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페론, 유럽 학회서 아토피 피부염 치료신약 데이터 발표
샤페론이 8일까지 프랑스 니스에서 열리는 유럽의약화학학회(EFMC-ISMC 2022)에 참가해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 누겔(NuGel)의 주요 비임상 데이터를 발표했다고 6일 밝혔다. 샤페론은 이번 학회에서 경증~중등도 아토피 환자를 위한 신약 후보물질로 개발 중인 누겔에 대해 동물 모델에서 확인한 약물 효능 및 효과 관련 비임상 데이터를 포스터 발표의 형식으로 공개했다. 누겔은 염증 발생을 조절하는 수용체인 G단백질결합수용체19(GPCR19) 활성화를 통해 아토피 피부염을 억제하는 기전을 갖는 혁신 신약 과제다. 면역세포와 혈관세포에 존재하는 염증복합체의 활성을 억제해, 아토피 피부염 증상을 악화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는 사이토카인인 TSLP(Thymic Stromal Lymphopoietin)의 발현을 낮추고 체내 염증조절 세포 수를 증가시켜 이중으로 광범위한 염증 병리기전을 제어한다. 이를 통해 면역반응의 불균형을 정상화시켜 아토피 피부염의 임상적 증상을 개선하고 다양한 2022.09.06
화이자 폐렴구균 백신 프리베나13, 대규모 연구 결과 허가사항 추가
한국화이자제약은 자사의 폐렴구균 백신 프리베나13의 지역사회획득 폐렴 및 침습성 폐렴구균 질환의 예방 효과를 확인한 대규모 효능(Efficacy) 연구 결과 데이터가 국내 허가사항에 추가됐다고 6일 밝혔다. 폐렴구균 감염은 9~10월부터 그 다음해 4~5월까지 발생빈도가 증가한다고 알려졌다. 폐렴구균은 폐렴은 물론 혈액이나 뇌수막을 침투해 수막염과 같은 침습성 질환을 일으킬 수 있으며 수막염과 같은 침습성 질환은 생존하더라도 신경학적 후유증을 남길 가능성이 높다. 이번 허가사항 추가는 프리베나13이 국내에 처음 허가된 2010년 이후, 지속적인 성인 대상 백신의 효능 및 안전성에 대한 대규모 연구 결과에 근거해 반영됐다. 이 연구는 네덜란드에서 약 4년간 65세 이상 성인 8만4496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이중맹검, 무작위배정, 위약대조의 대규모 임상연구로 2015년 의학저널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슨(NEJM)에 게재됐다. 연구 결과 per-protocol 분석에서 1차 평가 변수 2022.09.06
베르티스, 프로테오믹스 기반 난소암 진단용 신규 바이오마커 연구 결과 발표
프로테오믹스(Proteomics, 단백질체학) 기반 정밀의료 기술 개발 기업 베르티스는 고등급 장액성 난소암(High-grade serous ovarian cancer, HGSOC)의 조기 진단용 단백질 바이오마커를 탐색한 연구 결과가 국제학술지 ‘프로테옴 연구 저널(Journal of Proteome Research)’ 9월호에 게재됐다고 6일 밝혔다. 난소암은 부인과 암 중 사망률 1위로 대부분 초기에 증상이 없으며 효과적인 조기 진단 수단이 확보되지 않아 70%가 3기 이상 진행된 뒤 발견된다. 3기부터는 생존율도 급속히 감소한다. 1기, 2기의 5년 생존율은 각각 76% 이상, 60%~74% 정도인 반면 3기 초 5년 생존율은 41%, 3기 말 23%, 4기에는 11%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HGSOC는 가장 일반적인 난소암 유형으로 전체 난소암의 70%를 차지하며 수십년 동안 전체 생존율이 거의 개선되지 않아 조기 진단을 위한 표준 검사법 도입의 필요성이 강조돼 2022.09.06
