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약 플랫폼기업 와이브레인, 110억원 프리IPO 투자유치 완료
뇌과학 전자약 플랫폼기업 와이브레인이 110억 원 규모의 상장 전 투자유치(프리 IPO)를 완료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프리 IPO라운드에는 세라젬, 인터베스트, KT&G가 참여했고, 이번 유치를 통해 와이브레인의 누적 투자금은 336억을 달성했다. 지난해 국내 최초 우울증 전자약 허가와 전년 대비 300% 이상 성장한 실적을 바탕으로 연내 상장을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진행한 이번 투자에서 세라젬과 KT&G가 전략적 투자자(SI)로 참여하며 당초 목표 금액을 초과하게 됐다. 세라젬과 KT&G는 이번 투자와 함께 향후 전자약 관련 사업 있어서도 와이브레인과 적극적인 협력을 도모해 나갈 예정이다. 와이브레인은 이번 투자 유치를 바탕으로 연내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와 추가 적응증 확보를 가속화하고 올 상반기 내 기술성 평가를 완료한 후 연내 기술특례 상장을 추진할 예정이다. 와이브레인은 인체에 안전한 미세 전기자극을 이용해 우울증, 치매 등 다양한 뇌질환을 치료하는 전자약 전문 2022.02.23
바이오오케스트라, 시리즈 C 545억원 보통주 투자 유치
바이오오케스트라(BIORCHESTRA)가 22일 총 545억원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23일 밝혔다. FI(financial investor)로 데일리 파트너스, IMM 인베스트먼트, SBI 인베스트먼트, LSK 인베스트먼트, E&벤처 파트너스, 스마일게이트 인베스트먼트, 퀀텀벤처스코리아, 스틱 인베스트먼트, 위드윈 인베스트먼트, NH증권이 참여했고 SI(strategic investor)로는 GS 홀딩스, 종근당홀딩스, 종근당제약이 증자에 참여했다. 당초 목표로 했던 조달금액 400억원을 초과한 투자제안을 받아 시리즈 C 투자액을 545억원으로 증액했다. 시리즈 A, 시리즈 B, 시리즈 B 브릿지까지 참여했던 기존 주주 모두 후속 투자에 참여했을뿐 아니라 신규 참여 기관주주들도 바이오오케스트라의 기술성, 사업성, 성장성, 바이오오케스트라 치료제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투자자로서의 확신을 보여준 것으로 해석된다. 바이오오케스트라 류진협 대표이사는 "기존 주주와 신규 주주 모두가 이번 시리 2022.02.23
셀트리온제약, 지난해 매출 3987억원 영업이익 477억원 달성
셀트리온제약이 23일 공시를 통해 2021년 매출액 3987억3000만원, 영업이익 477억9000만원, 당기순이익 345억7000만원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70.7%,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102.3%, 65.1% 증가했다.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모두 셀트리온그룹 편입(2009년) 이후 최대치를 달성했다. 셀트리온제약은 실적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포트폴리오 확대로 꾸준히 성장중인 국내 케미컬의약품과 항체 바이오시밀러의 고른 매출 확대를 꼽았다. 이와 함께 글로벌 시장으로 공급되는 케미컬의약품의 선전이 유효했다고 설명했다. 본격적인 마케팅과 판매에 들어간 당뇨병치료제 ‘네시나’, ‘엑토스’, 고혈압치료제 ‘이달비’ 등 주요 품목의 선전과 함께 바이오시밀러 품목인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램시마’, 혈액암 치료제 ‘트룩시마’, 유방암치료제 ‘허쥬마’도 매출 합계 약 513억원을 기록하며 전년동기 대비 약 18%의 성장을 이뤄냈다. 셀트리온제약은 주력 2022.02.23
온코크로스, AI 신약 근감소증 치료제 글로벌 임상시험 개시
