에서 간호 인력으로 간호조무사를 활용해 간호 인력이 50%이상 유지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토론회 당시 제주대 의대 이상이 교수도 "치매국가책임제 성공은 인력에 달려있는데, 인력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교육이다. 기존의 간호사나 사회복지사만으로는 부족하다. 치매에 특화된 전문적 교육과정이 필요하다"고 말했으며, 홍천군 보건소 정명숙 소장은 "인력을 구하기가 힘들어 자칫하면 기형적으로 한쪽으로 쏠릴 수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당시 복지부 관계자도 인력기준과 관련해서는 타직종 관련 간담회를 실시하고,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등에 대해 논의하겠다고 밝혔지만, 최근 복지부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치매안심센터 인력구성은 당초 계획한대로 진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치매안심센터 인력문제로 인해 운동·미술치료사 등 비약물치료사 관계자들을 만났고,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야기는 들을 것"이라면서 "다만 그들이 치매안심센터에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확신이 있어야한다"고 말했다.
해당 관계자는 "내부적으로 보면 상담이나 진단 등이 주로 이뤄지는데, 해당 인력들이 상시적으로 무엇을 할 수 있을까에 대한 우려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렇다 보니 인력에 대해서는 신중히 접근해야한다"면서 "지금으로서는 그대로 진행하고 추이를 지켜보며 변동이 있다면 내년 4월쯤 다시 발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그는 "앞서 치매안심센터에 간호사 인력을 구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가 많았지만 지금은 그렇다는 이야기가 거의 들리지 않는다"면서 "실제로 농어촌 지역에서도 간호사 지원이 높다고 한다. 지켜봐야한다"고 전했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