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반토 코리아, 'KOREA LAB 2021 국제연구·실험 및 첨단분석장비전' 참가
아반토 코리아가 25일~28일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되는 'KOREA LAB 2021 국제연구·실험 및 첨단분석장비전'에 참여한다고 25일 밝혔다. KOREA LAB은 2007년에 시작돼 올해 15회 째를 맞이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생명과학 전시회로 올해에도 연구 과정에 요구되는 혁신 제품과 최첨단 기술들을 소개하고 업계 트렌드를 제시하는 발표 행사들이 진행될 예정이다. 아반토 코리아는 올해 행사에서 방문객들이 직접 제품들을 확인하고 구입 상담을 진행할 수 있도록 현장 부스를 운영하며, 고순도 연구 시약들과 최신 실험 장비, 화학 및 미생물 실험에 필수적인 개인 보호 솔루션들을 소개할 계획이다. 동시에 행사 기간 중 직접 부스 방문이 어려운 고객들을 위해 온라인 부스를 마련해 효과적인 신제품 정보 전달과 인터넷을 통한 상담을 진행할 계획이다. 아반토 코리아는 행사 기간 중 부스를 방문한 고객들을 위한 다양한 이벤트도 마련했다. 설문 응답자를 대상으로 추첨을 통해 ▲특급 호텔 투숙권 ▲ 2021.05.25
에스씨엠생명과학, 아토피 피부염 동종 줄기세포 치료제 임상 결과 SCI급 국제학술지 등재
세포치료제 전문 개발기업 에스씨엠생명과학은 상업화 임상시험 전 진행했던 아토피 피부염 줄기세포치료제 치료목적 임상시험과 관련된 내용을 담은 논문이 14일 피부과분야 국제학술지인 'The Journal of Dermatology'에 게재됐다고 25일 밝혔다. 현재 에스씨엠생명과학은 아토피 피부염 줄기세포치료제 'SCM-AGH'에 대한 상업화 2상 임상시험을 진행중이다. 이번에 피부과학 저널에 등재된 논문은 아토피 피부염 임상시험인 ADT2002의 연구책임자 교수인 인하대병원 피부과 최광성 교수가 5명의 중증 아토피 피부염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했던 치료목적사용 임상시험 결과를 담았다. 임상시험 결과에 따르면 5명 환자 중 4명에게서 효능평가점수가 50%이상 개선되는 치료효과를 보였고 이 중 2명의 환자에게서 줄기세포치료제의 치료효과가 각각 3년과 2년이상 장기간 유지됐다. 이 치료목적 임상시험 결과는 에스씨엠생명과학이 지난해 12월 완료한 아토피 피부염 줄기세포 치료제 SCM-AGH의 2021.05.25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BBT-401 다국가 임상 2상 계획 식약처 승인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는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 후보물질 BBT-401의 다국가 임상 2상 중·고용량군 시험 국내 착수를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제출한 임상시험계획이 24일 최종 승인됐다고 25일 공시했다. 새로운 경구용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로 개발중인 BBT-401은 펠리노-1 저해제 계열 내 최초(First-in-Class)의 후보 물질로, 현재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가 개발중인 신약 파이프라인 가운데 임상 단계가 가장 앞서있다. 체내 염증 신호 전달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펠리노-1 단백질을 저해하는 기전으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BBT-401은 이번 다국가 임상 2상 중·고용량군 시험 계획 승인을 계기로 한국을 포함한 미국, 뉴질랜드, 우크라이나, 폴란드 등 5개국에서 임상 참여 환자를 동시 모집하게 된다. 활동성 궤양성 대장염 환자 36명을 대상으로 16주 동안 BBT-401의 중용량, 고용량 혹은 위약을 투약한 뒤 2주간의 안전성 추적 관찰을 실시해 약물의 유효성과 안전성, 2021.05.25
아이큐비아 바이오테크, 일본 및 아태 지역 진출
