싸이토젠, 유방암 전이 규명 위한 단일세포 RNA 분석 계약 체결
싸이토젠이 유방암 전이 환자 대상 전이 규명을 위한 scRNA(Single Cell RNA, 단일세포RNA) 분석 계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계약은 연세대학교 AST사업단에서 의뢰한 것으로, 싸이토젠은 약 1년 간 전이성 유방암 환자의 혈액내 순환 종양 세포(Circulating Tumor Cell, CTC)와 원발암 세포(Primary cancer cell), 전이 암세포(Metastasis Cancer Cell)를 각각 단일세포 RNA 분석법(scRNA seq.)을 통해 분석하게 된다. 싸이토젠은 혈액 속 CTC를 손상 입지 않은 상태로 분리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이를 활용해 CTC 유래 Single Cell RNA를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을 연구해왔으며 이를 기반으로 연세대학교 AST 사업단과의 선행 연구를 통해 CTC와 암의 전이 과정에 대한 상관관계 데이터를 확보했다. 본 계약으로 싸이토젠은 그간의 연구 경험을 실제 다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로 확대 2023.02.28
지니너스, 美학술지 JITC에 싱글셀 분석 활용한 연구논문 게재
지니너스가 미국면역항암학회의 공식 학술지인 ‘Journal for ImmunoTherapy of Cancer(JITC)’에 싱글셀 분석을 활용한 연구결과가 게재됐다고 28일 밝혔다. 미국면역항암학회(Society for Immunotherapy of Cancer, SITC)는 1984년 설립돼 암 연구와 치료에 종사하는 전세계 63개국, 약 4600명 이상의 과학자, 연구자, 임상의들을 회원으로 보유한 면역항암 분야에서 가장 권위있는 학회다. 이번 연구결과는 환자 혈액에 존재하는 면역세포의 싱글셀 분석 결과와 면역관문억제제 약물반응과의 상관관계를 밝힌 것이다. 이를 통해 면역관문억제제 투여 초기부터 환자 혈액 내의 특정 면역세포의 비중에 따라 면역관문억제제의 장기적인 효과를 예측할 수 있음이 나타났다. 연구에는 박웅양 지니너스 대표와 이세훈 교수, 박세훈 교수, 김현수 연구원을 포함한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연구팀이 공동으로 참여했다. 지니너스 박웅양 대표이사는 “이번 논문 발표는 2023.02.28
넷타겟-삼성서울병원, 신약 및 신의료기술 개발 MOU 체결
삼성서울병원과 넷타겟이 인공지능(AI) 시스템생물학 기반 신약 및 신의료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넷타겟이 보유한 AI 시스템생물학 기반 신약개발 플랫폼을 활용해 삼성서울병원이 보유한 다양한 임상 데이터를 해석하고 이를 통해 신약 및 신의료 기술 등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다. 넷타겟은 삼성서울병원의 임상 데이터를 해석해 암, 면역질환 등 대상 질병에 대한 질병메커니즘을 분석하고 최적의 약물 타겟을 도출한다. 이를 위해 넷타겟은 인공지능 시스템생물학을 활용해 자체 개발한 N-MAP 플랫폼을 이용, 정확한 약물기전 메커니즘 및 타겟을 도출하고, N-CAP 플랫폼을 활용해 약물후보를 개발한다. 이날 협약식에서 이규성 삼성서울병원 미래의학연구원장 겸 연구부원장은 “이번 협력을 통해 양 기관의 데이터와 인공지능 시스템 생물학 기반의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혁신신약 개발에서 좋은 성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며, 삼성서울병원은 연구중심병원으로 한층 더 도 2023.02.28
애브비 스카이리치, 성인 활동성 및 진행성 건선성 관절염 치료제로 건강보험급여 적용
