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헬스케어 '램시마SC', 브라질 출시로 중남미 시장 공략 본격화
셀트리온헬스케어가 중남미 최대 규모의 제약시장인 브라질에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램시마SC(성분명 인플릭시맙, 피하주사제형)를 출시하며 중남미 시장 공략에 본격 돌입했다고 22일 밝혔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지난해 11월 브라질 위생감시국(Agencia Nacional de Vigilancia Sanitaria, ANVISA)에서 램시마SC에 대한 판매 허가가 이뤄진 이후 약가 등재 등 필수적인 업무들을 진행함과 동시에 정부 기관과의 소통을 지속하면서 램시마SC 런칭 준비에 집중했다. 램시마, 트룩시마(성분명 리툭시맙) 등 기존 제품들과 함께 램시마SC도 직접판매(직판)할 계획이며, 성공적인 시장 안착을 위해 현지 법인 소속 커머셜 인력을 30여명까지 확충하는 등 직판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해왔다. 브라질은 중남미 제약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핵심 국가로 주변 지역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 이에 셀트리온헬스케어는 런칭 초기부터 정부, 의사, 환우회 등 주요 이해관계자들과 미팅을 확대 2023.05.22
세계 최대 수면학술대회 SLEEP 2023에서 발표될 주요 주제는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미국수면학회(AASM)와 수면연구학회(SRS)가 공동으로 개최하는 제37차 미국수면학회(APSS) 연례 학술대회인 SLEEP 2023이 6월 3일부터 7일까지(현지시간) 미국 인디애나폴리스에서 열린다. 학술대회에서는 기초 및 중개 수면 과학과 일주기 과학,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및 만성 불면증과 같은 수면 장애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한 발전 사항을 논의한다. 100개 이상 세션과 1000개 이상 연구 초록이 구두 및 포스터 형식으로 발표되며, 전 세계에서 약 4000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기조강연 연자로는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 파인버그의대(Northwestern University Feinberg School of Medicine) 수면의학센터장인 필리스 지(Phyllis Zee) 박사가 참석한다. 지 박사는 6월 5일 오전 '건강 수명 증진을 위한 일주기 및 수면 과학의 연결'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같은 날 오후 미국 웨이크포레스트의대(Wake Fo 2023.05.19
넥스트젠바이오사이언스, 유럽 피부과학회서 NXC736 임상 1상 결과 발표
넥스트젠바이오사이언스가 유럽피부과학회(EADV 2023)에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파이프라인 NXC736의 임상 1상 결과를 발표했다고 19일 밝혔다. 올해로 32번째 열리는 EADV는 유럽 최대 피부과학회로, 올해는 이달 18일부터 20일까지 사흘간 스페인 세비야 현지와 온라인으로 동시 진행된다. 넥스트젠바이오사이언스는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NXC736에 대해 2021년 8월 임상 1상 임상시험계획(IND) 승인 후 서울대병원에서 임상시험을 진행해 2023년 2월 종료했다. NXC736은 ‘스핑고신-1 포스페이트’(Sphingosine-1 phosphate) 수용체 1과 4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길항체다. 전임상 단계에서 면역억제 작용 및 간과 신장, 폐 등 다양한 섬유화 동물모델에서 우수한 항섬유화 효과와 우수한 안전성을 확인했다. 서울대병원 임상약리학과 이승환 교수 연구진은 NXC736을 건강한 남성들을 대상으로 14일간 투약 결과 중증 이상반응 및 심각한 이상반응은 보고되지 않았 2023.05.19
