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비엘바이오, 유상증자 없이 사옥 취득…중장기 성장 기반 구축
에이비엘바이오가 최근 공시를 통해 서울 삼성동 일대의 건물 및 토지를 취득했다고 밝혔다. 이를 계기로 중장기 성장 기반을 구축하게 됐다. 그 동안의 R&D 노하우를 이용해 높은 효율성 및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공간으로 탈바꿈 시킬 리모델링 방안을 검토한 뒤, 2025년 상반기 내 본사 이전을 완료할 계획이다. 취득 자금 마련 방안에 대해 에이비엘바이오 관계자는 “부동산 취득을 위한 유상증자는 없을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현재 지출하는 임대료를 차입금에 대한 이자비용으로 전환하더라도 추가적인 현금 유출이 없으며, 이후 이자율이 하락한다면 오히려 비용 절감 효과까지 누릴 수 있다. 회사의 본질인 R&D 예산은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향후 자산 가치 증대 효과까지 온전히 누릴 수 있도록 신중히 계획했다”고 덧붙였다. 에이비엘바이오 이상훈 대표는 "사옥을 통해 글로벌 수준으로의 R&D 경쟁력 강화에 필요한 공간과 시설을 갖추게 될 것이며, 이는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발판이 될 2023.09.11
노벨티노빌리티, 완전인간항체 발굴 서비스 'PREXISE-D OTD Solution' 국내 출시
노벨티노빌리티(Novelty Nobility Inc.,)가 국내 바이오벤처 및 제약사를 대상으로 완전인간항체 발굴 서비스 ‘PREXISE-D OTD Solution(Order-to-Discovery Solution)’을 출시한다고 11일 밝혔다. 노벨티노빌리티의 항체 발굴 엔진 PREXISE-D는 인간화마우스(Humice)에 특정 항원을 반복적으로 주입하는 면역(Immunization)방식의 항체 발굴 기법으로, 글로벌 회사에서는 완전인간항체 발굴을 위해 이미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방식이다. 회사는 대표이사인 아주대학교 박상규 교수의 25년 항체 발굴 노하우에 선진 기업의 노하우를 접목해 PREXISE-D를 만들었고, 이를 통해 자체 발굴한 항체를 기반으로 복수의 파이프라인을 개발 중이다. 이번에 출시된 OTD Solution은 항체를 디자인(Design)하는 단계와 발굴(Discovery)하는 두 단계로 구성된다. 디자인 단계에서는 고객사가 원하는 목적에 따라 발굴하고자 하는 2023.09.11
갈더마코리아, 맞춤형 에스테틱 진단 및 시술 위한 'GAIN e-chart' 론칭
갈더마코리아가 에스테틱 시술 맞춤 상담 및 정밀 진단에 특화된 환자관리 전문 차트로 'GAIN e-chart'를 새롭게 론칭했다고 11일 밝혔다. GAIN e-chart는 환자의 피부 상태와 얼굴 라인을 개별 진단하고 이에 적합한 제품을 선택해 체계화된 시술을 진행하는 AART(Assessment, Anatomy, Range, Treatment) 접근법을 접목해 개발됐다. 9월부터 정식 론칭됐으며 23~24일 열리는 갈더마의 글로벌 에스테틱 네트워크 심포지엄 ‘GAIN Korea 2023’에서 소개될 예정이다. GAIN e-chart는 ‘얼굴 평가차트(Facial Assessment Scale, FAS)’와 ‘입술 평가차트(Lip Assessment Scale, LAS)’ 두 가지로 나뉘어 부위별로 시술 전 필수 점검해야 하는 사항을 체계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각 차트에서는 주요 항목별로 환자의 얼굴과 입술 상태를 시각화해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환자들은 균 2023.09.11
셀트리온헬스케어, '램시마' 유럽 허가 10주년 기념 글로벌 캠페인 전개