아이큐비아(IQVIA)는 아이큐비아 바이오테크(IQVIA Biotech)가 일본 및 아태 지역(JAPAC)에 진출한다고 25일 발표했다. 아이큐비아 바이오테크는 아이큐비아의 기술력에 기반한 유연한 솔루션 제공을 위해 간소화된 운영 절차와 과학적 전문성을 활용하며 이를 통해 혁신적 기업들이 의약품 개발과 상용화 단계에 도달하도록 지원한다. 아이큐비아 연구 개발(R&D) 솔루션의 리처드 스타우브(Richard Staub) 사장은 "바이오테크 기업들이 바이오로직스, 의약품 및 백신 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함에 따라 이들의 성공을 지원함으로써 우리 모두의 성공을 이룰 수 있다"며 "아이큐비아 바이오테크가 JAPAC 지역에 진출함으로써 소규모 기업에 특화된 기민한 솔루션과 자원으로 바이오테크 기업들의 목표를 도울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아이큐비아 바이오테크는 2019년 초 북미 및 유럽 지역에서 출범했으며 바이오테크 기업들의 투명하고 목적에 맞는 임상 절차와 치료 분야별 전담 전문가가 포진 2021.05.25
엑셀세라퓨틱스, 무혈청 화학조성 배지 신제품(NEP) 인증 획득
국내 배지 선도기업인 엑셀세라퓨틱스는 주력 제품인 '무혈청 화학조성 배지(Serum-free Chemically Defined Media)'가 배지(Media) 제품으로는 국내 최초로 신제품(NEP, New Excellent Product) 인증을 획득했다고 24일 밝혔다. NEP 인증은 국내 최초로 개발된 신기술 제품 중 실용화된 지 3년 이내에 있는 혁신 제품을 대상으로 정부가 품질을 인증하는 제도다. 현행 산업기술혁신촉진법 시행령에 따르면 '공공기관 구매 예정 품목 중 NEP 인증을 받은 동일 제품이 있을 경우, 총 구매액의 20% 이상은 NEP 인증 제품을 의무적으로 구매해야 한다'는 조항이 있다. 엑셀세라퓨틱스 측은 NEP 인증 획득을 발판으로 배지를 사용하고 있는 국책기관을 비롯한 공공 투자기관 대상 매출 증대와 함께 수출 판로 개척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엑셀세라퓨틱스 이의일 대표는 "당사의 주력 제품이 국가로부터 우수 제품으로인정받게 돼 기쁘게 생각한 2021.05.24
[슬립테크] 잠 못드는 중년여성, 수면제 1·2년 장기 복용 효과 없어…장기 효과 재검토 필요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처방 수면제를 1년 이상 장기 복용하는 것이 여성에게는 효과가 없을 수 있어 장기간 수면제를 사용했을 때 효과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미국 브리검여성병원(Brigham and Women's Hospital) 다니엘 솔로몬(Daniel H. Solomon) 박사팀은 수면 장애에 대한 처방 수면제의 장기적인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SWAN 후향적 코호트를 바탕으로 수면 장애를 가진 중년 여성의 처방약 복용을 2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를 최근 국제학술지 BMJ Open에 발표했다. SWAN(Study of Women’s Health Across the Nation)은 폐경 이행기 동안 발생하는 생물학적 및 심리사회적 변화를 조사하기 위한 다중 센터, 다민족/다인종 종단 연구다. 연구팀은 1995년부터 2016년까지 21년간 어느 시점에서 수면 장애의 심각성을 보고한 여성 2531명을 확인했다. 제외 기준을 적용하고 2021.05.23
릴리 GIP·GLP-1 이중작용 당뇨신약, 최고 용량군의 43%가 당뇨병 없는 수준 도달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GIP와 GLP-1 이중 작용제인 티제파타이드가 심혈관 위험이 증가된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 1차 및 주요 2차 평가변수를 모두 달성하는데 성공했다. 특히 최고 용량으로 치료했을 때 참가자 대부분의 당화혈색소(A1C)가 7% 미만으로 떨어졌고, 약 40%에서는 당뇨병이 없는 사람의 수준까지 도달했다. 릴리(Eli Lilly and Company)는 SURPASS-4 임상연구 결과 인슐린 글라진과 비교했을 때 티제파타이드 3가지 용량 모두 우수한 혈당강하 및 체중 감소 효과를 가져왔다고 20일(현지시간) 밝혔다. 릴리는 이를 바탕으로 올해 말까지 승인을 위한 전체 자료를 규제당국에 제출할 계획이다. 티제파타이드를 최고 용량으로 치료했을 때 52주째 당화혈색소(A1C)와 체중은 인슐린 글라진 대비 각각 2.58%, 11.7㎏ 줄었다. 전반적인 안전성 프로파일은 GLP-1 수용체 작용제 계열과 일치했다. 가장 일반적으로 보고된 부작용은 2021.05.23
