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더나, 신변종 감염병 mRNA 백신 사업단과 백신 연구개발 MOU 체결
모더나가 신변종 감염병 mRNA 백신 사업단(KmVAC)과 백신 연구개발 및 상호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모더나와 사업단이 감염병 연구 및 백신 개발을 위한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관련 네트워크를 활성화하고자 체결됐다. 향후 모더나는 새로운 백신의 연구‧개발을 가속화하기 위한 자사의 프로그램 ‘mRNA 액세스(mRNA Access)’를 활용해 사업단과 감염병 연구 및 백신 개발을 위한 기술 정보를 활발히 교환하고, 백신 개발 전주기에 걸쳐 협력해 나갈 계획이다. mRNA 액세스는 글로벌 파트너와 협력, mRNA 기술을 사용해 새로운 백신 개발을 가속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모더나를 넘어선 전 세계 연구자들이 모더나가 보유한 mRNA 플랫폼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해 새롭게 발생하거나 소외되고 있는 감염성 질환에 대응하는 새로운 백신의 개발을 돕는 프로그램이다. 신변종 감염병 mRNA백신사업단 홍기종 단장은 "모더나와의 이번 협약은 신변 2023.03.22
한국다케다제약, 후천성 혈우병 A 출혈 치료제 '오비주르' 국내 허가
한국다케다제약은 성인 후천성 혈우병 A 환자의 출혈 치료제인 오비주르주(서스옥토코그알파)가 20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국내 허가 받았다고 22일 밝혔다. 후천성 혈우병 A (Acquired Hemophilia A, AHA)는 혈액응고 8인자에 대한 자가 면역 항체가 발생해 출혈 관련 합병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연간 100만 명 당 1명 꼴로 드물게 발생하지만, 선천성 혈우병 A 환자보다 더 치명적인 출혈 경향을 보인다. 환자 대부분 65세 이상 고령(중앙값 64-78세)으로, 중증이거나 생명을 위협하는 출혈은 환자의 70~90%에서 발생하고 고령이나 기저 악성 종양을 동반한 경우 사망률은 20% 이상으로 보고된다. 선천성 혈우병 A와 달리 혈중 혈액응고 8인자의 농도로 질환의 중증도를 판단하기 어려워, 임상적 출혈 증상 또한 고려해 신속한 진단과 출혈 조절이 필요하다. 오비주르주는 국내에서 성인 후천성 혈우병 A 환자의 출혈 치료제로 허가받았으며 기존의 우회인자약제와는 달리 AHA 2023.03.22
사노피 Tdap 백신 '아다셀주', 10년마다 재접종 및 만 10세 접종 용법용량 변경 승인
사노피는 '아다셀주'가 8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백일해·파상풍·디프테리아(Tdap) 예방을 위한 10년 간격 재접종 및 만 10세 접종 용법용량 변경을 승인받았다고 22일 밝혔다. 허가사항에 따르면 아다셀주는 영유아 시기에 소아용 DTP 기초접종을 일정대로 모두 마친 만 10~64세의 청소년 및 성인을 대상으로 추가 접종하며 10년 간격으로 재접종할 수 있다. 이번 용법용량 변경 승인은 10년 전 Tdap 백신을 접종 받은 성인을 대상으로 아다셀주 재접종 시의 안전성 및 면역원성을 첫 접종군과 비교한 오픈라벨, 다기관 임상 연구를 기반으로 이뤄졌다. 임상 연구 결과 아다셀주 재접종군에서 양호한 내약성과 면역원성을 확인했으며 재접종군과 첫 접종군 간 이상사례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파상풍 및 디프테리아에 대한 일정 수준 이상(0.1 IU/mL)의 보호 항체는 아다셀주 재접종군의 100%, 98.5%에서 형성됐고 첫 접종군은 각각 99.7%, 96.1%에서 형성돼 재접종군은 첫 접종군 2023.03.22
피플바이오, 탈모치료제 기술이전 계약 체결
