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크로젠, 국가공인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 ISMS-P 획득
정밀의학 생명공학기업 마크로젠은 업계 최초로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ISMS-P, Personal information &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을 획득했다고 8일 밝혔다. ISMS-P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공동으로 고시한 국내 최고 수준 보안 관리 체계로, 정보보안과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기업이 행하는 활동이 국가 공인 인증기준에 적합한지 평가하는 제도다. ISMS-P는 2018년 10월 정보보호 관리체계(ISMS) 인증과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PIMS) 인증이 통합된 인증 체계로 인증을 획득하기 위해선 정보보호 관리체계 수립·운영(16개), 보호 대책 요구사항(64개), 개인정보 처리단계별 요구사항(22개) 등 총 102개 인증 기준에 대한 적합성 평가를 모두 통과해야 한다. 마크로젠은 ISMS-P 인증 의무 대상 기업이 아님에도 개인정보보호를 비롯한 정보보호 체계 관련 역량을 입증했다. 핵심사업인 2021.04.08
이제너두-지피바이오, 성장예측검진 업무협약 체결
이제너두와 지피바이오가 7일 이제너두 본사에서 업무협약식을 체결했다. 이번 업무협약식을 통해 지피바이오는 이제너두의 135만명의 기업고객에게 자사의 주력 제품인 키맵닥터 성장예측검진을 제공한다. 이제너두는 보유하고 있는 복지몰과 운영 노하우를 통해 키맵닥터 성장예측검진의 홍보와 판매를 담당할 계획이다. 지피바이오 성제혁 대표는 "다수의 기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한 결과, 임직원 자녀들에 대한 성장 관련 복지서비스에 높은 관심을 갖고 있음을 확인했다"며 "이번 협약을 통해 대한민국 많은 기업에 키맵닥터를 제공하여 아동, 청소년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미래의 사회적 비용을 줄이고 건강한 성장문화를 형성하겠다"고 말했다. 지피바이오는 국가연구개발 과제를 통해 키맵닥터 성장예측검진을 개발해 8년간 2300만건 이상의 소아·청소년 생체데이터를 축적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들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돕고 있다. 이제너두는 2000년 국내 최초로 선택적 복지 플랫폼을 개발한 복 2021.04.08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백신 생산센터, 올해 8월 시험가동 예정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는 백신센터가 지난달 착공 후 백신사업과 관련한 시설 건설 및 도입 등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올해 8월 일부 시설에 대한 시험가동이 전망된다고 7일 밝혔다.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는 코로나19 사태를 기점으로 향후에도 다양한 형태의 감염병이 출현할 것으로 전망하고 이에 대한 예방 백신 및 치료제 개발을 계획해 왔으며, 백신센터 역시 이러한 계획의 일환으로 기획된 인프라다. 백신센터는 관계사인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가 제공하는 위탁엔지니어링(Contract Engineering Organization) 서비스를 통해 스마트 바이오팩토리가 도입된 제조시설과 원제생산을 위한 전문적인 용역서비스를 제공받을 계획이며 올해 내 코로나 백신을 비롯한 본격적인 백신 생산에 들어갈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는 시장과의 원활한 소통을 통한 주주가치 증대에도 노력을 기울이고자 투자자와의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구축을 이달 하순까지 완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통 2021.04.07
