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오엠에스 "의료기기 아닌 IoT 기기…측정된 데이터 서비스 방향에 주안점"
한국수면기술협회(KSTA)-메디게이트뉴스 연구자세미나 한국수면기술협회(Korea SleepTech Association, KSTA)는 수면과 관련해 혁신기술을 보유한 기업들 간 정보 교류와 상호협력을 위해 출범했습니다. 협회는 지난 4월 28일 목요일 오후 온라인으로 회원사들의 연구 내용을 공유하는 연구자 세미나를 마련했습니다. 투자자, 대기업, 그리고 다른 의학 및 공학 연구자들에게 한국수면기술협회 회원사들이 실제 임상연구를 거쳐 많은 사람들의 수면장애를 해결하기 위해 근거 있는 데이터를 만들어내고 있다는 사실을 알리기 위한 목적입니다. ①메디칼에이아이 조영훈 부사장: 생체신호 인공지능을 통한 건강관리 연구 ②루플 김용덕 대표: 빛의 생리적인 효과를 수면에 적용한 사례 ③이원오엠에스&카이스트 ITC융합연구소 장호종 교수: 수면센서를 활용한 IoT 융합 플랫폼 사례 ④리솔 이승우 CTO: 수면장애 개선 및 실시간 모니터링을 위한 개인맞춤형 전자약 플랫폼 ⑤에이슬립 홍준기 CTO&분당 2022.05.08
바이오젠, 다발성경화증 보행 장애 디지털 치료제 개발한다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바이오젠(Biogen)이 다발성경화증 환자의 보행 장애를 치료하는 리듬 청각 자극(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기반 처방 디지털 치료제 개발에 나선다. 바이오젠은 미국 바이오텍 메드리듬(MedRhythms)의 임상시험용 디지털 치료제 MR-004를 개발 및 상용화하기 위한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5일(현지시간) 밝혔다. 계약 조건에 따라 바이오젠은 메드리듬에 선지급금 300만 달러와 함께 특정 개발 및 상업적 마일스톤에 따라 최대 1억1750만 달러를 지급하며, 글로벌 판매 시 상위 한자릿수에서 하위 10%대까지 계층화된 로열티를 지불한다. 메드리듬은 리듬 청각 자극 기반의 센서와 소프트웨어, 음악의 조합을 활용하는 기술 플랫폼을 통해 보행 및 이동성 개선을 목표로 광범위한 신경학 적응증에 대한 차세대 처방 디지털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MR-004는 다발성경화증 파이프라인 후보로, 보행 및 보행 관련 움직임 측면을 개선 2022.05.07
아반토, 싱가포르에 아태지역 제조 및 유통 허브 구축…내년 초 본격 가동 예상
아반토(Avantor)가 싱가포르에 위치한 기존 유통 시설을 신규 제조 시설과 통합해 아태지역 제조 및 유통 허브를 구축하겠다고 5일 발표했다. 내년 초 본격 가동될 것으로 예상되는 신규 허브는 아시아, 중동 및 아프리카 지역에 아반토 솔루션을 보다 가까운 거리에서 제공함으로써 기업의 글로벌 공급망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새로운 허브에서는 품질 및 재고 관리 전문 지식을 포함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바이오 의약품 공정에 사용하는 원료 물질 및 첨가제 제품을 위한 cGMP 제조 및 테스트 시설도 포함할 예정이다. 아반토 AMEA(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지역) EVP 크리스토프 쿠튀리(Christophe Couturier)는 "빠르게 성장하는 아시아 태평양 바이오파마 시장에서 보다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아반토는 싱가포르 제조 및 유통 허브를 구축하게 됐다"며 "향후 아반토는 리드 타임 단축 및 공급망 보안 강화, 지역 내 역량 확대로 지역 혁신을 가속화하 2022.05.06
삼성바이오에피스, 1분기 해외 제품 매출 2억9230만달러…전년동기 대비 2.5%↑
