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21.09.28 23:43최종 업데이트 21.09.29 07:35

제보

디지털헬스케어, 모호한 정체성 탓 기업∙정부 골머리

김치원 원장 "정체성 불분명해 규제 지원 중요성 높아...데이터 활용 등 정부 지원 필요"

김치원 서울와이즈재활요양병원장(카카오벤처스 상무). 사진=유튜브 생중계 갈무리

[메디게이트뉴스 박민식 기자] 4차산업혁명과 코로나19를 계기로 디지털헬스케어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국민건강과 산업 육성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기위한 정부의 적절한 규제와 지원이 중요해지는 가운데 28일 식품의약품안전처 주최로 제2회 규제과학 혁신포럼이 열렸다.

연자로 나선 김치원 서울와이즈재활요양병원 원장(카카오벤처스 상무)은 ‘디지털헬스케어의 특성과 의의’를 주제로 강연하며 ▲헬스케어 서비스와의 연계성 ▲소프트웨어의 결합 ▲데이터의 중요성 ▲모호한 정체성 등 4가지를 디지털헬스케어의 특징으로 꼽았다.

김 원장은 먼저 헬스케어 서비스와의 연계성과 관련해 “환자들이 디지털헬스케어기기를 일상생활에 사용하게 되면서 병원과 의사가 감당하기 어려워진 부분을 기기회사들이 직접 서비스로 제공해야하는 시대가 됐다”고 설명했다.

가령 지난 2011년 미국에서 상용화된 심전도 기기인 지오패치(Zio-XT)는 최대 14일 연속 사용이 가능해 기존의 홀터 검사기에 비해 5배가량 많은 데이터를 생산해낸다.  

환자 입장에선 효용이 크게 증가하지만 의사들로선 판독해야할 데이터량이 늘어난 데 반해 수가가 동일할 경우 기기를 쓸 요인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에 지오패치의 개발사인 아이리듬(iRhythm)은 14일간 수집된 데이터를 1차적으로 분석해 의사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김 원장은 “단순히 ‘의사들이 알아서 하세요’라는 식으론 의료현장에서 사용되기 어렵다”며 “지오패치의 사례처럼 회사들이 보조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 디지털헬스케어의 특징 중 하나”라고 말했다.

용이한 업그레이드∙낮은 한계비용...허가∙비즈니스 측면에선 애로사항 작용하기도

두 번째로 디지털헬스케어기기는 소프트웨어에 기반하고 있어 업그레이드가 용이하고 제품 추가생산 비용이 낮은 특성이 있다는 것이 김 원장의 설명이다.

김 원장은 “기존의 약이나 의료기기는 약간의 개선을 위해 엄청난 노력이 필요한 것은 물론 새로 허가도 받아야 한다. 반면에 소프트웨어 기반인 디지털헬스케어기기는 업그레이드가 용이하다”며 “다만 규제당국이 디지털헬스케어기기의 업그레이드시 추가적인 허가 필요 여부에 대해 명확한 기준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디지털헬스케어는 한계비용이 낮아 비즈니스 차원에서도 애로사항이 있을 수 있다”며 “소비자들은 쉽게 복제가 가능한 앱 하나 사용하는데 왜 큰 돈을 지불해야 하는지 의구심을 가질텐데 이를 극복하고 지불의향을 만들어낼지 혹은 수가로 최소한의 보상을 해줄지도 중요한 이슈”라고 덧붙였다.
 
김치원 원장은 디지털헬스케어 기업들이 데이터 축적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데이터 축적∙시장 조성 중요하지만 난항...정부 차원서 방안 마련해야

김 원장은 세 번째로 데이터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특히 디지털헬스케어 시대의 데이터는 환자가 병원 밖에서 일상생활을 하는 동안에도 생성된다는 특징을 갖는다. 병원 내원 후 측정된 데이터만을 취급하던 기존의 의료시스템에서는 알기 어려웠던 새로운 정보를 획득해 의료질을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문제는 이를 입증하기 위해선 디지털헬스케어기업들이 만든 제품들이 충분한 데이터를 쌓을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김 원장은 “소비자는 ‘새로운 정보를 줄 수 있는 제품을 내면 구매하겠다’고 할 수 있지만 반대로 회사는 ‘소비자들이 일단 제품을 써주면 데이터를 열심히 모아 미래에 그런 제품을 만들어내겠다’는 입장”이라며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와 같은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개별 기업 단위에선 이 문제를 해결하긴 어렵고 정부 차원으로 길을 터줘야 한다”며 “고령의 환자들에게 사용하게 하는 대신 기업들의 데이터 활용을 용이하게 하는 방식 등 여러 방안을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김 원장은 끝으로 “결국 디지털헬스케어의 가장 큰 특징은 기존의 규제 시스템에서 보기 힘든 모호한 정체성”이라며 “가령 디지털치료제에 수가를 어떻게 줄것인지에 대해서는 미국에서도 아직 갈피가 잡히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김 원장은 “미국을 포함한 다른 나라들의 사례를 봐도 보험은 보수적일 수밖에 없다. 디지털헬스케어가 데이터 입증을 통해 시장을 조성하려면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라며 “정부가 우선적으로 대안적인 시장이 마련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공립병원에서 쉽게 쓸 수 있도록 지원하거나 고용주들이 직원들의 건강관리를 위해 사용시 세금혜택을 주는 식으로 시장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제언했다.

박민식 기자 (mspark@medigatenews.com)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