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센텍 엔도라이신 항생제, 과기정통부 혁신신약파이프라인 과제 선정
라이센텍이 개발 중인 그람음성균 타겟의 엔도라이신 항생제 후보물질(LNT103)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혁신신약 파이프라인 발굴사업' 2단계 지원과제로 선정됐다고 16일 밝혔다. 이 사업은 글로벌 수준의 혁신신약 개발을 위한 초기단계를 지원해 기업에 기술이전이 가능한 유망 후보물질을 발굴하기 위한 사업이다. 한국외대 명희준 교수팀과 라이센텍은 사업 1단계에서 박테리오파지 유래 항균단백질(엔도라이신)을 발굴해 단백질공학적 개량을 거쳐 모델동물에서 유효성을 확인했다. 이어 2단계에 선정되면서 과기정통부로부터 후보물질의 전임상 수행을 위해 2021년 1월부터 2년간 14억 4000만원을 지원받으며, 이를 통해 IND(임상시험계획승인) 신청을 목표로 하고 있다. 라이센텍 관계자는 "한국박테리오파지 은행으로부터 라이센싱한 방대한 박테리오파지(세균을 숙주로 증식하는 바이러스)의 라이브러리를 활용해 박테리오파지의 항균 단백질인 엔도라이신을 이용한 항생제 개발 및 박테리오파지를 직접 이용한 파지치 2020.12.16
툴젠, 'Eradicate Cancer 2020'서 고형암 대상 면역세포 기능강화 플랫폼 발표
툴젠은 'Eradicate Cancer 2020 심포지엄'에서 기능성 강화 면역세포 플랫폼 관련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고 16일 밝혔다. Eradicate Cancer 2020 심포지엄은 호주에서 주관하는 암분야의 세계적인 석학들이 발표하는 학회로 15~16일 개최됐다. 툴젠은 고형암 및 혈액암 대상의 T 세포 기능강화를 위한 플랫폼에 대해 발표했다. 현재 T면역세포치료로서 각광받는 기술은 CAR-T 뿐만 아니라 T cell receptor(TCR)-T가 있다. 이번 발표에서는 기존 연구내용인 CAR-T에서의 유전자교정을 통한 기능 향상뿐만 아니라 TCR-T와의 접목을 통해 범용성을 확인한 결과를 발표했다. 또한 한가지 암종이 아닌 다양한 암종에서 툴젠의 기능성 강화 T 면역세포 플랫폼의 유효성을 확인한 것을 발표했다. 툴젠의 기능성 강화 T면역세포 플랫폼은 T세포의 기능을 저해하는 유전자 중 하나인 DGK(diacylglycerol kinase, DGK)를 유전자가위를 이용해 제거( 2020.12.16
에스씨엠생명과학, 아토피 임상 1/2상 중간결과 발표
에스씨엠생명과학(SCM생명과학)은 'SCM-AGH'의 아토피피부염 임상1/2상 중간결과, 아토피 환자 19명 중 13명에게서 현저한 아토피 증상 개선 효과가 관찰됐다고 16일 밝혔다. 에스씨엠생명과학은 임상 1상 시험에서 20명의 아토피피부염 중등중~중증 환자를 대상으로 2주 간격으로 3회 SCM-AGH를 투여한 뒤 12주동안 방문치료를 통해 환자의 상태를 점검했다. 이 중 투여 완료한 환자는 19명이다. 첫 투여 후 12주차가 지난 시점에서 아토피피부염의 중증도를 평가하는 EASI(습진중증도평가지수) 점수가 50% 이상 개선된 환자는 19명중 13명으로 보고됐다. 12주차 방문 시 EASI 점수가 50% 이상 개선된 환자들 중 24주까지 추가 투여를 완료한 전원(9명)에게서 SCM-AGH의 효능이 유지됐다. 회사 측은 등록 환자중 단 한건도 약과 관련된 이상반응도 발생하지 않았다고 했다. 에스씨엠생명과학은 이번 임상 1상 결과를 바탕으로 2021년 1월 경 SCM-AGH의 임상 2 2020.12.16
알토스 바이오로직스, 적극적 글로벌 임상 연구개발 위해 각자 대표 체제 돌입
알테오젠 자회사인 알토스 바이오로직스가 적극적인 글로벌 임상 연구개발을 위해 각자 대표 체제에 돌입한다고 16일 밝혔다. 지희정 대표를 바이오시밀러 글로벌 임상 연구개발 총괄로 하고 박순재 대표를 경영총괄로 R&D(연구개발) 및 경영지원 부분을 맡을 예정이다. 지 박사는 미국 퍼듀대학에서 생화학 박사 취득 후 약 25여 년간 바이오의약품 연구개발을 해왔다. LG화학 바이오텍연구소에서 백신 및 유전자재조합 의약품 개발을 진행했으며 지속형, 서방형 인성장호르몬등 바이오베터 개발의 프로젝트 리더뿐만 아니라 허가, 등록, 개발 등 다양한 분야를 경험했다. 이후 녹십자의 개발 본부장, 제넥신의 단백질 유전자생산기술연구소에서 연구소장 및 사장으로 근무했다. 지 박사는 알토스 바이오에서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와 차별화된 타 바이오시밀러의 글로벌임상을 위한 연구개발을 주도할 계획이다. 알토스 바이오는 알테오젠의 100% 자회사로 지난 10월 설립해 6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 결정, 제3자 배정을 진 2020.12.16