삼성바이오에피스가 1분기 바이오시밀러 제품 5종의 해외 시장 매출 2억9230만 달러(약 3544억 원)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바이오에피스의 마케팅 파트너사인 바이오젠(Biogen)과 오가논(Organon)이 최근 2022년 1분기 실적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2.5% 증가한 수치다. 파트너사 별로는 바이오젠이 유럽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3종 파냄로 1억9430만 달러(약 2356억 원)의 시장 매출을 달성했으며, 오가논이 한국과 유럽 외 자가면역치료제 3종과 한국 외 항암제 2종 판매로 9800만 달러(약 1188억 원) 시장 매출을 달성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 측은 치열한 시장 경쟁 속에서도 파트너사와의 긴밀한 협력과 더불어, 다년 간 제품 판매 성과를 통해 쌓아 온 업계에서의 '데이터 경쟁력'을 바탕으로 매출 성장세 및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올해는 황반변성 등의 안과질환 치료제 SB11(제품명 BYOOVIZ, 루센티스 바이오 2022.05.06
툴젠, 한국폴리텍대학과 유전자가위 전문인력 양성 업무협약 체결
유전자교정 전문기업 툴젠은 한국폴리텍대학 분당융합기술교육원과 유전자가위 기술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 크리스퍼(CRISPR) 유전자가위는 유전자교정 기술의 핵심 도구로 세포 내 특정 유전정보를 선택적으로 교정할 수 있기 때문에 생명 과학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2020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하는 등 과학적, 산업적 혁신성을 인정받았다. 그럼에도 아직 관련 분야의 전문인력은 많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크리스퍼(CRISPR) 유전자가위 전문인력 양성에 함께하기로 뜻을 모았다. 구체적인 내용으로는 ▲상호 정보교류 ▲국가 연구과제의 공동 수행 ▲연구인력의 교육훈련 등 협력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한국폴리텍대학 분당융합기술교육원은 수도권 강소기업과 기업맞춤형 실습 프로젝트 과정을 운영, 안정적인 취업 경로를 제공한다. 높은 취업률과 취업유지율을 기록하고 있고 전액 국비 과정으로 운영되며 ▲데이터융합SW과 ▲생명의료시스템과 2022.05.04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2022 세계폐암학회서 BBT-176 임상 1상 주요 데이터 발표
혁신신약 연구개발 전문 기업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는 8월 6~9일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열리는 2022 세계폐암학회(IASLC 2022 WCLC,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Lung Cancer 2022 World Conference on Lung Cancer)에서 차세대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후보물질 'BBT-176'의 제1상 임상시험(용량상승시험) 주요 데이터를 8월8일(현지시간) 구두 발표할 계획이라고 4일 밝혔다. 지난달 18일 IR 기업설명회를 통해 신규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티로신 인산화효소 억제제(EGFR TKI;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Tyrosine Kinase Inhibitor)로 개발하고 있는 BBT-176의 임상 1상 중간 결과를 발표했다. 이날 발표에 따르면 BBT-176의 임상 1상 누적 피험자 16인 가운데 6명은 질병의 추가적인 진행 없이 2 사이클(6주) 이상 BBT 2022.05.04
대웅테라퓨틱스-넷타겟 혁신 항암신약 개발 위한 공동 개발 나서