에이비엘바이오, ABL501 국내 임상 1상 IND 제출
이중항체 전문기업 에이비엘바이오는 이중항체 면역관문억제제 ABL501의 임상 1상 시험계획서(IND)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신청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임상은 진행성,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고형암을 동반한 환자 최대 36명을 대상으로 ABL501의 단독요법에서의 내약성 및 안전성을 평가한다. 삼성서울병원, 서울대병원, 서울아산병원과 신촌세브란스병원을 포함해 최대 6개 기관에서 진행할 예정이다. 이중항체 플랫폼 Grabody-I를 적용한 ABL501은 PD-L1과 LAG-3를 저해하는 면역관문억제제로 LAG-3와 결합함으로써 면역세포를 지속적으로 활성화하는 동시에 PD-L1 차단을 통해 종양억제효과를 장기적으로 유지시킨다. LAG-3 항체는 T세포의 소실된 종양 살상기능을 회복시킴으로써 기존 면역관문억제제의 낮은 반응률을 끌어올릴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LAG-3 저해제 개발로 가장 앞선 BMS는 최근 흑색종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자사 LAG-3 항체 렐라틀리맙(relatli 2021.05.21
수술에 최적화된 치료·비용 절감·치료효과 개선 가져올 혁신적인 아이디어 모집한다
한국존슨앤드존슨메디칼과 존슨앤드존슨 이노베이션은 서울시, 한국보건산업진흥원(KHIDI)과 스마트 수술을 주제로 서울 이노베이션 퀵파이어챌린지(Seoul Innovation QuickFire Challenge on Smart Surgery)를 공동 개최한다고 21일 발표했다. 2017년 처음 시작된 서울 이노베이션 퀵파이어챌린지는 올해로 5회째다. 퀵파이어 챌린지(QuickFire Challenge)는 오픈 이노베이션 생태계의 글로벌 네트워크 역할을 하는 존슨앤드존슨 이노베이션 JLABS가 진행하는 공모전이다. 전세계의 혁신적인 스타트업, 기업가, 학계, 과학자 및 바이오기술 연구원 등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가장 어려운 의료 문제들을 해결하도록 독려하고, 획기적인 과학 및 헬스케어 솔루션들을 지원한다. 올해는 수술의 계획과 사후관리를 포함한 전(全)과정에서 기존의 방식을 뛰어넘는 혁신을 가져올 만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공모한다. 관심분야는 ▲환자의 수술과 그 전·후를 포함한 수술관련 전 2021.05.21
고바이오랩, 연구소 확장이전 계획 밝혀..."속도감 있는 연구개발 추진"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개발 전문기업 고바이오랩은 판교에 위치한 코리아바이오파크의 일부를 양수하여, 연구소 확장이전에 나섰다고 20일 밝혔다. 고바이오랩은 국내 1세대 바이오벤처인 제넥신이 사용 중인 코리아바이오파크의 일부를 양수하기로 했다. 코리아바이오파크는 국내 최대의 바이오벤처 컴플렉스 중 하나로 유수의 코스닥 상장 벤처들이 서로 교류하는 'K-바이오'의 메카다. 고바이오랩은 2014년 서울대학교 생명공학공동연구원에서 창업한 국내 최고의 마이크로바이옴 벤처로 2020년 국내 최초로 기능성 마이크로바이옴 소재에 대한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임상 2상 승인을 받았다. 3월에는 마이크로바이옴 파이프라인 KBLP-002의 호주 임상 1상을 성공적으로 마쳤으며 연내 건선 및 천식∙아토피, 염증성 장질환 등 면역 질환 파이프라인들을 글로벌 임상 2상에 진입시켜 해외 마이크로바이옴 선도사들과 선두 경쟁을 하겠다는 포부를 밝히기도 했다. 고바이오랩 관계자는 "이번 연구소 확장 이전은 학내 벤 2021.05.2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