앱클론, 인투셀과 ADC 공동개발 MOU 체결
앱클론이 인투셀(IntoCell)과 항체약물결합체(ADC) 공동개발을 위한 업무 제휴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이 협약은 앱클론의 항체 발굴 기술과 인투셀의 ADC 플랫폼 기술을 결합해 기존 약물 대비 치료 효과가 개선된 ADC를 개발하는 것이 목표다. 앱클론은 항체 및 에피토프(결합부위) 발굴 기술인 NEST(Novel Epitope Screening Technology) 플랫폼을 통해 항원의 특정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항체를 발굴하는 체계적인 프로세스를 갖추고 있다. NEST 플랫폼 기술을 바탕으로 AC101(위암, 유방암 항체치료제)을 상하이 헨리우스 바이오텍에 기술이전(L/O)했으며, CAR-T 세포치료제 개발에도 응용하고 있다. 이번 인투셀과의 ADC 공동개발에도 NEST 플랫폼을 통해 발굴된 항체를 목적에 맞게 선별해 적용할 계획이다. 인투셀은 항체와 약물을 결합하는 OHPAS(Ortho-Hydroxy Protected Aryl Sulfate) 링커 플랫폼 2021.04.07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차세대 폐암 신약 후보물질 BBT-176 임상 참여 환자 투약 개시
혁신신약 연구개발 기업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는 2일 차세대 폐암 표적항암제 후보물질 BBT-176의 임상 1/2상 첫 임상 참여 환자 대상 투약이 실시됐다고 7일 밝혔다. BBT-176은 C797S 특이 EGFR 돌연변이를 표적 치료하는 신규 표피성장인자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EGFR TKI)다. C797S 변이는 비소세포폐암(NSCLC)에서 타그리소(성분명 오시머티닙) 등 치료 이후 나타나는 획득 저항성 변이로 알려져 있다.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는 앞서 진행된 전임상 개발을 통해 동물모델에서 C797S 양성 삼중 돌연변이에 대한 종양 억제 효능을 비롯해 뇌 전이 종양 억제 효력 관련 데이터를 확보했다. 국내 3개 기관에서 먼저 개시되는 이번 임상은 EGFR 돌연변이가 있는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며, 혈액 속 종양 유전자를 통해 종양세포의 돌연변이 정보를 보다 신속하게 분석하는 액체생검(Liquid Biopsy) 절차 등을 적용하여 변이별 환 2021.04.07
인트론바이오, 암 타깃 박테리오파지 기술 미국 특허 출원
인트론바이오가 대장암 발병의 중요한 원인 인자로 작동하는 세균에 대응하는 박테리오파지 활용 항암 기술에 대해 미국 특허 출원을 완료했다고 6일 밝혔다. 해당 세균은 장독소 박테로이데스 프라질리스(Enterotoxigenic Bacteroides fragilis, ETBF)로 장독소(Enterotoxin)를 분비해 동물이나 사람에서 염증성 설사 및 대장 질환, 복부 농양, 균혈증 등을 유발한다. 최근 대장암 환자의 장내 미생물군(Gut microbiome)에 대한 여러 연구를 통해 대장암 발병의 주요 원인중의 하나로 보고되면서 이 세균의 효과적 제어에 대한 의학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대장암의 여러 발병요인 중 ETBF와 같이 대장 내에 존재하는 특정 병원성 박테리아들이 대장 점막 및 상피세포에 손상을 초래하고 지속적인 염증 반응을 일으켜 암을 유발할 수 있다는 가능성에 대해 현재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번에 출원한 인트론바이오의 ETBF 관련 특허 기술은 주요 약효 성분(API) 2021.04.06
한국바이오협회, 독일 베링거인겔하임과 협력할 국내 바이오 기업 모집