대한골대사학회, "국가검진 골밀도 T점수 제공 환영…골다공증 사후관리 강화해야"
대한골대사학회가 정책토론회를 열고 ‘국가건강검진 골밀도검사 실효성 제고를 위한 사후관리 강화 방안’을 제언했다. 현재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국가건강검진을 통해 54세, 66세 여성에게 제공하고 있는 골밀도검사로 골다공증을 발견한 국민들이 적극적으로 치료에 나서게 해 골절 예방 실효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대한골대사학회는 18일 제11차 Seoul Symposium on Bone Health(SSBH 2023)·제34차 춘계학술대회에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백종헌 국회의원과 공동으로 주최한 노인 골절 예방 선순환을 위한 골다공증 정책 개선 토론회의 두번째 세션 '국가건강검진 골밀도검사 실효성 제고를 위한 사후관리 강화 방안' 토론회를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학회는 '2023 골다공증 대국민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골밀도검사 활성화의 중요성을 환기하고, 국가건강검진 골밀도검사의 골다공증 사후관리 방안을 제언했다. 골다공증 고위험군 5070 여성 "골다공증 위험하지만 내 뼈 수치는 몰라 2023.05.19
한국화이자제약, 궤양성대장염 질환 정보 플랫폼 '유캔두잇' 웹사이트 론칭
한국화이자제약 염증 및 면역질환 사업부가 ‘세계 염증성 장질환의 날(World IBD Day)’을 맞아 궤양성대장염(Ulcerative Colitis, UC) 환자들을 위해 최신 질환 정보를 제공하는 통합 디지털 플랫폼 ‘유캔두잇(UCan do it)’을 19일 론칭한다고 밝혔다. 유캔두잇(UCan do it)이라는 웹사이트 명은 궤양성대장염의 영문 약자인 ‘UC’를 활용해 ‘함께 노력하면 궤양성대장염을 극복할 수 있다’는 응원의 의미를 담고 있으며 ‘세계 염증성 장질환의 날’인 19일부터 접속이 가능하다. 유캔두잇은 ▲‘궤양성대장염이란?’(질환 및 치료, 증상과 진단, 발병 추이 등 질환 소개) ▲‘궤양성대장염과 함께 살아가기’(국내외 환자 대상 설문조사 인포그래픽 및 환자 스토리 영상) ▲‘생활의 팁’(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질환 관리 방법) ▲‘강의 및 영상’(소화기내과 전문의들의 질환 관련 궁금증 해소 영상) 등 4가지 탭으로 구성돼 있다. 론칭 이후에도 계속 콘텐츠가 업데 2023.05.19
AI기반 신약 개발기업 파로스아이바이오, 증권신고서 제출…7월 상장 예정
인공지능(AI) 기반 혁신 신약 개발 전문기업 파로스아이바이오가 18일 금융위원회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코스닥 상장을 위한 공모 절차를 본격 추진한다. 2016년 설립된 파로스아이바이오는 자체 AI 플랫폼 케미버스(Chemiverse)를 활용한 차별화된 신약개발 프로세스를 보유하고 있다. 케미버스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적은 리소스를 갖고 단시간에 새로운 약물 파이프라인을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가지고 있다. 현재 케미버스는 파이프라인의 연구개발 과정에서 탐색, 유도물질 도출, 후보물질 도출, 임상시험 등의 단계에 활용되고 있으며, 정확하고 효율적인 신약개발에 기여하고 있다. 주력사업은 희귀·난치성 질환 치료제 개발이다. 확보한 주요 파이프라인으로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 치료제 ‘PHI-101’과 항암제 치료물질인 ‘PHI-201’(pan-KRAS 저해제), ‘PHI-501’(악성흑색종, 난치성 대장암, 삼중음성 유방암)등이 있다. PHI-101은 연내 1상을 완료하 2023.05.18
뇌질환 전자약 개발 '리솔', 뉴패러다임인베스트먼트로부터 프리A 투자 유치
