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코크로스, 캐나다 AI 바이오텍 씨클리카와 골수섬유증 치료제 공동연구개발 착수
인공지능(AI) 신약개발 기업인 온코크로스와 씨클리카(Cyclica)가 골수섬유증(Myelofibrosis) 치료제를 공동으로 개발하기 위해 공동연구개발계약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골수섬유증은 다능성 조혈모세포의 클론성 증식으로 비정상적인 혈액세포집단이 싸이토카인, 성장인자 등을 분비하고 이로 인해 골수의 섬유화와 골수 외 조혈 등이 일어나는 질환이다. 고위험군에서 평균 생존 기간이 27개월 정도로 예후가 좋지 않다. 병의 진행에 따라 백혈구 감소에 따른 감염의 위험과 혈소판 감소로 인한 출혈 위험이 커지며, 환자의 10~20%가 10년 이내 급성 백혈병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있는 난치성 질환이다. 캐나다 토론토에 위치한 씨클리카는 AI 신약 물질 발굴 플랫폼을 이용해 신약 후보물질을 신속하게 디자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온코크로스는 특정 적응증을 타겟으로 하는 신약 물질을 탐색하고 새로운 물질의 최적 적응증을 예측하는 AI 신약 개발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는 회사다. 2022.06.07
창립 25주년 마크로젠 "2.0 시대…디지털 헬스케어 기업 도약"
정밀의학 생명공학기업 마크로젠이 창립 25주년인 올해를 새로운 도약을 위한 ‘마크로젠 2.0’ 시대의 원년으로 삼아 사업 및 조직의 변화와 혁신을 통해 글로벌 고속성장을 실현하고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으로 발돋움한다는 미래 청사진을 발표했다. 마크로젠 김창훈, 이수강 대표는 3일 창립 25주년 기념사를 통해 "지난 25년간 국내뿐 아니라 관계사 소마젠을 통해 미국에 진출하고 일본, 싱가포르, 유럽 등 글로벌 연구자 중심 유전체 분석 시장의 키 플레이어로 자리매김한 ‘마크로젠 1.0’을 지나, 글로벌 B2C(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 사업 생태계를 구축해 장기적인 성장의 초석을 마련하고 조직 경쟁력 또한 강화해 나갈 ‘마크로젠 2.0’ 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마크로젠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의료분야에서도 디지털 기반 4차 산업혁명으로의 전환이 앞당겨진 시점에 미래를 내다보고 대비하면서 성장사업 추진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이를 위해 ▲해외거점 확대 ▲전문 경영 체제 및 전문가 영입 2022.06.07
에이비온, 美 ASCO서 고형암 항암제 'ABN401' 임상1상 결과 발표
정밀항암신약 개발기업 에이비이 3~7일(현지시간)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임상종양학회 연례학술대회(ASCO 2022)에서 고형암 항암제 ‘ABN401의 임상1상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고 7일 밝혔다. ABN401은 간세포성장인자수용체(c-MET)를 표적으로 하는 고형암 치료제다. c-MET은 MET(Mesenchymal Epithelial Transition, 상피간엽이행) 유전자에 의해 발현된 단백질로 암 유발과 전이에 관여한다. 폐암, 위암, 간암, 대장암 등 여러 고형암 발생과 연관이 증명되고, 기존 치료제들의 내성 극복에도 가능성이 커 전 세계적으로 주목하고 있는 항암 바이오마커다. 이번 ASCO에서 에이비온은 ABN401의 1상 상세 데이터를 공개했다. ABN401의 투약 용량을 50mg부터 1200mg까지 증량한 시험 결과 3단계 이상의 약물 관련 이상 반응이 전혀 없는 우수한 약물 안전성을 확인했으며 유효성에 있어서도 부분관해(PR) 2건의 케이스도 확보했다. 또한, 최 2022.06.07
AI 신약개발 회사 인실리코 메디슨, 6000만달러 시리즈 D 유치