셀트리온헬스케어가 램시마(성분명 인플릭시맙)의 유럽 허가 10주년을 맞이해 글로벌 전역에서 다양한 캠페인을 전개할 계획이라고 11일 밝혔다. 2023 유럽장질환학회(United European Gastroenterology Week, UEGW)를 시작으로 내년 상반기까지 글로벌 연자 투어(Global Speaker Tour), 심포지엄 개최 등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동사는 램시마가 지난 10년 동안 걸어왔던 성과들을 재조명하고, 램시마의 성공으로 태동한 바이오시밀러 산업이 전세계 의료현장에 미치고 있는 영향과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정립하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세계 최초 항체 바이오시밀러 제품인 램시마는 출시된 지 10년이 지났음에도 2017년 오리지널의 시장 점유율을 넘어선 이후 현재까지 인플릭시맙 처방 1위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아이큐비아(IQVIA)에 따르면 램시마는 올 1분기 영국 83%, 프랑스 61%를 비롯해 유럽에서 56%의 점유율을 2023.09.11
사노피, 독감 백신 '박씨그리프테트라주' 전국 공급
사노피 한국법인이 올해 독감 예방접종 시즌을 맞아 7일부터 자사의 독감 백신 ‘박씨그리프테트라주(Vaxigrip Tetra)’의 공급을 개시했다고 11일 밝혔다. 사노피는 올해 이례적으로 여름에도 지속적인 유행 양상을 보이고 있는 독감에 대비해 고위험군이 늦지 않게 백신을 접종할 수 있도록 2023-2024절기 독감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일정에 맞춰 적기에 자사의 독감 백신을 공급했다. 박씨그리프테트라주는 지난해에 이어 수입 백신 중 유일하게 독감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에 포함돼 보건소 및 위탁의료기관, 전국 주요 병∙의원에서 접종 가능하다. 박씨그리프테트라주는 소아∙임신부∙기저질환자∙고령자 등 독감 고위험군을 포함한 생후 6개월 이상 전 연령에서 1만3000명 이상이 참여한 총 6건의 대규모 글로벌 임상(유럽, 아시아, 남미, 오세아니아 등 4개 대륙)을 통해 면역원성과 안전성 프로파일을 확인했다. 또한 4가 독감 백신 중 유일하게 생후 6~35개월 영유아 합병증 효능을 확인하고 임 2023.09.11
미국 ARPA-H, 2400만 달러 규모 mRNA 프로그램 지원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가 미국 보건첨단연구계획국(ARPA-H)의 mRNA 프로그램 지원에 대한 이슈브리핑을 11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ARPA-H는 최근 Open BAA 첫번째 지원 과제로 mRNA 플랫폼을 통해 우리 면역체계가 암 및 기타 질병과 더 잘 싸울 수 있도록 면역 체계를 훈련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프로젝트인 CUREIT(Curing the Uncurable via RNA-Encoded Immunogene Tuning)에 2400만 달러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Open BAA(Open Broad Agency Announcement)는 환자 집단, 지역 사회, 질병 및 건강 상태를 개선하기 위해 누구나 획기적인 연구 및 기술 발전을 위한 과제 제안을 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ARPA-H가 3월부터 운영하고 있다. ARPA-H는 8월 23일 Open BAA를 통한 첫 번째 지원과제로 CUREIT을 선정했으며 이 과제는 에모리대학교 연구팀이 주관할 예정이다. AR 2023.09.11
티움바이오, 면역항암제 ‘TU2218’ 임상결과 글로벌 암학회서 연속 공개
티움바이오가 면역항암제 ‘TU2218’의 임상 1a상 결과를 10월과 11월 개최되는 유럽종양학회(ESMO), 미국면역항암학회(SITC)에서 연속 공개한다고 11일 밝혔다. TU2218은 TGF-ß(형질전환성장인자) 및 VEGF(혈관내피성장인자)를 동시에 저해하는 경구용 면역항암제다. 1a상(NCT05204862)은 진행성 고형암 환자에게 TU2218을 단독 투여하는 임상으로, 미국과 한국 임상기관에서 진행됐으며 TU2218의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 악력학 및 예비 효능 등을 검증했다. 1a상 데이터는 10월 스페인에서 열리는 ESMO(European Society for Medical Oncology) 2023 연례학회에서 처음 공개되며, 발표는 임상시험 연구책임자인 서울대학교 종양내과 오도연 교수가 맡는다. 11월 미국에서 열리는 제38회 SITC(Society for Immunotherapy of Cancer) 연례학회에서도 포스터 발표로 채택돼 학계 전문가 및 글로벌 제약 2023.09.11
