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로직스, 2022 CMO 리더십 어워즈 수상…6개 부문 전관왕
삼성바이오로직스가 '2022 CMO 리더십 어워즈(Leadership Awards)'에서 6개 평가항목 전부문을 수상했다고 8일 밝혔다. 2012년부터 매년 개최되고 있는 CMO 리더십 어워즈는 미국의 생명과학 분야 전문지 라이프 사이언스 리더(Life Science Leader)와 제약∙바이오 산업 연구기관인 인더스트리 스탠더드 리서치(ISR)가 주관하는 세계적 권위의 CMO 분야 시상식이다. 직접 프로젝트를 함께 수행한 고객들이 평가에 참여하기 때문에 고객과 업계의 목소리를 가장 잘 반영한 상으로 알려져 있다. 주최측은 올해 전세계 CMO 기업들을 대상으로 23개의 세부 항목을 평가해 역량(Capabilities), 호환성(Compatibility), 전문성(Expertise), 품질(Quality), 안정성(Reliability), 서비스(Service) 등 총 6개 부문에서 수상 기업을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수상으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 속에서도 글로 2022.02.08
엔젠바이오, 자회사 '웰핏' 설립…디지털 헬스케어 사업 본격화
정밀진단 플랫폼 기업 엔젠바이오가 빅데이터 기반 건강 큐레이션 플랫폼 사업을 위한 자회사 '웰핏'(Welfit)을 설립한다고 8일 밝혔다. 웰핏은 개인 유전체 정보와 라이프로그 등 건강 빅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축적해 개인 맞춤형 건강 큐레이션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건강 큐레이션 플랫폼은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건강기능식품의 성분을 파악하고 추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며 섭취 식품의 효과도 검증할 예정이다. 엔젠바이오 관계자는 "국내외 헬스케어 기업들이 지분 참여를 검토하는 등 웰핏의 비즈니스 모델과 개인 맞춤형 큐레이션 플랫폼 기술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며 "엔젠바이오의 사업분야인 소비자대상 직접시행 (DTC) 유전자 검사, 마이크로바이옴 검사를 접목해 양사의 시너지를 극대화하겠다"고 말했다. 엔젠바이오는 지난해 플랫폼 기술에 적용할 '통합적 건강 정보를 이용한 식단, 운동 추천 방법,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특허를 취득했다. 또한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정보 제공 2022.02.08
휴톰, AI 플랫폼 고도화 위해 인재 채용한다
수술 인공지능(AI) 플랫폼 기업 휴톰이 2022년 상반기 대규모 인재 채용을 나선다고 8일 밝혔다. 휴톰은 이번 채용을 통해 플랫폼 및 AI 솔루션의 고도화와 다양한 파이프라인 개발 등을 하며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을 함께 개척해 나갈 인재 영입에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AI 연구, 소프트웨어개발, 데이터 분석, 영업, 마케팅 등 회사 대부분의 파트에서 인재를 모집하며 우수한 인력 확보를 위해 업계 최고 수준의 연봉을 보장한다. 먼저 소프트웨어 개발 직무에서는 휴톰의 핵심 기술인 ▲AI 기반 환자 맞춤형 3D 수술용 내비게이션 RUS 소프트웨어(SW) 개발자 ▲플랫폼 프론트엔드, 백엔드 개발자를 찾는다. 컴퓨터 비전과 관련해 역량이 뛰어난 인재들의 대거 영입 계획도 밝혔다. 컴퓨터 비전 관련 연구 및 머신/딥러닝 모델 개발을 맡아줄 ▲컴퓨터 비전 리서치 엔지니어(팀장급), 디지털 트윈 환경에서의 AI 인식 기술 개발에 나서줄 ▲가상 환경(Unity) 기반 AI 엔진 리서치 엔지니 2022.02.08
고령층의 항생제 사용 후 설사 C.디피실 감염 의심해야…항생제 끊고 수주 뒤 나타날수도