피플바이오는 연결종속 회사이자 천연물 치료제 개발 기업인 파마코바이오를 통해 탈모 예방과 치료제 효능을 지닌 야생식물 추출물에 대해 성균관대와 특허권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에 이전 받은 기술은 국립생물자원관과 성균관대 융합생명공학과 조재열 교수 연구진이 2020년 8월부터 공동 연구한 프로젝트로 캄보디아 야생식물 ‘코나루스 세미데칸드러스’ 추출물에서 탈모 예방과 치료제로써 우수한 효능을 확인한 특허기술이다. 코나루스 세미데칸드러스는 캄보디아와 라오스, 말레이시아, 베트남 등지에 서식하는 약용식물로 항알레르기, 항산화, 해열 효과가 있다. 조 교수팀은 탈모증이 있는 실험용 쥐에 코나루스 세미데칸드러스 추출물을 투여했을 때,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승인한 탈모 치료제 ‘피나스테리드’를 바른 쥐보다 발모 촉진과 모발 건강에 더욱 효과가 좋다고 밝혔다. 탈모 등에 관여하는 호르몬은 테스토스테론이 전환되어 만들어지는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이다. 이 전환 과 2023.03.22
셀트리온, K-바이오 랩허브 구축사업 참여해 오픈이노베이션 강화
셀트리온이 'K-바이오 랩허브 구축사업 업무협약식(MOU)'에 참석하고 바이오 스타트업과 오픈이노베이션을 강화한다고 22일 밝혔다. 인천 송도 연세대 국제캠퍼스에서 진행된 행사에는 셀트리온을 비롯한 랩허브 구축기관 및 제약바이오 분야 관계기관이 참석했다. K-바이오 랩허브 구축사업은 산학연병이 협력해 의약바이오 분야 혁신 창업기업을 발굴 및 육성하고 동반성장할 수 있는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셀트리온은 이번 업무협약식에 대한민국 대표 바이오 앵커기업으로 참석해 K-바이오 랩허브의 성공적인 출범과 바이오 분야 혁신 창업기업 발굴 및 육성, 나아가 동반성장 할 수 있는 바이오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상호협력을 다짐하고, 인천 송도를 세계적인 바이오 클러스터로 조성한다는 비전을 공유했다. 셀트리온은 2026년부터 본격적으로 운영되는 K-바이오 랩허브 구축사업에서 ▲K-바이오 랩허브 방향성 자문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 제공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 개발 ▲우 2023.03.22
AI 플랫폼 기반 혁신 항암제 개발기업 펠레메드, 55억 시리즈 A브릿지 투자 유치 완료
펠레메드가 LSK인베스트먼트, KDB산은캐피탈로부터 후속 투자 및 보광인베스트먼트, BSK인베스트먼트, 알파원인베스트먼트로부터 신규 투자를 유치해 55억원의 시리즈 A브릿지 투자를 마무리했다고 22일 밝혔다. 펠레메드는 이번 투자유치로 지금까지 총 120억원의 연구개발 자금을 확보했다. 2020년 말 시리즈A 유치해 급성골수성백혈병(AML) 치료제인 PLM-102의 전임상 시험을 마치고 효능 및 안전성에 대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했다. 이번 시리즈A 브릿지 투자금을 활용해 PLM-102의 1상 임상시험계획(IND) 제출을 한국과 미국에서 동시에 진행할 계획이다. PLM-102는 표적항암 타겟 키나아제(Kinase)의 돌연변이 약물 저항성을 최소화해 설계한 차세대 혁신 항암신약이다. 타겟 키나아제에 대한 높은 선택성을 나타내며 특히 pM(피코몰, 1조 분의 1 몰) 수준의 낮은 농도에서도 약물 내성 돌연변이 키나아제에 대한 강력한 타겟 억제 효과를 보였다. 비임상 독성시험 결과, 선행 2023.03.22
원형 탈모증 치료제, 릴리 올루미언트 이어 어떤 약물이 허가받을까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지난해 6월 릴리(Eli Lilly and Company)의 JAK 억제제 올루미언트(성분명 바리시티닙)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성인 중증 원형 탈모증 치료제로 승인을 받으면서 처음으로 원형 탈모증에 대한 전신 치료 옵션이 생겼다. 이어 화이자(Pfizer)와 인도 제약사 선 파마(Sun Pharmaceutical Industries)의 JAK(Janus kinase) 억제제가 FDA 허가 단계에 가까워지며 그 뒤를 쫓고 있다. 2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화이자의 리틀렉시티닙의 FDA 허가 여부가 2분기 결정되며, 콘서트 파마슈티컬스(Concert Pharmaceuticals)가 2분기 FDA에 듀룩솔리티닙 (deuruxolitinib)의 신약허가신청서(NDA)를 제출한다. 콘서트는 최근 선 파마에 인수됐다. 원형 탈모는 면역 체계가 모낭을 공격해 모발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빠지는 자가면역질환이다. 주로 두피에서 발생하지만 눈썹이나 속눈썹, 2023.03.22