타그리소-항암화학 병용요법, EGFR 진행성 폐암 무진행생존기간 9개월 연장
오시머티닙(제품명 타그리소)과 항암화학 병용요법이 오시머티닙 단독요법 대비 무진행생존기간(PFS, Progression Free Survival)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임상적으로 의미 있게 개선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아스트라제네카 에 대한 국소 진행성(3B-3C기) 또는 전이성(4기) 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 변이(EGFRm) 비소세포폐암(NSCLC) 환자를 대상으로 오시머티닙과 항암화학 병용요법을 평가한 3상 연구(FLAURA2) 결과를 11일 세계폐암학회 국제학술회의(IASLC 2023 WCLC)에서 발표했다. 연구 결과 오시머티닙-항암화학 병용요법은 오시머티닙 단독요법 대비 질환의 진행 또는 사망 위험을 38% 감소시켰다. 연구진 평가에 따르면, 병용요법은 오시머티닙 단독요법 대비 무진행생존기간 중앙값을 8.8개월 연장시켰다. 눈가림 된 독립적 중앙 검토위원회(BICR, Blinded Independent Central Review)의 무진행생존기간 결과도 이와 일치, 오시머티닙- 2023.09.11
삼성바이오에피스, 스위스 산도스와 SB17 파트너십 계약 체결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스위스 소재 제약사 산도스(Sandoz)와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SB17(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성분명 우스테키누맙)의 북미, 유럽 시장 판매를 위한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삼성바이오에피스 커머셜 본부장 박상진 부사장은 “이번 계약으로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시장에서 쌓아 온 역량을 재차 확인했으며, 바이오시밀러가 가진 환자 접근성 확대의 가치를 더욱 공고히 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SB17은 삼성바이오에피스가 SB4(엔브렐 바이오시밀러), SB2(레미케이드 바이오시밀러), SB5(휴미라 바이오시밀러)에 이어 네 번째로 개발한 면역학 분야의 바이오시밀러 제품이다. 한편, 삼성바이오에피스는 3월 미국 피부과학회(AAD: American Academy of Dermatology) 연례 학술대회에서 SB17의 임상 1상 결과를 공개, 오리지널 의약품과의 비교 연구를 통한 약동학(PK) 및 안전성, 면역원성 등의 동등성을 확인했다. S 2023.09.11
세계 최초 제약회사는 어떤 의약품을 판매했을까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제약회사를 알아보려면 17세기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1660년대 당시 조선은 17대 국왕인 효종이 재위하고 있었다. ‘하멜 표류기’로 유명한 네덜란드인 헨드릭 하멜이 조선에 머물렀던 시기기도 하다. 중국에서는 명나라에서 청나라로 넘어간 뒤 4대 황제인 강희재가 즉위했다. 유럽에서는 종교개혁과 30년 전쟁을 마치고 프랑스가 루이14세로 대표되는 절대왕정 시기를 맞이해 국력을 키워나가기 시작했다. 이러한 역사 속에서 프리드리히 야콥 머크(Friedrich Jacob Merck)가 1668년 독일 다름슈타트에서 엥겔 아포테케(Engel-Apotheke, 엔젤약국)를 인수했다. 머크 그룹(Merck Group)이 시작된 곳이다. 이후 13대째 이어오며 머크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제약사로 자리잡았다. 엔젤약국은 현재까지 머크 가문이 소유하고 있다. 17세기 약국에서는 어떤 의약품을 판매했을까. 기록에 따르면 당시 약사들은 식물과 동물, 2023.09.11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