인공지능(AI) 기반 신약 개발 기업 인실리코 메디슨(Insilico Medicine)이 시리즈 D 자금 조달 라운드에서 국제 투자자 연합체로부터 6000만 달러를 유치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라운드에는 시리즈 C를 주도했던 워버그 핀커스(Warburg Pincus)와 B 캐피탈 그룹(B Capital Group), 치밍 벤처 파트너스(Qiming Venture Partners), BOLD 캐피탈 파트너스(BOLD Capital Partners), 파빌리온 캐피탈(Pavilion Capital) 등 기존 투자사와 함께 미국 서부의 대형 다각화 자산관리 업체와 BHR 파트너스(BHR Partners)와 같은 신규 투자사도 참여했다. 인실리코의 설립자 겸 최고경영자(CEO)인 알렉스 자보론코프(Alex Zhavoronkov) 박사도 시리즈 D 자금 조달 라운드에 투자했다. 인실리코는 이번 라운드에서 유치한 자금으로 회사의 재정적 입지를 더욱 강화하고, 회사 파이프라인의 성장과 Phar 2022.06.07
수술로 장 마비 해결 안되는 가성 장폐색, 기계적 장폐색과 어떻게 구분할까
메디게이트뉴스 개원가 질환 인식 캠페인 현재 지구상에는 약 6000~8000개의 희귀질환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새로운 희귀질환이 의학계에 계속 소개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치료제가 개발된 질환은 전체 질환의 약 6% 남짓에 불과합니다. 게다가 치료제가 있음에도 질환이 잘 알려지지 않아 유병률에 따른 예측 환자 수보다 치료받는 환자 수가 현저히 적거나, 진단이 어려워 정확한 유병률조차 파악되지 않는 질환도 있습니다. 메디게이트뉴스는 환자들이 보다 빠르게 진단·치료를 받고 건강한 사회생활을 이어갈 수 있도록, 일선 진료현장에서 마주치기 드물고 환자가 내원했을 때 반드시 의심해야 하는 질환은 아니지만, 환자가 치료에 적절한 반응을 보이지 않거나 호전이 없는 등 처음과는 다른 질환이 의심될 때 떠올릴 수 있는 질환을 알 수 있도록 전문가 인터뷰를 진행하고자 합니다. ① 폐동맥 고혈압: 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장혁재 교수 ② 유전성 혈관부종: 분당서울대병원 알레르기내과 장윤석 교수 ③ 2022.06.07
에이슬립, 미국수면학회서 소리 기반 수면 단계 측정 딥러닝 모델 발표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슬립테크 스타트업 에이슬립이 6월 4~8일(현지시간)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수면 학술대회 SLEEP 2022에서 새로운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 SLEEP은 미국수면의학회(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와 수면연구학회(Sleep Research Societ)가 공동 설립한 수면전문학회(Associated Professional Sleep Societies)의 연례학술대회다. 에이슬립은 이번 학술대회에서 동국대, 분당서울대병원 연구팀과 수면 중 스마트폰으로 녹음된 오디오를 사용해 수면 단계를 확인하는 딥러닝 모델을 소개했다. 연구팀은 수면다원검사(PSG) 데이터에서 추출된 것(n=1154)과 독립적인 대상자로부터 수면다원검사를 받는 동안 스마트폰을 사용해 추출한 것(n=327) 두 가지 다른 오디오 데이터 세트를 사용했다. 연구팀은 "사운드 기반 수면 스테이징의 성능은 항상 오디오 품질에 따라 달라 2022.06.04
오가논, 출범 1주년 맞아 첫 ESG 보고서 발간
여성건강 증진에 주력하는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 오가논이 출범 1주년을 맞아 첫 번째 ESG(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3일 밝혔다. 보고서는 오가논 ESG 경영의 토대가 되는 ‘Her Promise(여성의 잠재력 확대)'를 소개하고 전 세계 여성과 소녀들이 건강한 일상을 통해 그들이 갖고 있는 무한한 가능성과 꿈, 희망, 목표를 실현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노력을 상세히 담았다. 전 세계 모든 여성들이 누리는 '더 나은, 더 건강한 일상을 만든다'는 오가논의 기업 비전을 반영했다. 오가논은 지난해 6월 공식 출범 후 여성건강에 주력하며 여성건강 분야에서 증가하고 있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노력해왔다. 예를 들어 전 세계 임신의 절반에 달하는 약 1억2100만 건은 계획되지 않은 임신이며 2019년 연구에 따르면, 저소득 및 중간 소득 국가 내 약 2억1800만 명의 15세에서 49세 여성과 소녀들은 현대적인 피임법에 2022.06.03