메디게이트뉴스 개원가 질환 인식 캠페인 현재 지구상에는 약 6000~8000개의 희귀질환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새로운 희귀질환이 의학계에 계속 소개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치료제가 개발된 질환은 전체 질환의 약 6% 남짓에 불과합니다. 게다가 치료제가 있음에도 질환이 잘 알려지지 않아 유병률에 따른 예측 환자 수보다 치료받는 환자 수가 현저히 적거나, 진단이 어려워 정확한 유병률조차 파악되지 않는 질환도 있습니다. 메디게이트뉴스는 환자들이 보다 빠르게 진단·치료를 받고 건강한 사회생활을 이어갈 수 있도록, 일선 진료현장에서 마주치기 드물고 환자가 내원했을 때 반드시 의심해야 하는 질환은 아니지만, 환자가 치료에 적절한 반응을 보이지 않거나 호전이 없는 등 처음과는 다른 질환이 의심될 때 떠올릴 수 있는 질환을 알 수 있도록 전문가 인터뷰를 진행하고자 합니다. ① 폐동맥 고혈압: 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장혁재 교수 ② 유전성 혈관부종: 분당서울대병원 알레르기내과 장윤석 교수 ③ 2022.02.08
툴젠, 아이피에스바이오와 '유전자가위 기술 이용한 iPSC 기능향상 세포주 구축' 업무협약 체결
툴젠이 아이피에스바이오와 유전자가위 기술을 이용한 유도만능줄기세포(iPSC)의 기능향상과 이를 이용한 세포주 구축에 대한 공동연구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양사는 이번 협약에 따라 유도만능줄기세포와 유전자 교정 기술을 접목해 세포치료제 개발에 협력할 계획이다. 또한 유전자 제거, 도입을 통한 차세대 세포치료제 개발에서 높은 시너지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최근 차의과학대, 툴젠, 아이피에스바이오는 공동연구를 통해 'SUPT4H1 유전자가 교정된 줄기세포 이식이 헌팅턴병 마우스모델에서 손상된 기능을 회복시킨다'는 논문을 줄기세포·재생의학 분야 국제 학술지 NPJ 재생의학(Regenerative Medicine)에 발표했다. 논문의 주요 내용은 유전적인 결함을 갖는 헌팅턴병 환자(Q57)로부터 제작된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신경전구세포(NPC)로 분화시켜 이를 대상으로 헌팅턴병을 일으키는 돌연변이 헌팅틴(huntingtin) 유전자의 Poly-Q 반복서열 형성에 관계하는 S 2022.02.07
한국페링제약, 난임 치료 여성이 현실적으로 겪는 어려움과 실태 조명
한국페링제약은 난임 여성들이 치료 과정에서 겪는 심리적, 신체적 고통 및 난임 치료의 실태를 조사한 인포그래픽을 7일 공개했다. 난임은 피임 없이 정상적인 부부 관계에도 불구하고 1년 이내에 임신이 되지 않는 상태로 국내 난임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통계적으로 난임의 원인은 남성, 여성 요인이 각각 40%로 알려져 있는데 여성이 아이를 분만하기 때문에 치료 과정에서의 고통은 여전히 여성들의 몫으로만 남겨지고 있다. 이에 한국페링제약은 난임 여성들이 경험하는 어려움과 현실적인 문제를 살펴보기 위해 ▲난임 치료 시작 및 주요 어려움 ▲보조 생식술에 대한 경험과 의향 ▲심리적 고통과 정서적 지원의 필요성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일반적으로 난임 여성들은 난임 치료 시 임신에 대한 강박감으로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하기도 하는데 지난해 9월 난임 치료를 받고 있는 여성 1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다수의 난임 치료 중인 여성에서 우울감이나 피로감 등 극심한 심리적 고통 2022.02.07
네오이뮨텍, 미국 임상 2상 피부암 첫 환자 투여 완료
네오이뮨텍이 고위험 피부암 환자 대상 로슈(Roche) 공동임상 2a상에서 NT-I7(efineptakin alfa)과 티쎈트릭(Tecentriq, 성분명 아테졸리주맙)을 첫 환자에게 투여 완료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임상은 고위험 피부암에 속하는 ▲흑색종(Melanoma) ▲메르켈 세포암(Merkel cell carcinoma, MCC) ▲피부편평세포암(Cutaneous squamous cell carcinoma, cSCC) 환자를 대상으로 한다. 이 고위험 피부암은 빠르게 진행되고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면 생명에 위협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중 흑색종과 메르켈 세포암은 다른 피부암에 비해 흔치 않지만 진행 속도가 매우 빠르고 재발도 잦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피부편평세포암은 비교적 치료 가능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매해 미국에서만 수백만 명이 진단받는 등 미국 내 피부암 환자의 최대 50%를 차지할 정도로 빈번하게 발생한다. 네오이뮨텍 양세환 대표이사는 "고위험 피부 2022.02.07
