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의대 간 중도탈락률 격차가 존재하는 것에 대해 의과대학 관계자들은 국내 의대들 사이의 교육 편차는 크지 않은 것으로 평가했다.
한국의학교육평가원 한희철 이사장은 "국내 의학교육 평가인증 시스템은 매우 엄격하다. 평가인증을 거친 국내 의대의 교육 수준에 큰 차이가 있다고 보긴 어렵다"고 말했다.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 권성택 명예회장도 "서울의대가 전 세계에서 20위권에 있지만 국내 의학교육 평가인증에서 5위 수준이다. 오히려 지방의대가 더 순위가 높다. 교육 격차로 인해 의대생들이 자퇴한다고 볼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의대 중도탈락률을 지역별로 분석하기보다 빅5와 나머지 의대로 나눠, 최상위권 의대를 가기 위한 빅5 이외 의대생들의 자퇴가 늘고 있다는 게 의학계의 평가다.
한희철 이사장은 "의대는 일반 대학들과 달리 최상위권 의대부터 지방의대까지 수능 성적으로 나열돼 있다"며 "예전엔 1년 뒤쳐지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많았는데 요즘엔 가고 싶은 의대, 전공과를 위해 1년을 통째로 쉬는 경우가 많다. 세대적 관점차이가 있는 듯하다"고 분석했다.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의회 신찬수 이사장은 "의대 교육 수준의 차이는 없더라도 수련병원 사이의 차이는 엄연히 존재한다. 졸업 이후 자교 병원 전공의 지원이나 취업 등에서 빅5의대가 유리하다 보니 수도권 주요의대를 가기 위한 자퇴가 늘고 있는 것 같다"고 전했다.
지방의대에 재학 중인 의대생 A씨도 "의료계 내에선 최상위권 의대와 수도권, 지방의대가 천지차이다. 졸업하고 선택할 수 있는 폭 자체가 격차가 크다"며 "동기들 중에서도 빅5의대에 진학하기 위해 반수를 준비하는 이들이 더러 있다"고 말했다.
일부 의대 중도탈락 8% 육박은 문제…공공의대 보단 기존의대 정원 조정 효과적
전문가들은 지방의대와 수도권의대의 중도탈락률 차이가 크진 않더라도 일부 지방의대에서 8%에 육박하는 중도탈락이 발생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한다. 특히 지방의대 중도탈락률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상황에서 지방에 공공의대를 신설한다고 해서 큰 실효성이 없을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한 이사장은 "지역의료격차 심화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전공의 심지어 교수들도 지방엔 안가려고 한다"며 "이런 흐름이 지방의대의 일부 탈락률 격차로 보여진 것이 아닌지 싶다. 정부의 지역의료격차 해소를 위한 대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수도권의대 교수 B씨는 “최상위권 의대를 가기 위해 다니고 있는 의대도 자퇴하는 상황에서 지역에 공공의대를 설립한다고 해서 큰 실효성이 있을지 모르겠다. 공공의대 보단 지역의대에 정원을 늘리는 것이 기존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어 더 효과적”이라고 강조했다.
반면 의대 중도탈락률이 높은 것이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의견도 있다.
권성택 명예회장은 "의대 성적은 전공의 지원이나 전공과 선택 시 영향을 준다. 최상위권 의대와 입학 성적 격차를 맞추기 위해 지방의대가 학업적 압박이 더 세다"며 "이 때문에 지방의대에서 유급을 하는 경우도 더 많고 성적을 잘 받지 못하는 지방의대 학생의 경우 자퇴하는 사례가 꽤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소비자 관점에서 생각했을 때 의대 중도탈락률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더 철저한 검증과정을 거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중도탈락률이 높다고 문제가 될 것은 전혀 없다"고 덧붙였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