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박민식 기자] 최근 한 고등학생이 응급실 뺑뺑이로 사망한 사건과 관련해 소방노조가 국립소방의과대학 설립을 주장하고 나섰다. 소방의대가 배출한 의사들을 소방서에 배치해 ‘소방응급의학센터’의 역할을 하게 하자는 취지다.
소방노조 중 한 곳인 소방을사랑하는공무원노동조합’은 24일 발표한 성명서에서 “이 죽음은 단순한 사고가 아닌 붕괴한 대한민국 응급의료 체계가 빚어낸 예고된 참사”라며 향후 소방서가 ‘소방응급의학센터’로 거듭나야 한다고 주장했다.
소방서가 단순한 출동∙이송 기관을 넘어 응급 진료까지 할 수 있는 기관으로 탈바꿈해야 한다는 것이다. 노조는 소방응급의학센터에서 근무할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국립소방의대 설립도 제안했다.
노조는 “내과, 외과, 소아청소년과, 산부인과 등 필수 진료과목을 특화한 소방 전문 인력을 양성해 소방응급의학센터에 전담 배치해야 한다”며 “이들은 구급 현장은 물론이고 센터 내에서 즉각적인 응급 진료 및 배후 진료 연계까지 책임지는 국민 생명 전담 주치의가 될 것”이라고 했다.
의료계는 이 같은 소방노조의 주장에 대해 근본적 대책이 될 수 없다는 지적을 제기한다.
한 의료계 관계자는 “군의관 양성을 위한 군 위탁 제도와 다를 바 없다. 만들어 봤자 10년 의무 복무에 아무도 군 의료를 못 믿는 것과 마찬가지 상황이 벌어질 것”이라고 했다.
이어 “환자를 응급실로 이송하기만 하면 된다고 생각하니 가능한 발상”이라며 “소방의대에서 내외산소 등 필수과를 양성하겠다는 건데 급성 질환으로 발생한 합병증에는 다양한 과가 필요하다. 합병증 치료를 못 받은 환자의 피해는 소방에서 해결하겠다는 것인가”라고 했다.
대한응급의학의사회 이형민 회장은 “응급실 뺑뺑이를 해결할 방법은 의사도 정부도 소방도 알고 있다. 다만 돈이 많이 들고 효과가 천천히 생기는 일이라 모두가 외면하고 있는 것일 뿐”이라며 “오히려 이런 사건을 자신들의 정치적 이익이나 이득을 위해 활용하려 하는 이들이 많아 안타깝다”고 했다.
이와 관련, 대한응급의학의사회는 지난 7일 열린 기자회견에서 ▲응급의료에 대한 민형사 책임 면제 ▲경증환자의 상급병원 이용 제한 및 경증응급환자 의료 제공 위한 인프라 구축 ▲최종 치료 인프라 구축 등을 제안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