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전세계 확진자 2000만명 넘어…1000만명에서 50일도 안돼 1000만명 늘어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전 세계 코로나19(COVID-19) 누적 확진자 수가 2000만명을 넘어섰다. 국제통계사이트 월드오미터(worldometer)에 따르면 10일 오전 9시 20분(GMT 10일 오전 12시 16분) 전 세계 코로나19 누적 확진자는 2000만 9061명이다. 누적 사망자는 73만 3361명이다. 코로나19가 처음 발병 보고되고 1000만명이 될 때까지 약 6개월이 걸렸으나 다시 1000만명이 늘어나기까지는 50일이 채 지나지 않았다. 코로나19 발생은 지난해 12월 중국 우한에서 처음으로 보고됐고, 빠르게 확산돼 세계보건기구(WHO)는 올해 1월 30일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를 선포했다. 국가별로는 미국이 누적 확진자 수 519만 9409명으로 가장 많다. 확산 속도를 보면 100만명이 되기까지 99일, 200만명까지 43일, 300만명까지 28일, 400만명까지 15일로 점차 빨라졌고, 또다시 17일만에 500만명을 넘었다. 사망자 수는 2020.08.10
[슬립테크] 수면무호흡증, 수면 중 혈압 높여 심혈관·뇌혈관계 질환 위험…반드시 치료해야
'슬립테크2020’-대한수면의학회 특별세미나 미리보기 한국수면산업협회와 메디씨앤씨(메디게이트)가 주최하고 메디게이트뉴스(MEDIGATENEWS)와 팀마이스가 주관하는 2020 대한민국 꿀잠 프로젝트 '슬립테크2020’ 전시회(http://www.sleep-tech.co.kr)가 오는 11월 13일(금)~15일(일) 3일간 서울 삼성동 코엑스D홀에서 개최됩니다. 수면장애는 만성질환, 심부전, 부정맥, 수면무호흡증, 우울증 등 다양한 질환을 초래합니다. ‘슬립테크2020’ 전시회는 국민들에게 수면건강의 중요성을 일깨워 수면장애를 하나의 질환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수면산업 성장에 일조하기 위해 마련됐습니다. 특히 이번 전시회에서는 '슬립테크 2020-대한수면의학회 특별세미나'를 통해 국민들에게 수면건강의 중요성을 강조할 예정입니다. 불면증과 수면장애로 고민하는 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일시: 11월 13일 금요일 오전 10시 30분~오후 5시 장소: 코엑스 3층 D홀 내 2020.08.09
[슬립테크] 유년기 가벼운 수면 문제도 심리사회적 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대한민국 꿀잠 프로젝트, 꿀잠 자야 건강하다 ① 수면시간 5시간 이하, 적정수면 대비 복부비만 1.96배·대사증후군 1.69배 ②잠못드는 노인들...노인 절반은 불면증, 고령일수록 수면장애 증가 ③잠 못잔 노동자, 술 취한 사람과 비슷...18시간 못자면 혈중 알코올 농도 0.05% ④학업 스트레스 등으로 청소년들 4명 중 3명은 수면부족 상태 ⑤교대근무 간호사들 수면장애 심각...3일 연속 야간근무하면 불면증 6.5배 ⑥넷플릭스 보느라 늦게 자면 다음날 아침 긍정적 감정 감소 ⑦노인 불면증 만성화...증상 평균 10년, 장기 수면제 복용 73.5% ⑧청소년 등교시간 한 시간만 늦춰도 학습 능률 향상·교통 사고 예방 ⑨멜라토닌 보충제 31개 함량 확인해보니…-83%부터 +478% 널뛰기 ⑩하루만 제대로 못자도 다음날 아침 불안할 확률 높아져 ⑪수면과 사망률...REM수면 5% 줄면 중·노년층 사망률 13% 증가 ⑫ 전문약으로 분류되는 멜라토닌 '서카딘' 제네릭 출시 잇따라 ⑬플라스틱 2020.08.08
3BIGS, 바이오 빅데이터 활용 신약개발 협력연구 업무협약 체결