中이노벤트 GLP-1 이중 작용제, 노보·릴리 제치고 베스트인클래스 비만약 될까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삭센다 성공 이후 GLP-1(glucagon-like peptide) 유사체 기반 비만 치료제 개발 열풍이 불고 있는 가운데 중국 이노벤트 바이오로직스(Innovent Biologics)가 마즈두타이드(mazdutide)로 베스트인클래스(best-in-class)를 노린다. 이노벤트는 중국 비만 환자를 대상으로 한 GLP-1와 글루카곤 수용체(GCGR) 이중 작용제 마즈두타이드 2상 임상시험(NCT04904913)의 고용량 코호트 투약이 시작됐다고 5일 밝혔다. 이 연구는 과체중 또는 비만인 중국 참가자에게서 마즈두타이드의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설계됐다. 이노벤트는 6월 저용량 코호트(3.0mg, 4.5mg, 6.0mg) 결과를 공개하며 1차 평가변수와 모든 주요 2차 평가변수가 충족됐다고 밝혔다. 이노벤트 발표에 따르면 24주차에 마즈두타이드의 각 용량은 위약과 비교했을 때 용량 의존적 방식으로 유의한 체중 감소 효능을 보였고, 참가자에게 다 2022.09.06
진캐스트-하버드의대 연구팀, 액체 생검 암 진단 민감도 문제 해결 가능성 제시
진캐스트가 하버드의과대학 브리검여성병원 병리학과 임영신 교수팀과 진행한 암 분자진단 플랫폼 기술 ADPS의 성능 분석 연구 결과가 국제전문학술지 JMD(The Journal of Molecular Diagnostic)에 1일자로 온라인 게재됐다고 5일 밝혔다. 공동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ADPS 기술이 돌연변이 대립유전자 빈도(Mutant Allele Frequency, MAF) 0.01%의 암 유전자 변이를 탐지하는 고민감도를 구현하는 원리를 규명하고 해당 기술의 성능을 증명했다. 연구 결과 진캐스트의 ADPS 기술은 높은 분별능을 통해 다양한 암 유전자 돌연변이를 초고민감도로 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존의 방법으로 구분이 어려워 민감도가 극히 낮았던 C>T, G>A 등의 전이 변이(transition mutation)의 검출 능력은 주목할 만하다. 순환 종양 DNA(ctDNA)를 활용한 액체 생체검사의 위양성 문제를 해결하고 진단 정확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함으로써 암 2022.09.05
바벤시오, KSMO서 JAVELIN Bladder 100 장기 추적 관찰 결과 발표
한국머크 바이오파마가 1~2일 열린 2022년 대한종양내과학회 국제학술대회(KSMO)에서 전이성 방광암 치료제 바벤시오(성분명 아벨루맙) 관련 장기 추적 관찰 데이터 및 한국인 대상 데이터를 발표했다고 5일 밝혔다. 서울성모병원 김인호 교수는 '바벤시오를 활용한 1차 유지요법 치료로 본 방광암 치료의 변화'를 주제로 한 런천 심포지엄에서 기존 방광암 표준치료에서의 한계점을 밝히며 1차 유지요법으로써 바벤시오의 임상적 유용성에 대해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기존 전이성 방광암 치료 환경에서는 1차 백금기반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환자 중 15~20%만 2차 치료를 받을 수 있었다. 이러한 임상적 미충족 수요에서 바벤시오가 JAVELIN Bladder 100 임상 결과를 바탕으로 1차 백금기반 항암화학요법 행 후 질병이 진행되지 않은 전이성 방광암 환자에서의 유지요법으로 2021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받았다. 이후 바벤시오의 유지요법은 1차 치료 이후의 주요 치료 전략으로 떠올랐고 E 2022.09.05
세닉스바이오테크, 나노자임 신약 'CX201' 공개...외상성 뇌손상 치료제 가능성 확인
세닉스바이오테크가 독자 개발한 세리아 나노자임 기반의 ‘CX201’이 산화스트레스를 줄임으로써 외상성 뇌손상 동물 모델에서 치료 효과를 나타냈다고 5일 밝혔다. 이 연구는 국제 학술지 ‘나노메디슨(Nanomedicine: Nanotechnology Biology and Medicine)’ 최근호에 게재됐다. CX201은 세닉스의 핵심 파이프라인인 CX213의 후속 파이프라인으로 세닉스가 독자 개발한 폴리머 코팅 기술이 적용된 초소형 산화세륨 나노입자다. 연구팀은 생체 투여가 가능하도록 독성 용매가 없는 수용액 상태에서 CX201을 합성했다. CX201은 수용액 상에서 약 6.49nm의 직경으로 잘 분산된 상태로 존재하며 강력한 활성산소 제거 효과를 보였다 연구팀에 따르면 외상성 뇌손상을 유발한 동물 모델에 CX201을 1회 정맥투여했을 때 신경학적 회복속도가 현저히 빠르게 나타났다. 또한 대조군에 비해 CX201군의 뇌조직에서 염증 반응 및 활성산소 마커가 확연히 줄어듦을 확인했다. 2022.09.05