대웅의 자회사 대웅테라퓨틱스는 4일 시스템 생물학 및 인공지능 기술 기반의 신약개발 벤처회사 넷타겟과 혁신 항암신약 개발과 관련한 전략적 파트너십 강화 방안을 담은 합의서를 체결했다. 두 회사는 그동안 약물타겟 발굴, 약물탐색 등의 분야에서 협업을 이어왔으며 이번 협약에 따라 넷타겟이 보유한 '인공지능으로 강화된 시스템생물학(AI-enhanced systems biology)' 및 '약물가상탐색 기술' 등을 대웅테라퓨틱스의 임상 및 상업화 경험과 접목해 항암신약, Synthetic Lethality 관련 신약 등에 대한 공동연구를 실시한다. 대웅테라퓨틱스는 넷타겟의 축적된 시스템생물학 및 약물가상탐색 기술과 역량을 자사의 합성·비임상평가·임상 기술과 접목시켜 자체 연구개발 파이프라인을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하고 새로운 신약후보물질을 공동개발할 계획이다. 넷타겟은 암 등 대상질병에 대한 질병메커니즘을 생체모델링기술 및 동역학분석기술 등이 집약된 N-MAP 플랫폼을 이용해 보다 정확한 약 2022.05.04
중국 자체 항암신약 연달아 미국 진출 고배…美FDA, 임상설계·제조상 문제 지적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이노벤트 바이오로직스(Innovent Biologics)의 신틸리맙(sintilimab)이 올해 3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승인을 거절받은 이후 중국 자체 개발 항암 신약이 계속해서 미국의 허가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다. 홍콩에 기반을 둔 나스닥 상장사 허치메드(HUTCHMED)와 중국에 본사를 둔 상하이 준시 바이오사이언스(Shanghai Junshi Biosciences)는 미국 FDA로부터 각각 수루파티닙(surufatinib)과 토리팔리맙(toripalimab)의 허가신청서에 대한 보완요구서한(complete response letter, CRL)을 받았다고 2일(현지시간) 밝혔다. 전자는 임상시험 설계를 문제로, 후자는 제조상의 문제를 이유로 승인이 거부됐다. 허치메드, 中임상과 美가교연구 데이터 제출…FDA "승인 뒷받침하기에 불충분" 경구용 혈관신생 및 면역조절 억제제인 수루파티닙은 중국에서 진행성 췌장(pNETs) 및 췌장외(e 2022.05.04
슈미트, 써모 피셔 사이언티픽 코리아와 바이오 생태계 확장 위해 맞손
DSC인베스트먼트의 자회사 슈미트(SCHMIDT)가 바이오 생태계 확장을 위해 글로벌 생명과학 기업 써모 피셔 사이언티픽 솔루션스와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3일 밝혔다. 슈미트는 DSC인베스트먼트가 2017년 설립한 초기 스타트업 투자 전문 액셀러레이터다. 이번 협약을 통해 슈미트와 써모 피셔 사이언티픽 코리아는 바이오 스타트업 양성 및 활성화를 위한 생태계 조성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바이오스타트업 역량강화를 위한 엑셀레이터의 역할 부문에 대한 협력 ▲투자 및 지원 대상 기업에 대한 상호 정보 공유 ▲바이오 스타트업 연구개발에서부터 생산에 필요한 기술 및 솔루션에 대한 교육 훈련 프로그램 공동개발 ▲양 기관의 추진사업에 대한 협력과 홍보 영역에서 협력할 계획이다. 써모 피셔 사이언티픽은 미국 메사추세츠 월썸에 본사를 두고 있는 세계적인 과학 회사로 전 세계 약 60여 국가에서 헬스케어 및 생명과학 분야에서 사용되는 분석 장비와 진단 기기 개발부터 진단 시약∙의약품 개발, 실험실 2022.05.03
지피씨알, 글로벌 과학자문위원회 면역항암 신약 분야 전문가 4인으로 출범
표적항암제 신약개발 기업 지피씨알이 항암제 연구개발 및 임상 전략 수립에 조언을 줄 4인의 SAB (Scientific Advisory Board: 과학자문위원회) 구성을 완료했다고 3일 밝혔다. SAB은 각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돼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신규 파이프라인 개발부터 임상시험 설계 등 신약개발 전반에 걸쳐 의견을 제시하게 된다. 비대면으로 진행된 첫 모임에서 지피씨알의 연구개발 방향 및 하반기에 개시될 예정인 미국 임상2상 전략에 대해 2시간 동안 심도 깊은 논의가 이뤄졌다. 추가로 미국 임상 2상을 앞둔 파이프라인 GPC-100 (Burixafor)을 비롯해, 다양한 암종을 대상으로 개발 중인 후속 파이프라인에 대한 검토와 설계에도 관여할 예정이다. 지피씨알의 SAB에는 GPCR 분야의 세계적인 권위자인 미셸 부비에(Michel Bouvier) 박사를 비롯, 글로벌 제약회사 BMS(Bristol Myers Squibb) 부사장을 역임했던 루이사 솔터-시드(Luisa 2022.05.03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