한국바이오협회는 20일까지 독일계 다국적 제약사 베링거인겔하임(Boehringer Ingelheim)과 국내 바이오 기업의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을 위한 '오픈 이노베이션 챌린지'에 참가할 기업을 모집한다고 6일 밝혔다. 오픈 이노베이션 챌린지는 협회 국제 교류프로그램인 '글로벌 밍글(Global Mingle)'의 일환으로, 혁신기술과 잠재력을 보유한 국내 바이오 기업과 이를 필요로 하는 다국적 바이오/제약 기업의 개방형 혁신 수요를 연결하고 국내 바이오 기업에게 해외 협력 및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기회를 지원하는 행사다. 이 행사는 베링거인겔하임이 아시아 지역의 연구, 사업개발, 벤처 투자 등에 집중하기 위해 설립한 혁신 변혁 센터인 중국외부혁신허브(Boehringer Ingelheim External Innovation Hub China)와 함께한다. 모집대상은 창업 후 7년 이하인 재생의학, 암 면역학, 면역노화, 항생제 내성 등의 분야의 국내 바이오 기업으 2021.04.06
메드팩토, ASCO 연례회의서 백토서팁 병용임상 발표 주제로 채택
바이오마커(생체표지자) 기반 혁신신약 개발 기업 메드팩토는 미국 임상종양학회(ASCO) 연례회의에 제출한 백토서팁 병용요법 임상 데이터가 공식 발표 주제로 채택됐다고 6일 밝혔다. ASCO는 종양학 분야의 권위 있는 글로벌 학회로 매년 암 전문의와 글로벌 제약 업계 관계자 등 4만여 명이 참여하고 있으며 올해에는 6월 4일(현지시간)부터 8일까지 온라인으로 개최된다. 이번에 공식 채택된 발표 주제는 대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백토서팁과 키트루다에 대한 병용 임상 1b·2a상 데이터다. 이번 발표에서 글로벌 제약사인 MSD와 진행중인 대장암 환자 대상의 병용투여 임상 초기 유효성 데이터를 최초로 공개한다. 대장암은 현미부수체 불안정형(MSI)과 안정형(MSS)으로 나뉘며 MSI-high형 환자는 치료 시도가 가능하나 그 중 86%의 비중을 차지하는 MSS형 환자군에서 면역항암제 단독 투여시 반응이 낮아 다른 치료법 개발이 시급하다. 메드팩토는 MSS형 환자를 모집 완료해 현재 국내외에서 2021.04.06
마크로젠, 질병 관련 DTC 유전자검사 실증특례 연구 시작
정밀의학 생명공학기업 마크로젠은 공용기관생명윤리위원회(공용IRB)의 최종 승인을 받아 국내 최초로 제2형 당뇨병을 포함한 13개 질병에 관한 DTC 유전자검사 소비자 실증특례 연구를 시작한다고 6일 밝혔다. 마크로젠은 2019년 2월 규제 샌드박스 1호로 소비자직접의뢰(DTC) 유전체 분석을 통해 사전에 질병 발병 가능성을 인지할 수 있는 건강증진 서비스에 대한 실증특례 승인을 받았다. 연구 착수 전에 연구의 안전성과 타당성에 대해 공용IRB의 심의를 거쳤으며 총 13개 질병에 대해 최종 승인을 받아 DTC 유전자검사에 질병 항목을 확대하기 위한 실증연구를 본격화한다. 현재 소비자가 의료기관을 거치지 않고 직접 유전자 검사를 의뢰하는 DTC 유전자검사는 영양소, 운동, 피부/모발, 식습관, 개인특성 등 웰니스 영역에 관한 건강관리 검사만 가능하다. 마크로젠은 이번 연구를 통해 건강관리에 대한 동기 부여, 질병 이해도 증가 등 DTC 유전자검사의 소비자 가치를 명확히 확인한다는 계획이 2021.04.06
고바이오랩, 퍼스트인클래스 혁신 신약 타겟 발굴 및 기전 세계 최초 규명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개발 전문기업 고바이오랩이 특정 장내미생물에 의한 대사질환 치료기전 규명에 성공했으며 해당 내용의 논문이 관련 분야 최고 수준의 학술지인 네이처 마이크로바이올로지(Nature Microbiology) 홈페이지에 게재됐다고 6일 밝혔다. 고바이오랩은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및 서울대학교 병원,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KIST 연구진들과 공동으로 연구를 수행해 순수 분리한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Akkermansia muciniphila) 균주가 분비하는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ucagon-like peptide-1, 식욕억제호르몬) 분비조절 단백질을 확보했다. 논문에서는 해당 단백질이 체중 조절 및 갈색지방 활성화, 당항상성 조절 등의 주요한 대사질환 지표들을 개선했음을 확인했으며 또한 단백질의 주요 수용체와 세포 내 신호조절 기전 등도 함께 검증해 대사질환 치료효능의 핵심 기전들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주요한 장내 미생물의 대사질환 개선 기능성을 분자 2021.04.06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