한국GSK, 글로벌 바이오 제약 인재 양성 과정 '퓨처 리더스 프로그램' 진행
한국GSK가 26일까지 ‘퓨처 리더스 프로그램(Future Leaders Graduate Programme)’을 통해 GSK의 미래를 이끌어 갈 인재를 모집한다고 21일 밝혔다. GSK는 과학, 기술, 인재를 하나로 모아 질병을 이겨내고 극복하고자 하는 열정과 목적을 가진 글로벌 바이오 제약 기업으로, 우수한 인재들을 모아 포용적인 환경에서 향후 10년간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 있는 환자들의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GSK의 글로벌 인재 양성 프로그램인 퓨처 리더스 프로그램은 직원이 역량을 개발하고 기업과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각 나라별 상황에 맞춰 IT, 엔지니어링, 커머셜 과정 등으로 세분화된다. 2023년 한국GSK의 퓨처 리더스 프로그램은 커머셜 사업부문에 집중되며, 교육, 멘토링 및 코칭 등의 다양한 경험을 통해 참가자들이 능력을 향상시키고 글로벌 비즈니스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퓨처 리더스 프로그램을 통 2023.03.21
메드팩토, 췌장암 대상 백토서팁 병용요법 AACR 포스터 채택
메드팩토가 췌장암 대상 백토서팁 병용요법의 전임상 데이터가 ‘미국암연구학회 2023’(AACR 2023·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에서 포스터로 채택됐다고 21일 밝혔다. AACR은 매년 120여개국에서 2만여명의 연구자가 모여 암 관련 지식 및 임상 연구를 공유하는 국제 암 학회로,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유럽종양학회(ESMO)와 함께 세계 3대 암학회로 꼽힌다. 올해는 4월 14~19일(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에서 열린다. 메드팩토는 이번 학회에서 백토서팁과 아르기닌 메틸화 효소 5(Protein arginine methyltransferase 5, PRMT5) 단백질 활성 억제제 ‘T1-44’ 병용요법의 전임상 데이터를 공개한다. 암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효소로 알려진 PRMT5 단백질은 췌장암을 비롯한 다양한 암에서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메드팩토는 PRMT5 단백질 억제제인 ‘T1-44’를 개발한 영국 2023.03.21
셀트리온헬스케어 '램시마', 글로벌 누적 처방액 12조 원 돌파
셀트리온헬스케어에서 판매 중인 세계 최초 항체 바이오시밀러 램시마(성분명 인플릭시맙)가 글로벌 누적 처방액 12조원, 누적 매출 5조원을 돌파하며 국내 바이오제약 산업 역사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의약품 시장조사기관인 아이큐비아(IQVIA)를 기준으로 2013년부터 2022년 3분기까지 약 10년 동안 램시마가 전세계에서 11조9267억원의 누적 처방액을 기록했으며, 작년 말을 기점으로는 12조원을 돌파했다고 21일 밝혔다. 셀트리온헬스케어에서 램시마 매출이 처음 발생한 2013년부터 작년까지 10년 간 글로벌 누적 매출액은 5조1631억원을 기록했다. 국내 바이오제약 기업이 개발해서 판매하고 있는 의약품 가운데 단일 품목으로 글로벌 누적 처방액 12조원, 누적 매출 5조원을 넘긴 제품은 램시마가 처음이다. 올해로 유럽 판매 10주년을 맞이한 램시마는 '바이오시밀러'라는 새로운 영역을 개척한 퍼스트무버(First Mover) 의약품으로서 전무후무한 성과들을 달성하 2023.03.21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