삼성바이오로직스 존림 대표이사 사장 "혁신 의지와 도전 정신으로 새로운 시대 열어갈 것"
삼성바이오로직스는 16일 이사회를 열고 존림 신임 대표이사 사장을 선임했다고 밝혔다. 존림 대표이사 사장은 미국 스탠포드대학교 화학공학 석사와 노스웨스턴대학교 MBA 출신으로 로슈·제넨텍에서 생산, 영업, 개발 총괄 및 CFO 등을 역임한 글로벌 바이오 제약 전문가다. 존림 사장은 2018년 9월 삼성바이오로직스에 합류해 세계 최대 규모 바이오의약품 공장인 제 3공장 운영을 총괄하며 코로나19 상황에서도 수주 확보 및 조기 안정화라는 성과를 거뒀다. 이날 공식 업무에 착수한 존림 사장은 임직원을 대상으로 한 취임사를 통해 "향후 10년 간 CMO, CDO, CRO 등 전 사업 부분에서 글로벌 세계 1위를 달성하고, 장기적으로는 바이오 의약품 산업에서 주요 사업을 영위하는 글로벌 바이오 제약사로 본격 도약하자"고 말했다. 이를 위해 CMO 사업의 경우, 앞으로도 과감하고 선제적인 투자로 공장 증설을 지속해 나가면서 바이오의약품 생산 CAPA 업계 1위 자리를 지킨다는 방침이다. CDO 2020.12.16
환자 간병, '가족이 짊어져야 할 고통' 인식 많아…치료 완주 동반자로 보호자 역할 재조명 필요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일반인 대상 설문조사에서 응답자 대부분이 환자 보호자에 해당하는 사람으로 '가족'을 꼽았다. 그러나 중증 환자보호자 10명 가운데 8명은 일상 변화에 영향을 받았으며, 스트레스 역시 79%로 높았다. 10명 중 6명은 전문적인 심리상담을 원한다고 응답해 환자보호자의 심리 스트레스에 대한 관심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비엠에스제약이 16일 '환자보호자의 날'을 맞아 최근 진행한 일반인 대상 환자보호자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만 20~59세 1000명의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환자 보호자에 대한 인식, 중증·경증 환자 보호자 실태 파악 및 경험 유무에 따른 인식을 확인했다. 조사에는 환자보호자 경험이 있는 589명과 환자보호자 경험이 없는 411명이 참여했다. 중증질환 환자보호자 환자10명 중 8명 간병스트레스 호소 조사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20~50대의 환자보호자에 대한 연상으로 가족(17%), 간병인(16%), 힘듦(11%)을 2020.12.16
美정부, 모더나 코로나19 백신 승인되면 최대 600만 도즈 초기 출하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미국에서 화이자(Pfizer)와 바이오엔텍(BioNTech)의 코로나19 백신 약 300만 도즈가 처음으로 미국 전역에 배송돼 의료진을 대상으로 접종을 시작한 가운데, 모더나(Moderna)의 백신도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긴급사용승인(EUA)을 받으면 최대 600만 도즈가 출하된다. 미국 정부의 백신 프로젝트 오퍼레이션 워프 스피드(Operation Warp Speed)의 물류 업무를 총괄하는 구스타프 페르나(Gustave Perna) 미 육군 대장이 14일(현지시간) 언론 브리핑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의약품 유통업체인 메케슨(McKesson)이 전국 3285곳에 포장·배포할 도즈를 확보하고, 페덱스(FedEx)와 UPS가 최종 위치로 이를 운송한다. 페르나 대장은 화이자 백신이 운송된 곳보다 5배 많은 3285곳으로 배송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화이자와 모더나의 백신은 모두 백신 효괄을 보기 위해 2회 접종이 필요하다. 브리핑에서 미국 보건 2020.12.15