뇌질환 진단·치료 전자약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는 헬스케어 스타트업 리솔(LEESOL)이 중소벤처기업부의 팁스(TIPS) 운영사인 액셀러레이터 뉴패러다임인베스트먼트로 부터 프리A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고 18일 밝혔다. 리솔은 뉴패러다임의 2023년도 아기유니콘 성장 프로그램을 통해 선정된 딥테크 분야 투자기업으로, 향후 3년간 15억 원을 추가 지원받을 수 있는 딥테크 팁스(TIPS) 추천도 받게 된다. 리솔은 초음파, MRI 등 한국 1세대 의료기기 벤처회사 메디슨의 핵심 인력을 주축으로 2017년 창립한 전자약 개발 헬스케어 스타트업이다. 뇌 자극 및 뇌파 동조 기술을 통한 뇌행성 뇌질환(알츠하이머) 진단 및 정신과 질환(수면, 우울) 치료 플랫폼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2019년 tACS 방식의 두개전기자극(CES)을 이용한 수면 장애 개선 및 치매 예방 기기인 슬리피솔(Sleepisol) 웨어러블 기기 개발에 성공했다. 세로토닌, 멜라토닌, GABA 등 수면 관련 뇌 신경전달물 2023.05.18
베르티스, 세계단백체학회 산업자문위원회 합류
베르티스가 프로테오믹스(Proteomics, 단백질체학) 분야의 세계 최고 권위 학회인 세계단백체학회(HUPO, Human Proteome Organization)의 산업자문위원회(Industrial Advisory Board, IAB)에 합류했다고 18일 밝혔다. 2001년 출범한 세계단백체학회는 뉴멕시코주 정부의 인가를 받은 비영리기구로 인간의 단백체(proteome)를 연구하는 프로테오믹스 분야에서 가장 규모가 큰 비영리 국제 과학 조직이다. 2023년 5월 기준 연구자 796명이 소속돼 활동 중이며 새로운 기술 및 기법, 교육 개발을 촉진하고 국제적 협력과 공동연구를 통해 프로테오믹스 분야의 발전을 주도하고 있다. 세계단백체학회 소속 산업자문위원회는 프로테오믹스 기반의 혁신 기술 및 제품에 대해 논의하고, 산업계 동향을 점검해 학회 의회(HUPO Council) 및 집행위원회(Executive Committee)에 의견을 개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프로테오믹스 산업에 종사하는 2023.05.18
소니가 만드는 ADC 플랫폼은…아스텔라스제약과 공동 연구 나선다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엔터테인먼트와 전자 사업으로 잘 알려져 있는 일본 소니(Sony Corporation)가 종양학 분야에서 새로운 항체약물접합체(ADC) 플랫폼 개발에 나선다. 1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소니와 아스텔라스제약(Astellas Pharma)이 소니의 고유 고분자 물질인 '키라비아(KIRAVIA)' 백본을 기반으로 ADC 플랫폼을 개발하기 위한 공동 연구 협약을 체결했다. 키라비아 백본은 소니가 독자적으로 개발해 시약 제조업체에 라이선스를 부여한 키라비아 염료(KIRAVIA Dyes)에서 개발한 유기 폴리머 기술을 사용해 제작된 물질이다. 소니 측은 자동 합성기를 사용해 3차원 구조를 프로그래밍하고 중합하기 때문에 설계의 자유도가 높은 것이 특징이라 설명했다. 첨가할 수 있는 약물 수를 늘리면서도(고-DAR 달성) 여러 종류의 약물을 적재하고 수용성을 향상시키며(응집 방지), 세포 내 효소와 반응해 절단하는 등 안정성이 높다는 것이다. 소니는 기능적 특성을 가 2023.05.18
카이노스메드, KM-819 미국 2상 파트1b 파킨슨병 환자에 투여시작
카이노스메드가 KM-819를 미국 임상2상 파트1b에 진입해 파킨슨병 환자에게 투여를 시작했다고 17일 밝혔다. 건강한 사람을 대상으로 한 2상 파트1a는 이미 완료했으며, 이를 통해 KM-819 최대용량인 800mg까지는 안전성을 확보했다. 2상 파트1b는 파킨슨 질환자 24명을 대상으로 무작위배정, 이중맹검, 다중용량상승 방식으로 진행되며, 환자에게 투여될 KM-819의 최대용량을 결정하고, KM-819의 안전성 확보 및 앞으로 진행할 약물의 효능 검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이 임상시험은 미국 미시간주에 있는 큐알아이임상연구센터(QRI, Quest Research Institute)에서 진행한다. KM-819는 기존 개발하고 있는 파킨슨 치료제와 달리 듀얼 액션 기능을 하는 새로운 매커니즘을 가진 퇴행성 뇌신경계 혁신신약이다. 먼저 도파민 분비 신경세포의 사멸에 관여하는 FAF1(Fas-Associated Factor1)의 과활성을 억제시켜 신경세포의 사멸 방지 및 보호 효과를 가 2023.05.17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