한국애브비는 건선 치료제 '스카이리치(Skyrizi, 성분명 리산키주맙, Risankizumab)'가 보건복지부 고시에 따라 3월 1일부터 1종 이상의 TNF-α 억제제 또는 인터루킨-17 억제제에 반응이 불충분하거나 부작용, 금기 등으로 치료를 중단한 성인 활동성 및 진행성 건선성 관절염 치료제로 급여가 적용된다고 28일 밝혔다. 스카이리치는 2020년 6월1일부터 성인 만성 중증 판상건선 환자 치료에 보헙 급여가 적용돼 왔다. 150mg을 0주, 4주, 그 이후 유지요법으로 12주마다 피하로 투여하며 단독투여 혹은 비생물학적 DMARDs와 병용 투여할 수 있다. 스카이리치는 면역 매개 염증성 질환에서 염증 유발과 연관된 인터루킨-23을 억제하는 생물학제제로 2023년 2월 기준 가장 최근 국내에 도입된 건선 치료제다. 2019년 중등도~중증 판상 건선 치료제로 승인받은 데 이어 2022년 1월에는 이전에 항류마티스제제(DMARDs)에 대한 반응이 적절하지 않거나 내약성이 없는 성 2023.02.28
셀트리온그룹, ECCO서 램시마SC 등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경쟁력 소개
셀트리온그룹이 3월 1~4일(현지시간)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리는 2023 유럽 크론병 및 대장염학회(European Crohn’s and Colitis Organization, ECCO)에 참가해 현지 전문가들을 상대로 램시마SC 및 유플라이마 등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경쟁력을 강조한다고 28일 밝혔다. ECCO는 연 평균 8000명 이상의 의료전문가가 참석하는 유럽 내 대표적인 염증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학회로, 관련 질병을 다루는 최신 임상 연구와 치료제 개발 동향 등이 발표된다. 셀트리온그룹은 이번 ECCO에서 유럽 내 진행된 램시마SC의 스위칭 리얼월드 데이터(Real-World Switching Data) 발표를 비롯해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환자와 크론병(Crohn's disease) 환자를 대상으로 각각 진행한 2건의 램시마SC 신규 글로벌 3상 임상 결과를 처음으로 발표한다. 또한 3일에는 ‘염증 2023.02.28
린파자, 고위험 조기 유방암·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 1차 치료 승인
한국아스트라제네카는 PARP 저해제(poly ADP-ribose polymerase Inhibitor) 린파자정(성분명 올라파립)이 23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gBRCA 변이 HER2-음성 고위험 조기 유방암 성인 환자의 수술 후 보조요법과 전이성 거세 저항성 전립선암 1차 치료에 대한 적응증을 승인 받았다고 27일 밝혔다. 린파자정은 이번 식약처 승인으로 ▲이전에 수술 전 보조요법 또는 수술 후 보조요법 조건에서 항암화학요법 치료경험이 있는 gBRCA변이(germline BRCA-mutated) HER2-음성 고위험 조기 유방암 성인 환자의 수술 후 보조요법 ▲전이성 거세 저항성 전립선암 진단 후 항암화학요법 치료경험이 없는 성인 환자의 치료에 린파자와 아비라테론 및 프레드니솔론과의 병용요법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됐다. 이번 승인은 gBRCA변이 HER2-음성 고위험 조기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OlympiA, 전이성 거세 저항성 전립선암 1차 치료 환자를 대상으로 한 PROp 2023.02.27
셀트리온, 항체의약품·ADC·이중항체 이어 항암바이러스까지 항암 치료제 영역 확대
셀트리온이 국내 항암 바이러스 개발 회사인 진메디신과 전신투여용 항암바이러스 플랫폼(Platform) 기술 공동연구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계약에 따라 셀트리온은 트라스투주맙(Trastuzumab)을 표적물질로 사용하는 전신투여용 항암바이러스 플랫폼기술의 원료로 CT-P6 DS(Drug Substance, 원료의약품)를 제공하고 진메디신은 비임상을 담당하게 된다. 양사는 올해 말까지 비임상 종료를 목표로 플랫폼기술을 개발하고 비임상 시험에 필요한 필수정보를 교환하는 등 해당 플랫폼기술 개발 협력에 적극 나선다는 방침이다. 셀트리온은 또한, 비임상 결과 확인 후 해당 플랫폼기술에 대한 전 세계 라이선스 우선협상권을 행사할 수 있는 권리도 확보했다. 항암바이러스는 바이러스를 이용해 암세포의 특이적 사멸을 유도하고 암 치료 유전자를 종양에서 고발현하는 기술로 차세대 항암 신약 개발에 적용되고 있다. 다만 기존 항암바이러스는 정맥주사를 통해 주입 시 인체의 면역체계에 의 2023.02.27