베링거인겔하임-세계뇌졸중학회, 'WSO 엔젤스 어워드' 국내 시상식 개최
한국베링거인겔하임은 9일 한국베링거인겔하임 본사에서 세계뇌졸중학회(World Stroke Organization, WSO)와 베링거인겔하임이 공동 주최하는 'WSO 엔젤스 어워드(WSO Angels Award)' 국내 시상식을 개최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시상식은 WSO 엔젤스 어워드를 시상하는 '2020 유럽뇌졸중학회-세계뇌졸중학회 연합 학술대회(ESO-WSO 2020 Joint Virtual Conference)'가 코로나19(COVID-19) 상황으로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점을 고려해 특별히 국내 수상 병원들을 위해 자리를 마련했다. WSO 엔젤스 어워드는 뇌졸중 환자 치료 개선에 도움이 되는 데이터를 꾸준히 기록, 제공해온 병원들의 공로를 기리며 지속적인 모니터링 문화를 확립하고자 제정됐다. 베링거인겔하임의 '엔젤스 이니셔티브(Angels Initiative)'는 뇌졸중 치료를 개선하기 위해 세계뇌졸중학회(WSO), 유럽뇌졸중학회(ESO) 등 여러 국가의 뇌졸중 학회 및 의 2020.12.15
메드팩토,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서 공식 초청 '기술이전 본격화'
메드팩토는 2021년 1월 온라인으로 개최되는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 2021'에 공식으로 초청받아 참가한다고 15일 밝혔다. 메드팩토는 내년 1월 11일~14일 온라인으로 개최되는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서 다국적 제약사들과 온라인 미팅을 진행할 예정이며, 백토서팁 기술이전 등 전략적 파트너십 발굴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보인다. 메드팩토의 주요 파이프라인인 백토서팁은 면역항암제의 치료효과를 저해하는 형질전환증식인자 TGF-β의 신호 전달을 억제하는 신약후보물질이다. TGF-β의 신호전달을 선택적으로 억제해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할 수 있도록 종양주변 환경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백토서팁은 면역항암제, 화학요법제 등 다양한 치료제와 병용투여가 가능해 총 11건의 임상시험을 진행중이다. 현재 대장암, 위암, 비소세포폐암 치료 목적으로 면역항암제와 병용투여중이며 데스모이드종양 치료를 위해 표적항암제와도 병용임상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주요 암을 비롯한 희귀암 등 다양한 적응 2020.12.15
삼성바이오에피스, 프롤리아 바이오시밀러 임상 3상 개시
삼성바이오에피스는 골격계 질환 치료제 SB16(프롤리아 바이오시밀러, 성분명 데노수맙)의 글로벌 임상 3상에 착수했다고 15일 밝혔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11월부터 6개 국가의 폐경 후 골다공증 환자 432명을 대상으로 SB16과 오리지널 의약품 간 효능과 안전성 등을 비교 연구하는 임상 3상을 시작했으며 관련 내용을 글로벌 임상시험 정보 제공 웹사이트 '클리니컬 트라이얼스'에 게시했다. 프롤리아(Prolia)는 미국 암젠(Amgen)이 개발한 골격계 질환 치료제로서 골다공증 및 암 환자 골 소실 치료제 등으로 쓰이며 지난해 글로벌 매출 규모는 약 3조 1000억원(26억 7200만달러)에 달한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올해 10월부터 건강한 자원자를 대상으로 SB16의 약동력학, 안전성, 면역원성 등을 확인하는 임상 1상을 개시했고, 실제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 3상도 동시 진행하는 '오버랩(overlap)' 전략을 통해 개발 속도를 더욱 가속화하게 됐다. 삼성바이오에피스 관계자는 2020.12.15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