아스트라제네카 CEO 파스칼 소리오, 코로나19 팬데믹 대응 기여 공로로 기사 작위 받아
파스칼 소리오(Pascal Soriot) 아스트라제네카 최고경영자(CEO)가 1일(현지시간) 코로나19 팬데믹에 대한 전 세계적 대응에서 리더십을 발휘하고 영국 생명과학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22년 영국 여왕의 생일 기념식에서 기사 작위를 수여받았다. 아스트라제네카 레이프 요한손(Leif Johansson) 회장은 "파스칼 CEO와 그의 가족, 나아가 아스트라제네카의 모든 직원들이 팬데믹 대응과 영국 생명과학에 관해 보여준 괄목할 만한 기여를 인정받은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며 "환자를 위해 의학적 진전을 이끌고, 아스트라제네카를 선도적 의료기업으로 자리매김하도록 기여했으며 함께 일하는 이들의 발전에도 함께해온 그의 개인적 헌신을 고려할 때 이번 작위 수여는 받아 합당한 영광이다. 올해 영국 여왕의 즉위 70주년을 축하하는 자리에서 모든 임직원과 영국 국민 및 전 세계 많은 이들이 파스칼 CEO의 기사 작위 수여를 축하할 것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파스칼 CEO는 "기사 2022.06.03
삼성바이오에피스, 안과질환 치료제 '바이우비즈' 미국 출시
삼성바이오에피스가 2일(현지시간) 미국 시장에서 안과질환 치료제 '바이우비즈(미국 상품명 BYOOVIZ, 프로젝트명 SB11, 성분명 라니비주맙)'를 출시했다고 3일 밝혔다. 바이우비즈는 단일사용량(0.5mg) 기준 오리지널 의약품 대비 약 40% 저렴한 1130불의 도매가격(WAC:Wholesale Acquisition Cost)으로 미국 시장에 출시됐으며 파트너사 바이오젠(Biogen)에 의해 6월부터 현지 마케팅∙영업 활동이 개시됐다. 바이우비즈는 다국적 제약사 로슈(Roche)와 노바티스(Novartis)가 판매하는 습성 연령유관 황반변성, 당뇨병성 황반부종 등의 안과질환 치료제 루센티스(Lucentis)의 바이오시밀러 제품이다. 지난 해 연간 제품 매출이 약 4조4000억 원에 달했으며 그 중 미국 시장에서 13억5300만 스위스프랑(약 1조8000억 원)으로 약 41%의 매출 비중을 차지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지난 해 8월과 9월 각각 유럽과 미국에서(상품명 바이우비즈) 2022.06.03
에이비엘바이오, SCI 국제학술지에 ABL501 논문 게재
이중항체 전문기업 에이비엘바이오는 이중항체 면역항암제 ABL501의 작용기전과 항암 효과 등을 분석한 논문이 SCI급 국제학술지 ‘몰레큘러 테라피(Molecular Therapy)’에 온라인 게재됐다고 2일 밝혔다. 공식적인 학술지 게재는 8월로 예정돼 있다. 몰레큘러 테라피는 미국 유전자 및 세포 치료 학회(American Society of Gene & Cell Therapy)의 공식 학술지로, 의학, 바이오테크놀로지와 유전학을 증진시키기 위해 발간되는 대표 학술지 중 하나다. 논문의 제목은 ‘수지상 세포 활성화를 통해 T세포의 항암 효과를 향상시키는 LAG-3 및 PD-L1 타겟 이중항체(LAG-3xPD-L1 bispecific antibody potentiates antitumor responses of T cells through dendritic cell activation)’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박윤 박사 연구팀과 서울아산병원 진형승 교수 연구팀과의 공동연구 2022.06.02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