쓰리빅스(3BIGS)는 경희대학교 글로벌 의약품소재개발 연구센터(GPIM)와 5일 바이오 빅데이터 기반 신약개발을 위한 공동연구 및 인공지능 인프라 구축, 관련 기술의 지원 및 교육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경기도 지역협력연구센터(GRRC) 사업을 수행 중인 경희대학교 GPIM은 고부가가치 의약품소재 분야에서 산학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원천기술 및 실용화 기술을 개발하고 산업화함으로써 관련 산업의 기술경쟁력 강화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를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천연물 기반 신약 후보물질의 도출, 새로운 의약품 합성 및 대량 생산 기술 개발 등 의약품 소재 개발과 관련된 제반 기술을 확보해 산업체의 기술 향상을 지원하고 기업의 니즈를 반영한 다양한 기업지원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3BIGS는 바이오 빅데이터 플랫폼, AI 기반의 신약개발 플랫폼 및 동식물, 곤충, 미생물 등의 유전체 정보 분석 플랫폼을 이용해 신약(신소재) 물질을 발굴하는 바이오 빅데 2020.08.07
항암면역치료제 개발 전문 박셀바이오, 증권신고서 제출
항암면역치료제 개발 전문 바이오 기업인 박셀바이오는 7일 코스닥 기술 특례상장을 위한 증권신고서를 제출했다. 박셀바이오는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및 임상백신연구개발사업단에서 스핀오프 창업한 기업으로, 면역학 권위자인 이준행 대표이사와 혈액암 권위자인 이제중 CMO(Chief Medical Officer) 등 정상급 연구진을 이끌며 기초 연구에서 임상 설계와 임상 시험, 생산 등 항암면역치료제를 위한 All-IN-ONE을 갖췄다. 자연살해(NK)세포와 수지상세포(DC)를 활용한 항암면역치료 플랫폼을 개발 중이며 각각 고형암인 진행성 간암과 혈액암인 다발골수종을 타깃으로 임상 2상을 수행 중이다. 가장 강력한 차세대 항암면역치료제로 손꼽히는 CAR-T 치료제 역시 동물실험을 통해 안전성과 효과를 확인 중이다. 특히 NK세포를 활용한 항암면역치료 플랫폼(Vax-NK)은 기존 NK세포 치료제에 비해 임상 진행이 빠르다. Vax-NK는 환자 혈액을 채취해 특별히 배합된 사이토카인 칵테일을 특정 2020.08.07
메드팩토, '백토서팁-키트루다' 비소세포폐암 공동 임상2상 승인 획득
메드팩토는 비소세포폐암 1차 치료를 위한 백토서팁과 키트루다 병용투여 제2상 임상시험계획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받았다고 7일 밝혔다. 메드팩토와 MSD의 공동임상은 2018년 7월 대장암-위암 임상시험에 이어 두 번째다. 이번 임상2상은 비소세포폐암(NSCLC) 환자를 대상으로 백토서팁(Vactosertib, TEW-7197)과 MSD의 면역항암제인 키트루다(Keytruda, 펨브롤리주맙)를 병용투여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번 임상시험은 약 2년간 서울삼성병원 등 총 5개 의료기관에서 진행할 예정이며 환자 55명을 대상으로 이뤄지며 약물 병용요법에 대한 유효성 및 안전성을 평가한다. 메드팩토 관계자는 "이번 임상2상은 1차 치료를 목표로 실시하는 병용임상으로 기존에 치료를 받은 적 없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데이터와 높은 객관적반응률(ORR)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1차 치료제란 환자가 병을 진단받은 후 가장 처음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의약품을 말한다. 특히 1 2020.08.07
우정바이오, 식품의약품안전처 '우수동물실험시설' 지정
우정바이오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우수동물실험시설(KELAF, Korea Excellent Laboratory Animal Facility)로 지정됐다고 7일 밝혔다. 우수동물실험시설 지정은 실험동물에 대한 윤리성 및 신뢰성을 높이고 생명과학 발전과 국민 보건 향상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는 '실험동물에 관한 법률'에 따른 것이다. 국내 식약처 등록 동물실험시설 470개(2019년 6월 기준) 중 우수동물실험시설로 지정된 곳은 우정바이오를 포함해 18곳이며 주로 대형병원 및 국가연구기관이다. 우수동물실험시설은 해당 법 제10조에 의거해 실험동물의 사용 및 관리에 관한 인력, 시설, 운영 프로그램 기준을 충족시킨 기관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지정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실험동물을 사용하는 관련 사업 또는 연구용역이 우수동물실험시설에서 수행될 수 있도록 권고할 수 있다. 우수동물실험시설로 지정됨에 따라 우정바이오 동물실험시설은 국가 공인을 통해 비임상CRO 사업에 대한 신뢰성과 윤리성 2020.08.07
