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22.05.26 16:57최종 업데이트 22.05.26 16:57

제보

대한골대사학회, 활력 넘치는 초고령사회 위해 '골다공증성 골절 예방 국가 책임제' 정책 제언

'골다공증 국가건강검진 사후관리 강화-치료환경 개선-국민인식 개선' 3대 핵심과제 중심 패널토론 진행

사진 대한골대사학회 정책 토론회 전경.

대한골대사학회가 신임정부 임기 중 찾아올 2025년 초고령사회를 앞두고, ‘골다공증성 골절 예방을 위한 국가책임제’ 도입과 ‘3대 핵심 정책과제’를 제언했다.

대한골대사학회는 26일 열린 제34차 춘계학술대회 제10차 Seoul Symposium on Bone Health에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이종성 국회의원실과 함께 '골다공증성 골절 예방 국가책임제 도입과 3대 책임과제 추진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공동 개최했다.

대한골대사학회 하용찬 이사장(서울부민병원 부원장, 정형외과)은 "이제까지 대한골대사학회가 대한민국 노인 골절 예방을 위해 지속적으로 추진해온 골다공증 관리 정책 제언에 이어, 올해는 신임정부 출범을 맞이하여 3년 앞으로 다가온 2025년 초고령사회를 대비하기 위한 ‘골다공증성 골절 예방 국가책임제’와 ‘3대 핵심 정책과제’를 제언드린다"고 밝혔다.

이종성 의원(국민의힘, 비례대표)은 이날 축사를 통해 "수 년 전부터 국회는 초고령사회의 대표적인 노인 만성질환인 골다공증 관리에 국가가 적극 나설 필요성에 공감해 왔으며 골다공증성 골절 예방을 위한 정책토론회, 국정감사 질의, 정부부처 협의 등을 진행해왔다"며 "골다공증 관리 강화에 대한 대선공약이 발표됐던 만큼 집권여당의 국회의원이자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의 일원으로서 오늘 제언되는 정책과제들을 지속적으로 검토하고, 어르신들의 건강한 노후를 위한 ‘뼈 건강 관리정책’ 수립과 추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사진: 대한골대사학회 정책 제언.

골다공증 전문가 약 540명 "검진·사후관리 강화, 질환 인식제고 필요"

첫번째 발제를 맡은 하 이사장은 '활력 있는 초고령사회 만들어갈 신임 정부에 바란다: 골다공증성 골절 예방 국가책임제' 주제 발표에서 대한골대사학회 소속 전문가 537명이 참여한 '2022 골다공증 치료·관리 정책 수립을 위한 전문가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4월 수행된 이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10명 중 9명(87.7%)이 골다공증 치료와 관리에 대한 정부 정책 지원이 충분하지 않다고 응답했다.

전문가들은 가장 시급한 정책 추진 사항으로 ‘최신 국제·국내 진료지침에 따른 골다공증 약제의 건강보험 급여 확대(85.7%)’를 꼽았으며, ‘고혈압, 당뇨병 등과 같이 정부 만성질환 관리사업에 골다공증 포함(45.1%)’, ‘국가 골다공증 검사 기회 확대 및 사후관리 강화(38.0%)’, ‘대국민 골다공증 질환 인식 제고 및 교육(27.4%)’ 순으로 응답했다(1+2위 중복응답 값).

또한 국가 차원의 골다공증 검사 활성화를 위한 효과적인 정책으로는 ‘국가건강검진 내 골다공증 유소견자에 대한 적극적인 사후관리 강화(69.8%)’와 ‘국가건강검진 내 골밀도 검사의 골밀도 수치 제공(67.0%)’이 높은 비율의 응답을 차지했다. ‘대국민 골다공증 질환 인지 제고’를 위한 효과적인 정책 지원으로는 ‘질병관리청의 만성질환 캠페인 내 ‘골다공증 및 골절’ 질환 캠페인 사업 시행(76.2%)’의 필요성이 높게 나타났다(1+2위 중복응답 값).

하 이사장은 이와 같은 올해 인식조사 결과와 2021년 대한골대사학회가 발표한 ‘대한민국 노인 골절 예방 2025 로드맵’을 기반으로 골다공증성 골절 예방 국가책임제 추진을 제언하며 ▲국가건강검진 골다공증 검사 확대 및 사후관리 강화 ▲지속적인 골절 예방을 위한 ‘뼈 건강 선순환’ 치료 환경 보장 ▲초고령사회 뼈 건강 관리를 위한 전국 단위 대국민 질환 캠페인 추진이라는 ‘3대 핵심 정책과제’를 소개했다.

국가건강검진 인프라를 활용한 골다공증 검사 효율화 및 사후관리 강화에 힘써야

이어진 주제발표에서 대한골대사학회 김하영 학술이사(울산의대 강릉아산병원 내분비내과)가 첫번째 핵심과제인 ‘국가건강검진 인프라를 활용한 골다공증 One-stop 관리 체계 구축방안’을 제언했다.