레코르다티 코리아, 유사파마 인수합병…국내 희귀질환 치료제 시장 진출 선포
레코르다티 코리아가 27일 세계 희귀질환의 날을 맞아 레코르다티 한국 지사이자 아시아태평양 지역본부로서 출범을 알리며, 국내 희귀질환 치료제 시장 진출을 선포했다. 레코르다티는 9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이탈리아 제약회사로, 2022년 3월 희귀난치성 질환 포트폴리오 강화를 위해 영국 제약사 유사파마(EUSA Pharma)를 인수 합병했다. 이에 따라 기존 유사파마 코리아의 법인명이 변경되며 레코르다티 코리아가 탄생했다. 레코르다티 코리아는 다발성 캐슬만병(multicentric Castleman’s disease, MCD) 치료제 실반트(성분명 실툭시맙), 고암모니아 혈증(Hyperammonemia) 치료제 카바글루(성분명 카르글루민산) 마케팅을 맡을 예정이며, 이외에도 고위험성 신경모세포종(Neuroblastoma), 쿠싱 증후군(Cushing's syndrome) 등 희귀질환에 대한 폭넓은 포트폴리오를 준비하고 있다. 레코르다티 코리아 이연재 아시아 대표는 “레코르다티는 유사파 2023.02.27
해외선 이미 보편화된 혈우병 반감기 연장 제제의 실질적 혜택은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치료제의 발달과 예방요법의 시행 덕분에 이제는 혈우병 환자도 '출혈 0(Zero bleeding)'을 꿈꾸며 일반인과 같은 삶의 질을 누릴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됐다. 특히 반감기 연장 제제의 등장은 환자의 주사 횟수를 줄이면서도 더 높은 혈액응고인자 최저치(Trough Level)를 유지하도록 만들어, 환자들이 보다 활발한 일상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기여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아직 표준 반감기 제제 사용률이 높은 편이나, 미국, 호주, 일본과 같은 해외 국가에서는 이미 반감기 연장 제제 사용이 보편화됐다. 반감기 연장 제제 전환 시 실질적 혜택, 리얼월드 데이터로 한번 더 확인 2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사노피-아벤티스 코리아가 최근 전문의를 대상으로 혈우병의 최신 치료 지견을 공유하기 위해 온라인 '사노피 혈우병 전문가 포럼(Sanofi Hemophilia Expert Forum)'을 열었다. 이 포럼에서 반감기 연장 제제 전환을 고려해 볼 수 있는 환 2023.02.27
AZ, 1년만에 2개 클라우딘 18.2 표적 항암제 확보…ADC와 이중항체 둘다 노린다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가 지난해 4월 클라우딘 18.2(Claudin 18.2)과 CD3을 표적하는 이중특이항체에 대한 글로벌 라이선스를 사들인데 이어, 이번에는 클라우딘 18.2(CLDN18.2)를 표적하는 항체약물접합체(ADC) 후보물질에 대한 글로벌 독점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 클라우딘 18.2는 위암에서 유망한 치료 표적이다. 아스트라제네카는 KYM 바이오사이언스(KYM Biosciences)와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해 CMG901에 대한 전 세계 연구, 개발, 제조 및 상용화를 책임지게 됐다고 23일(현지시간) 밝혔다. KYM은 중국에 본사를 둔 키메드 바이오사이언스(Keymed Biosciences)와 레푸 바이오파마(Lepu Biopharma)의 합작 회사다. 계약에 따라 아스트라제네카는 선급금 6300만 달러에 이어, 키메드에 최대 11억 달러의 개발 및 판매 관련 마일스톤을 추가로 지급하며, 최대 두 자릿수의 낮은 단계별 2023.02.25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