인트론바이오, 스킨헬스 피부질환 치료 엔도리신 신약물질 확보
인트론바이오가 여드름 원인균 큐티박테리움 에크니(Cutibacterium acnes)에 우수한 항균력을 가진 엔도리신 신약물질 ‘CAL200’을 확보했다고 6일 밝혔다. 인트론바이오는 슈퍼박테리아 전신감염증 치료제로 개발된 엔도리신(endolysin)을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고 그 기술 범위를 점차 확장해 나가고 있다. 대표적으로 엔도리신을 활용한 '아토피 치료제' 분야 제제는 이미 개발에 착수했으며 대외 협력을 활발히 진행 중이다. 최근 회사는 여드름 타깃 제제 개발에 활용 가능한 엔도리신 유망 신약물질 ‘CAL200’을 추가 확보했다. 신약물질의 대량 제조공정 개발에도 성공해 여드름 치료 분야로 기술 확장을 꾀할 방침이다. 인트론바이오는 이번 신약물질 확보를 기반으로 아토피 및 여드름 등 주요 피부질환 치료제(Topical Medication) 개발에도 집중할 예정이다. 회사는 치료제 개발을 위해 직접 미국 임상 시험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회사가 2018년 로이반트(Roivant 2020.08.06
티앤알바이오팹-서울대 SOFT FOUNDRY, 3D 바이오프린터 응용 연구개발 제휴 협약
티앤알바이오팹은 서울대 나노응용시스템연구센터(Seoul National University co-Operative Flexible Transformative FOUNDRY, 이하 SOFT FOUNDRY)와 3D 바이오프린터 응용 분야의 공동 연구개발 제휴 협약을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 티앤알바이오팹은 올해 초 서울대학교 SOFT FOUNDRY에 자사의 3D 바이오프린터 제품 '3DX Printer'를 제공했으며 서울대학교 SOFT FOUNDRY는 장비의 사용 및 응용에 자문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이번 협약으로 양 기관은 상호 유기적인 교류와 협조, 보완을 통해 3D 바이오프린터를 이용한 다양한 응용연구의 협력 및 공동개발을 위한 전략적 업무제휴에 합의했다. 티앤알바이오팹은 3D 바이오프린팅 기술을 기반으로 생분해성 의료기기, 조직/장기 바이오 프린팅을 위한 바이오 잉크, 체외 시험을 위한 오가노이드, 3D프린팅 세포 치료제를 연구개발 및 생산하는 기업이다. 서울대 SOFT FO 2020.08.06
제약계 윤리경영 달라졌나, 'ISO37001' 도입 2년 평가
국내 제약바이오업계가 ISO37001(반부패경영시스템)의 도입 효과를 파악하고 윤리경영 내실을 강화하기 위한 평가에 돌입한다. 현재 방식에 대한 객관적 평가를 거쳐 업계의 윤리경영 정착을 가속화한다는 계획이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회원사의 참여를 통한 '제약산업 ISO37001 인증사업 도입효과 분석 연구'를 진행한다고 6일 밝혔다. 연구기간은 오는 12월 31일까지로 예정됐다. ISO37001은 모든 산업분야에 적용 가능하도록 국제표준화기구(ISO)가 제정한 반부패 경영시스템이다. 협회는 제약바이오업계의 불공정거래행위 근절을 위해 2017년 10월 2차 이사회에서 ISO37001 도입 및 컨설팅 비용 지원에 대한 ‘의약품 시장 투명성 강화 계획’을 의결했다. 이후 각 사의 노력과 협회의 지원으로 2018년부터 ISO37001 도입을 본격화한지 2년여만에 47개사가 인증을 받았고 8월 현재 6개사가 인증 절차를 진행 중이다. 이번 연구과제는 ISO37001의 인증 갱신 시점(인증 후 2020.08.06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