큐라티스 "차세대 mRNA 코로나19 백신 QTP104, 임상 시험 순항"
큐라티스가 차세대 mRNA 코로나 백신 QTP104의 1상 임상시험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7일 밝혔다. 지난해 7월 19일 1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은 QTP104는 국내 최초로 개발되는 차세대 mRNA 백신(self-replicating, self-amplifying mRNA 또는 replicon RNA)이다. 기존 mRNA 백신보다 더 적은 양으로 강력한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으며 높은 안전성으로 주목받고 있다. QTP104는 현재 세브란스병원(감염내과 염준섭 교수)과 강남세브란스병원(감염내과 송영구 교수)에서 임상시험을 수행하고 있다. 지난해 첫 시험 대상자 투여를 시작으로 데이터 안전성 모니터링 위원회(DSMB)를 통해 약물 이상 반응, 혈액 검사 등의 결과에서 안전한다는 평가를 받아 최근 증가된 용량 투여에 대한 임상 시험에 진입했고 임상 시험 대상자 모집도 계속 진행하고 있다. 큐라티스 바이오연구소도 QTP104의 효능 평가를 위한 비임상 실험을 수행, 2022.02.07
혈우병B 유전자치료제 3상 최종 결과 98%가 예방요법 중단…부작용 대부분 경증에 그쳐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아데노 관련 바이러스 5(AVV5) 기반의 혈우병B 유전자 치료제 에트라나코진 데자파르보벡(Etranacogene dezaparvovec, EtranaDez, AMT-061)이 피보탈 3상 임상연구의 최종 분석에서 긍정적인 장기 결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부작용이 경증으로 내약성이 우수했고, 임상시험 중 발생한 사망 1건과 간세포암은 치료와 관련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CSL베링(CSL Behring)은 최근 열린 유럽 혈우병 및 유사질환 연합 학회(European Association of Haemophilia and Allied Disorders) 연례회의(EAHAD 2022)에서 HOPE-B 임상시험 최종 데이터를 발표했다. 이 연구는 혈우병B에 대한 최대 규모의 유전자 치료제 연구로, 에트라나데즈 1회 투여 후 참가자들은 18개월째 안정적이고 지속해서 평균 IX 응고인자(FIX) 활성과 지혈 보호 효과를 경험했다 2022.02.07
씨엔알리서치, 미국 WRRS와 MOU 체결…글로벌 임상 수행 본격화
씨엔알리서치가 미국 식품의약국(FDA) 인허가 컨설팅(Regulatory Consulting) 전문기업인 WRRS와 양사상호협력을 통한 임상시험 서비스 수행에 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WRRS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인허가 규정(Regulation)과 관련한 전략 수립 및 실무 업무를 지원하는 업체로 임상시험계획(IND), 신약허가신청(NDA), 희귀의약품 지정, 원료의약품 신고 업무 등 미국의 허가 전반에 걸쳐 뛰어난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그동안 국내 신약개발 회사들은 FDA 임상 승인을 위해 글로벌 임상시험수탁기관(CRO)과 계약을 맺고 업무 진행하는 것이 통상적이었다. 이 과정에서 연구기간의 지연과 비용 상승 등 많은 위험 요소를 국내 신약개발 회사들이 떠안아야 하는 구조였지만, FDA 인허가에 대한 경험 부족으로 대안이 없었다. 씨엔알리서치는 이번 MOU를 통해 이러한 글로벌 임상시험 승인의 난제를 극복하고 보다 나은 임상시험 서비스를 제공할 2022.02.07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