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21.12.24 17:13최종 업데이트 21.12.24 17:13

제보

중소병원 14곳, 코로나에 1500병상 내놨다...국공립병원 4곳은 800병상

병원계, 확진자 급증∙병상부족에 '결단'...인력확보 위해선 정부지원∙인식변화 필요

12월24일 기준 병상 전체 소개 병원.

[메디게이트뉴스 박민식 기자] 코로나19 확진자가 연일 수천명을 기록하면서 중소병원과 공공병원들이 병상 비우기에 나서는 모습이다. 병원계는 병상이 제대로 운영되기 위해선 인력 지원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24일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에 따르면 이날 기준 코로나19거점전담병원은 공공∙민간병원을 통틀어 총 32곳이다. 

거점전담병원으로 지정된 민간병원 중에서도 서울 광진구 혜민병원, 인천 뉴성민병원, 검단탑병원, 부평세림병원, 인천한림병원, 경기 평택박애병원, 용인강남병원, 다보스병원, 남양주한양병원, 김포우리병원, 순천의료재단 정병원, 자인메디병원, 충북 베스티안병원, 대전웰니스병원 등 총 14곳은 전체 병상을 내놨다.

중수본 관계자는 “거점전담병원은 올해 10월 이전까지만해도 12곳이었는데 두 세달 사이 두 배가량 늘어난 것”이라고 설명했다.

거점전담병원 2~3달 사이 두 배이상 늘어...중소병원협회 적극 협력

중소병원 대상 거점전담병원 지정은 앞으로도 늘어날 전망이다. 여전히 확진자 수가 줄어들 기미를 보이지 않는 데다 상급종합병원들도 일반 중환자 진료 등으로 더 이상 병상을 늘리는 것이 여의치 않기 때문이다.

대한중소병원협회도 이 같은 상황을 고려해 회원 병원들의 전담병원 지정에 적극적으로 협력한다는 방침이다. 중소병원협회는 지난 21일 입장문을 통해 “앞으로 10~20개 중소병원이 더 참여할 수 있도록 협회 차원에서 독려하고 지원할 것”이라고 했다.

정부는 거점전담병원을 통해 3000병상을 확보하는 동시에 일부 공공병원들의 병상을 전부 비우고 상급종합병원·국립대병원 대상 추가 행정명령을 통해 병상 부족 상황에 숨통을 틔운다는 계획을 밝혔다.

중수본은 앞서 국립중앙의료원을 비롯한 공공병원들의 병상을 전부 소개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국립중앙의료원, 서울의료원, 인천보훈병원, 근로복지공단 경기요양병원에서 추가로 499병상을 확보해 총700~800병상을 확보하게 됐다. 상급종합병원과 국립대병원을 대상으로도 추가 행정명령을 통해 622병상을 확보하기로 했다.

하지만 이처럼 병상 확보가 대대적으로 이뤄지더라도 의료인력이 적절히 충원되지 않으면 기존 인력의 업무로딩이 늘어날 수 밖에 없게 된다.

이에 정부는 그동안 전담병원들에 의료인력을 파견해왔다. 이번 병상 확충 계획을 발표하면서는 인력 확충을 위한 추가적인 지원 확대도 예고한 상태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전담병원으로 지정된 기존 직원들이 감염 우려로 동요하거나, 장기간 이어지는 팬데믹 탓에 퇴직하는 사례가 적지 않았다. 

과도한 우려가 되레 인력유지 장애요인...파견인력 계약기간∙부적응 문제도 언급

실제로 서울의료원 조동희 기획조정실장은 지난 6월 열린 한국병원경영학회 학술대회에서 “일반진료 축소가 지속되고 의료진들의 업무 피로도가 쌓이면서 사직이 늘고 있다”며 “전체 150명 전문의 중 38명이 사직했다”고 어려움을 토로하기도 했다. 

서울의료원 관계자는 "전체 진료과 중에서 코로나 진료에 참여하는 과는 일부에 불과하다. 그러다 보니 적은 인력이 당직을 많이 서고 있다"라며 "이런 상황에서 인력들도 대거 사직을 하다 보니 나머지 인력들은 버티기가 힘든 수준이고, 추가적인 이탈이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반면, 코로나19  거점전담병원 근무가 쉽지 않은 것은 사실이지만 번아웃∙감염에 대한 과도한 공포가 인력 충원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단 지적도 나온다.

지난해 12월부터 거점전담병원으로 지정을 자처해 코로나 환자 진료에 매진해 온 평택박애병원 김병근 병원장은 “코로나19 진료를 막 시작하는 병원들에선 우려하는 직원들이 있을 수 있지만 지난 1년간 우리 병원 퇴사율은 전담병원 지정 이전보다 높지 않았다”며 “확진자 역시 평균 300~350명의 직원이 일해오면서 10명에 불과했고, 그 중에 간호사는 4명뿐이었다”고 말했다.

다만 김 병원장은 정부가 퇴직금 등의 문제로 파견인력에 대해 최대 6개월의 단기계약을 고수하고 있는 데는 아쉬움을 표했다. 현재 정부는 파견 의료인력의 계약기간이 끝난 후에는 파견 병원이 자체적으로 해당 인력을 고용토록 하고 인건비를 일부 지원하고 있다.

김 병원장은 “전시상황이나 마찬가지인 만큼 법∙제도 정비를 통해 계약 기간을 늘릴 필요가 있다”며 “병원 입장에서도 함께 일하며 숙련된 의료진과 지속해서 일하는 것이 환자 진료에 도움이 된다”고 강조했다.

파견 의료인력은 경력이 많지 않아 병원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일이 적지 않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최근 코로나 병상을 전체 병상으로 확대하기로 한 용인강남병원 정영진 병원장은 “트레이닝이 충분히 돼있지 않고 병원이 면접 등을 거쳐 뽑는 인력이 아니다보니 중도에 그만두는 사례들이 꽤 있다”며 “코로나 병상이 더 늘어나 인력확보가 더 중요해진 만큼 가능하면 기존 직원들이 다 같이 갈 수 있도록 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 병상 확대에 따른 기존인력들의 동요는 크지 않다. 지난해에 지정됐던 병원들의 경우 직원들 동요가 있었을 것”이라며 “지금은 이미 행정명령으로 웬만한 규모의 병원들은 다 코로나19 환자를 진료하고 있어 예전과는 상황이 다르다”고 말했다.

박민식 기자 (mspark@medigatenews.com)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