AI 신약개발 벤처 온코크로스가 근감소증 등 근육질환을 타겟으로 하는 'OC514'의 글로벌 임상1상에 착수했다고 23일 밝혔다. 온코크로스는 14일 호주 식품의약품안정청(TGA)으로부터 OC514의 임상1상에 대한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고 23일부터 호주에서 건강한 성인 피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 1상 시험을 시작했다. 이번 임상은 OC514의 약동학적 특성을 파악하는 동시에 안전성을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근감소증(Sarcopenia)은 골격근량의 감소로 근력과 신체 기능이 떨어지는 질병으로, 과거 노화 또는 질병으로 인한 증상으로 여겨졌으나 2016년 세계보건기구(WHO)로부터 질병으로 인정을 받고 국내에서도 2021년 한국 표준질병사인분류(KCD)에서 질병 코드를 부여 받았다. 근감소증은 노화, 암, 기타 다양한 급·만성질환과 동반되어 질병의 예후를 악화시키는 동시에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없을 만큼 신체의 전반적인 기능을 저하시키는 등 삶의 질을 떨어뜨린다. 하지 2022.02.23
엑소좀 신약 개발 기업 의기투합, 엑소좀산업협의회 출범
엑소좀을 활용한 신약 개발 기업들이 엑소좀 산업 분야 발전을 위한 '엑소좀산업협의회'를 공식 출범했다. 엑소좀산업협의회는 로제타엑소좀, 브렉소젠, 시프트바이오, 에스엔이바이오, 엑소스템텍, 엑소좀플러스, 엑소코바이오, 엑소퍼트, 엑솔런스바이오테크놀로지, 엠디뮨, 엠디헬스케어, 웰에이징엑소바이오, 이언메딕스, 일리아스바이오로직스 총 14개 기업이 회원사로 참여해 엑소좀 관련 기술을 발전시키고 응용 분야 확대와 산업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구성됐다고 23일 밝혔다1. 엑소좀은 세포에서 분비되는 세포외소포로 세포 간 신호 전달을 위한 메신저 역할을 수행해 차세대 약물전달체로 각광받고 있다. 질병 특이적인 바이오마커로서 진단분야에서 상용화가 시작돼 치료 용도로 가능성이 대두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엑소좀 기반 기술을 연구, 개발하는 기업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관련 시장도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엑소좀산업협의회는 무궁무진한 발전 가능성과 잠재력을 가진 엑소좀 산업이 성장하는 2022.02.23
中이노벤트, 로슈 기술 적용 범용 CAR-T 개발 이정표 첫 공개…클라우딘18.2 양성 고형암 표적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중국 이노벤트 바이오로직스(Innovent Biologics)가 진행성 클라우딘18.2(Claudin18.2) 양성 고형암을 표적하는 퍼스트인클래스(first-in-class) CAR-T 치료제 임상시험에 본격적으로 돌입했다. 이노벤트는 1상 임상시험에서 IgG 기반 범용 모듈형 클라우딘18.2 표적 CAR-T 치료제 IBI345의 첫 환자 투여가 이뤄졌다고 21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노벤트가 2020년 6월 로슈(Roche)와 전략적 협력을 발표한 이후 로슈의 독자적인 혁신 기술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세포 치료제 개발 이정표를 공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노벤트는 2020년 로슈로부터 세포 치료제 및 이중특이성 항체 기술에 대한 비독점적 권리를 구입했다. 구체적인 거래 규모 및 내용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이노벤트는 범용 CAR-T 개발하기 위해 권리를 구매한 것으로 알려졌다. 계약에 따라 로슈는 선급금 최대 1억4000만 달러, 개발 성공시 총 2 2022.02.23
와이바이오로직스, 큐어에이아이와 손잡고 신규 면역항암제 연구개발 나선다
항체신약개발 전문기업 와이바이오로직스가 미국 바이오 벤처 큐어에이아이(KURE.AI)와 손잡고 차세대 면역항암제인 CAR-T를 비롯해 다양한 신약 물질 발굴에 나선다. 양사는 22일 공동연구개발을 위한 MOU(사전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이를 바탕으로 ▲CAR-T 기반 세포치료제 개발 ▲세포치료제와 항체치료제의 병용요법 개발 ▲인공지능 기반의 항암 타겟 발굴 및 항체치료제 개발 등의 연구 개발에 힘을 모을 계획이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2007년 설립 이후 다양한 기업들과 오픈 이노베이션 및 라이선스 아웃(L/O)를 통해 신약개발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2020년 12월 레고켐바이오와 공동 연구개발한 ADC 신약 후보물질로 약 3억 달러 규모의 기술수출을 성사시켰고 지난해 유럽 피에르파브르에 항체약물 YBL-003의 기술 이전을 성공했다. 큐어에이아이는 미국 메이요클리닉(Mayo Clinic) 황태현 교수와 클리블랜드클리닉(Cleveland Clinic) 데이비드 왈 2022.02.22
