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치성혈액질환 환자 완치 위한 조혈모세포 기증 활성화 필요
질병관리본부, 2019 조혈모세포·제대혈 기증 대국민 인식조사 결과 발표
질병관리본부가 실시한 '조혈모세포 및 제대혈 기증에 대한 대국민 인식조사' 결과 10명 중 7명이 조혈모세포 기증을 알고 있으며 10명 중 5명은 기증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 66.6%가 '조혈모세포 기증'에 대해 인지하고 있으며 53.1%는 '기증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조혈모세포 기증 의향이 없는 이유로는 ‘막연한 두려움(40.9%)’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과거 조혈모세포 기증이 대부분 골수를 통해서 이뤄짐에 따라 아직도 '골수기증'이라는 인식에 쉽게 기증에 동참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출산을 하는 산모로부터 조혈모세포를 얻을 수 있는 '제대혈 기증'의 경우에는 59.7%가 인지하고 있으며 50.5%가 '기증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또한 임산부 200명을 대상으로 추가로 실시한 조사에서는 임산부 10명 중 8명(76.5%)이 제대혈 기증을 인지하고 있었는데 이는 일반국민(59.7%)에 비해 높은 응답률이었다.
백혈병 혈액암과 같은 난치성혈액질환 환자의 치료를 위해서는 건강한 조혈모세포의 이식이 필요하다.
국내에 조혈모세포 이식이 필요한 이식대기자는 4497명(2018년 기준)으로 약 34만명(2018년 기준)이 조혈모세포 기증 의사를 밝힌 상태다.
하지만 이식을 위해서는 조직적합성항원형(HLA)이 일치해야 가능하므로 이식 대기자분들이 조속히 이식을 받기 위해서는 더 많은 기증 참여가 필요한 상황이다.
조혈모세포 기증을 희망하는 경우에는 조혈모세포 기증 등록기관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조혈모세포 기증 희망 등록 후에 조직적합성항원형이 일치하는 환자가 나타나면 최종 기증의사를 확인한 후 기증이 이뤄진다.
질병관리본부 장기이식관리센터 김기철 과장은 "과거 조사에 비해 인지도는 상승했으나 아직도 많은 분들이 심리적인 두려움으로 기증을 꺼리고 있는 것 같다"고 밝혔다.
이어 "최근에는 조혈모세포의 채취 유형이 헌혈과 유사한 채취 형태인 '말초혈 기증'이나 임산부의 '제대혈 기증'을 통해서도 가능하다"며 "조혈모세포 기증에 대한 긍정적 인식 개선을 위해 적극적으로 홍보·캠페인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메디게이트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