김하영 교수는 "건강검진기본법에 따라 국민의 건강위험요인과 질병을 조기에 발견, 진단, 치료하고 사후관리가 될 수 있도록 골다공증 환자를 위한 국가건강검진의 효과를 높여야 한다"며 "대선공약이었던 국가건강검진 골밀도검사 제도 개선에 있어, 국가건강검진 서비스 단계별로 ‘골다공증 질환 교육 - 골밀도검사 효율화 - 골다공증 유질환자 사후관리 개선’을 통해 수혜자 중심으로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수검자들에게 국가건강검진 결과를 제공할 때 골밀도 수치(T-score) 및 골밀도 검사 결과지 사본을 제공하고, 골다공증 유소견자를 대상으로 문자, 전화 등을 활용해 적극적으로 사후관리에 힘써야 한다고 제언하고 학회의 적극적인 협력 의지를 강조했다.

최신 진료지침에 따라 ‘골절 예방’할 수 있는 골다공증 약제 급여기준 개선 필요 

대한골대사학회 김경민 역학이사(연세의대 용인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는 ‘골다공증 환자 중심의 ‘뼈 건강 선순환’ 치료 환경 개선 방안’ 발표에서 두 번째 핵심과제인 골다공증 지속치료 환경 개선안을 제언했다.

김경민 교수는 "현재 지속치료가 필요한 주요 만성질환들 중 약물 투여기간에 급여 제한이 있는 질환은 골다공증이 유일하며, 어떤 만성질환도 약물치료 도중 혈압, 혈당 등의 수치가 조절된다고 해서 치료약제의 보험급여를 중단하지 않는다. 골밀도 수치(T-Score) -2.5를 기준으로 투여기간을 제한하는 나라는 전 세계에서 한국이 유일한데 -2.5라는 골밀도 수치(T-Score)가 골다공증 환자의 정상 상태 회복 및 치료 목표 달성을 의미하지 않는 만큼, 국제 진료지침에 맞게 현행 골다공증 약제의 투여기간 제한을 개선해야한다"며 초고령사회를 앞두고 ‘뼈 건강 선순환’ 치료 환경으로 나아갈 것을 제시했다.

대다수 환자들이 인지 못하는 ‘골다공증 위험성’…대국민 질환 인식 개선 캠페인이 필수

마지막으로, 대한골대사학회 이유미 총무이사(연세의대 신촌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가 세 번째 핵심과제로 초고령사회 대표적 노인 만성질환인 ‘골다공증’ 질환의 심각성을 널리 알리고 ‘골다공증성 골절’ 예방을 촉진하기 위한 국가 주도의 인식개선 사업 및 전국 단위 캠페인 추진을 제언했다.

이 교수는 이번 전문가 인식조사 결과를 토대로 "골다공증 검사율과 치료율은 현재 여전히 낮은 편으로, 그 원인은 ‘자각증상이 없는’ 골다공증 질환 특성 상 환자들이 뼈가 부러지기 전에 골절 위험과 골다공증 심각성을 모르는 데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국가-학계-지역사회의 협업을 통해 골다공증 질환 인식 캠페인 사업을 전국 단위로 본격 추진해 우리나라 국민들이 보다 자발적, 적극적으로 골밀도검사와 골다공증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구체적인 인식개선 사업 방안을 질병관리청에 제언했다. 특히 수 년 간 질병관리청이 심뇌혈관질환의 예방과 관리를 위한 인식 개선사업을 적극 추진한 결과 고혈압·당뇨병·이상지질혈증 관리율이 높아졌다며, 이 사례를 벤치마킹해 질병관리청이 초고령사회의 ‘골절 예방 및 골다공증 관리 컨트롤타워’가 되어줄 것을 요청했다.

국회, 보건복지부, 건보공단, 질병청, 언론이 한자리에서 구체적인 정책 추진 방안 논의

이후 진행된 종합 패널토론에서 국회, 언론 및 정부기관 관계자들이 ‘골다공증성 골절 예방 국가책임제 및 3대 핵심과제’ 추진을 위한 구체적인 논의를 이어갔다.

이종성의원실 성종호 선임보좌관은 ‘초고령사회, 신임정부 및 여당의 골다공증 정책 과제와 대선공약 실행 방안’을 주제로 "오늘 학회의 정책 제언들은 우리나라 어르신들에게 큰 공감대를 불러일으킬 것이다"며 "어르신들을 위해 새 정부가 골다공증 치료환경 개선 및 관리 강화에 성공하도록 국회가 힘을 보태겠다"고 약속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관리실 박용표 부장은 ‘국가건강검진 내 골다공증 검진 현황 및 검진 이후 사후관리 방안’ 관련 "국가건강검진을 통해 골다공증이 효과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골밀도검사 결과제공 방안, 검진과 치료가 신속하게 연계되는 사후관리 방안 등을 추진해나가겠다"고 했다.

건복지부 보험약제과 최경호 사무관은 ‘보건복지부의 효과적인 골다공증 치료 지원 정책 방향’에 대해 "진료지침에 따른 과학적인 진료와 치료가 가능하도록 적극 검토하고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질병관리청 만성질환예방과 김우정 사무관은 ‘초고령사회 노인 만성질환으로서 골다공증 인식 개선 및 관리 방향’을 주제로 "질병청의 만성질환 관리사업 경험과 체계를 토대로 골다공증 인식개선 사업 추진도 학계와 지속적으로 협력해나가겠다"고 밝혔다.

박도영 기자 (dypark@medigatenews.com)더 건강한 사회를 위한 기사를 쓰겠습니다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