에이피알지, 코로나19 치료제 국내 임상 2a상 신청
감염병 신약 개발 전문기업 에이피알지가 경구용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치료제 'APRG64'의 국내 제2a상 임상시험계획승인(IND)을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신청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임상은 경증 및 중등증 코로나19 환자 90명을 대상으로 하며, 중증 진행률과 사망률 감소를 목표로 APRG64의 탐색적 유효성을 검증하게 된다. APRG64는 용아초(선학초) 및 오배자 추출 혼합물로 경희대 바이오메디컬연구센터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개발됐으며 바이러스의 세포 내 침투와 복제 억제 및 면역 개선 효과가 기대되고 있다. 에이피알지는 이달 초 인도에서 동일한 적응증으로 아유르베다(천연물 의약품) 임상 2상을 승인받고 환자 투약을 준비 중이다. 최근 경기도 여주시 일원에 약 10만㎡(약 3만 평) 규모의 용아초 재배단지 임대 계약을 완료하고 종자 발아와 조직 배양을 통한 묘종을 생산하고 있다. 용아초는 그간 주로 중국에서 수입해 왔으나 이번 임상을 계기로 에이피알지는 경희대 2022.02.22
한국베링거인겔하임, "트라젠타 출시 10주년…환자들의 일상 속 편리함 지속될 수 있도록 할 것"
한국베링거인겔하임이 22일 제2형 당뇨병 치료제 트라젠타의 출시 10주년을 기념하며 '트라젠타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 Simple Everyday for Patients'를 주제로 온라인 미디어 세션을 열었다. 트라젠타는 2011년 출시된 DPP-4 억제제로, 용량 조절이나 증량 기간 없이 1일 1회 단일 용량으로 복용 가능하다는 강점을 내세워 국내 성인 제2형 당뇨병 환자들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치료 옵션으로 입지를 굳혀왔다. 또한 환자의 신기능 장애, 간기능 장애 정도와 상관없이 일관된 효능을 확인했으며, 메트포르민, 글리부라이드, 심바스타틴, 와파린, 디곡신, 경구피임약 등 흔히 사용되는 병용 약물과 유의한 상호작용이 없어 효과적인 치료제로 자리매김했다. 이번 미디어 세션에서 한국베링거인겔하임은 트라젠타의 개발 배경 및 고유의 물질적 특징과 가치를 소개하고, 국내 환자들의 일상 속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한 한국베링거인겔하임의 목표와 의지를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첫 번째 2022.02.22
당뇨관리 플랫폼 전문기업 지투이, 대표 주관사로 NH투자증권 선정
당뇨병 관련 디지털 치료기기 및 관리 플랫폼 전문 기업 지투이가 기업공개(IPO)를 위한 대표 주관사로 NH투자증권을 선정했다고 22일 밝혔다. 2023년 상장을 목표로 내부 조직을 정비해 공모 준비를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지투이는 현재까지 NH투자증권, 코오롱인베스트먼트 등 전문 투자사와 전략적 투자자 등으로부터 75억원을 투자 받았다. 지투이 주요 제품으로 CGM(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연속혈당측정기)과 연계된 인슐린 펌프 제품인 '디아콘 G8' 및 CGM 연계 다회용 디지털 인슐린 펜 제품 '디아콘 P8'이 있다. 또한 식품의약품안전처 품목허가를 받은 당뇨관리 통합 플랫폼을 통해 인슐린 펌프 및 인슐린 펜과 연동되는 모바일 앱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다. 디아콘 G8 인슐린 펌프는 약물을 0.01U 단위까지 주입 가능하고 의료사고 방지 알고리즘 및 과다주입 방지를 위한 3중 제한장치를 갖춰 정밀성과 안정성을 확보했다. 기기와 연동해 사용하는 디아 2022.02.22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