한국엘러간 에스테틱스, 글로벌 트렌드 리포트 '에스테틱의 미래' 국내 공개
한국엘러간 에스테틱스(애브비 컴퍼니)가 미래 에스테틱 산업의 동향을 전망한 '에스테틱의 미래 (The Future of Aesthetics)' 글로벌 트렌드 리포트를 공개하고 이번 글로벌 트렌드 리포트의 이해를 돕기 위해 한글판 인포그래픽을 발간했다고 5일 밝혔다. 이 리포트는 점차 변화되는 환자 및 소비자의 요구와 기대를 파악하고 에스테틱 분야 관계자들에게 통찰력을 제시하기 위해 준비됐다. 엘러간 에스테틱스와 원더맨 톰슨 인텔리전스가 함께 개발했으며, 전 세계 환자 및 소비자, 미디어 및 소셜 리스닝 데이터, 시장조사에 이르는 광범위한 연구 및 분석을 통해 작성됐고, 트렌드를 선도하는 13개국 에스테틱 전문가 15인과의 1:1 인터뷰를 통해 검증됐다. 리포트에 따르면 에스테틱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늘어남에 따라 2017년부터 2020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시행된 비-수술적 에스테틱 시술은 약 200만 건 가량 증가했다. 이는 2025년까지 약 1460만 건의 미용성형 시술 및 230 2022.09.05
노보 노디스크, 11억 달러에 포마 인수…심혈관·희귀질환 파이프라인 확대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당뇨병 전문 제약사 노보 노디스크(Novo Nordisk)가 미국 바이오텍을 인수하면서 심혈관 및 희귀질환 분야 파이프라인을 확장한다. 노보 노디스크는 포마 테라퓨틱스(Forma Therapeutics)를 11억 달러에 인수하는 최종 계약을 체결했다고 1일(현지시간) 발표했다. 포마는 희귀 혈액 질환과 암에 중점을 둔 임상 단계 바이오텍이다. 노보 노디스크는 트레시바와 빅토자, 오젬픽 등 당뇨병 치료제와 삭센다, 위고비와 같은 비만 치료제로 잘 알려져 있으며 혈우병 치료제도 판매해왔다. 2020년 심장과 신장 질환 전문 코비디아 테라퓨틱스(Corvidia Therapeutics)를 21억 달러에 인수하고, 2021년 프로테나(Prothena)로 부터 희귀질환인 ATTR 아밀로이드증 프로그램을 1억 달러에 인수하는 등 심혈관 및 희귀질환 분야에도 투자하고 있다. 노보 노디스크는 "주요 후보물질인 에타보피바트(etavopivat)를 포함해 포마를 인수하는 2022.09.04
쓰리빌리언, 코오롱인더스트리 미래기술원과 신약개발 협력
인공지능 기반 희귀질환 유전자 진단 기업 쓰리빌리언(3billion)이 1일 코오롱인더스트리 미래기술원과 신약개발 협력을 위한 업무 협약을 맺었다고 2일 밝혔다. 쓰리빌리언은 코오롱인더스트리 미래기술원과 협력을 계기로 그 동안 구축해온 인공지능 신약개발 기술을 이용한 신약개발 사업화를 추진해 나가겠다는 계획이다. 쓰리빌리언은 유전질환 진단 사업을 통해 확장되고 있는 방대한 유전질환 환자 유전체 데이터와 인공지능기술을 활용해 신규 약물 타겟 발굴, 신약 후보 물질 발굴, 물질 안전성 예측을 할 수 있는 신약개발 플랫폼을 구축했다. 코오롱인더스트리 미래기술원과 협력해 다양한 질환에 대한 신규 타겟 발굴과 파이프라인 구축해낼 계획이다. 코오롱인더스트리 미래기술원은 유전자치료제 개발을 위한 경쟁력 있는 기반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쓰리빌리언의 유전질환 타겟 발굴과 표적 발굴 기술을 기반으로 발굴된 타겟을 대상으로 하는 신규 유전자치료제 파이프라인까지 구축을 빠르게 연계해 유전자치료제 개발 시 2022.09.02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