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테카바이오, 미국암학회서 면역 항암 후보물질 STB-C017 전임상 결과 발표
인공지능(AI) 및 유전체 빅데이터 기반 신약개발 회사인 신테카바이오는 면역항암제 후보물질인 STB-C017에 대한 연구 결과를 미국암학회(AACR 2020)에서 발표했다고 15일 밝혔다. 이 연구는 분당차병원 혈액종양내과 전홍재/김찬 교수팀과 진행했다. STB-C017은 신테카바이오의 인공지능 합성신약 탐색 솔루션으로 도출한 IDO/TDO 이중 억제제인 저분자화합물이다. 면역항암제(Immuno-oncology) 시장은 현재 글로벌 의약품시장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성장하는 영역 중 하나로, Research and Market의 시장조사에 따르면 면역항암제 시장규모는 2018년 538억 달러에서 2027년 1572억 달러 규모로 연평균 12.7%씩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한 2019년 9월 기준, 전세계의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개발 건수는 총 3876개로서, 2017년의 2030개에 비해 91% 상승했다. 발표자인 김찬 교수는 “AI 예측기술을 통해 개발한 IDO/TDO 이중 2020.05.15
"칼레트라, 현재 사용되는 용량으로는 코로나19 치료 불가능"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현재 사용되고 있는 용량으로는 칼레트라(Kaletra, 성분명 로피나비르/리토나비르)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COVID-19) 치료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오스트리아 비엔나의대(Medical University of Vienna) 베른트 질마(Bernd Jilma) 박사팀은 12일(현지시간) 미국내과학회지(Annals of Internal Medicine)에 코로나19로 입원환 환자에서 칼레트라의 약동학을 평가한 결과를 발표했다. 코로나19가 전세계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지만 아직 규제당국으로부터 승인받은 효과적인 치료제는 없다. 2020년 4월 29일 기준 미국 임상시험등록사이트(ClinicalTrials)에 코로나19 관련 임상시험이 997개 등록됐고, 이 가운데 30개 이상이 칼레트라에 관한 것이었다. 연구팀에 따르면 칼레트라의 주요 성분 중 하나인 로피나비르는 메인 항바이러스제인 반면 또다른 성분인 리토나비르는 사 2020.05.15
레고켐바이오, ADC항암제 후보물질 英 익수다 테라퓨틱스사로 기술이전
레고켐 바이오사이언스는 14일 스위스 항체개발 전문기업인 노브이뮨(NovImmune)사와 공동개발한 ADC(Antibody-Drug Conjugates, 항체-약물 복합체) 항암제 후보물질의 글로벌시장 독점권을 부여하는 기술이전계약을 영국 익수사 테라퓨틱스(Iksuda Therapeutics)와 체결했다고 밝혔다. 익수다는 4월 14일 레고켐바이오의 ADC 링커·플랫폼을 3개 타깃에 적용하는 플랫폼기술이전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으로 선급금 약 61억과 개발단계별 마일스톤 포함 총 2784억의 기술료를 지급받게 되며 이와 별도로 매출액에 따른 로열티를 추가적으로 수령한다. 또한 추후 익수다가 제3자 기술이전 시 받게 될 모든 기술료 수익금을 합의된 비율에 따라 추가로 수령 받는 수익배분(Revenue Sharing)조건도 확보했다. 이번 기술이전은 레고켐바이오의 고유 ADC링커, 톡신과 노브이뮨이 보유한 혈액암 특이적 항원, CD19을 타깃으로 하는 고유항체를 결합해 도출한 신약후 2020.05.14
메드팩토, ASCO 발표 초록 공개…병용임상서 치료효과 개선
바이오마커(생체표지자) 기반 혁신신약 개발 기업 메드팩토의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연례회의 발표 내용에 대한 초록이 공개됐다. 메드팩토는 이번 ASCO에서 현재 개발 중인 항암신약 '백토서팁'의 데스모이드종양 연구자임상시험 1b/2a상 및 위암 임상시험 1b/2a상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데스모이드종양(섬유종증) 임상은 '백토서팁'과 항암제 성분 '이마티닙'을 병용 투여하는 것으로 연세대 신촌세브란스병원 김효송 교수가 주관하고 있다. 초록에 따르면 데스모이드종양 임상에서 안전성 및 약동학을 평가한 결과 우려할 만한 부작용이 관찰되지 않았고 용량제한독성(DLT)이 보고되지 않아 추가 임상을 진행할 수 있게 됐다. '백토서팁'과 '이마티닙' 병용요법의 초기 항종양활성 평가 결과 객관적 반응률(ORR)은 28.6%(2명/7명)로 기존에 보고된 '이마티닙' 단독요법 1년 반응률(11~13%) 대비 높은 개선 효과를 보였다. 6개월 무진행생존율(PFS)도 100%를 기록해 기존 '이마티 2020.05.14
해외에선 의료 빅데이터 어떻게 활용하고 있을까
8월 시행 데이터3법, 의료에 어떻게 활용되나 ①가명정보 활용 가능성 vs 개인정보보호 강화 ②세계 각국 '의료 빅데이터 강국' 위해 모색 중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올해 1월 개인정보보호법과 정보통신망법, 신용정보법 등 일명 데이터 3법이 통과되면서, 보건복지부는 보건의료 데이터 생태계 구축을 2020년 업무계획에 포함시켰다. 데이터 3법의 8월 시행을 앞두고 의료법, 생명윤리법 등 세부안에 대한 보완이 모색되고 있다. 복지부는 바이오 빅데이터를 구축하는 한편 의료기관 간 표준화된 진료기록 및 영상정보 등 '진료정보교류'를 확대, 여기에 건강보험 수가를 적용하는 방안도 추진할 예정이다. 다른 국가에서는 의료 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으며 어떤 정책을 펼치고 있을까. 앞서가는 핀란드, 포털 통해 자신의 임상기록 및 데이터 접근권한 관리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분석한 의료 분야 데이터 강국 현황에 따르면 핀란드는 국가 전자환자기록(elektronische Patie 2020.05.14
엔지켐생명과학, 코로나19 치료제 식약처 임상2상 IND 승인
엔지켐생명과학이 12일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코로나19(COVID-19) 치료제로 'EC-18'(PLAG)에 대한 임상2상 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다고 13일 밝혔다. 엔지켐생명과학은 식약처가 EC-18이 코로나19 환자의 사망을 초래하는 1위 합병증 '사이토카인 폭풍'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잡는다는 점에 주목해 이번 코로나19 치료제 IND를 신속하게 승인해 준 것으로 보고 있다. 이와함께 급성폐손상, 패혈증, 폐렴,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Efferocytosis(대식세포에 의한 죽어가는 세포 제거 과정) 작용기전을 포함한 다수의 국제논문과 효능을 입증하는 다양한 실험 데이터가 충분했던 점도 단기간에 IND 승인을 받을 수 있었던 근거가 된 것으로 분석했다. 엔지켐생명과학은 한국 식약처에서 코로나19 치료제로 임상2상 IND를 승인받음에 따라 이미 코로나19 치료제 특허를 출원한 미국에서도 식품의약국(FDA) 임상2상 IND를 서두를 계획이다. 엔지켐생명과학은 충북대학병원을 2020.05.13
에이티센스 차세대 심전도 측정기, 유럽 CE 인증 획득
국내 기술로 제작된 차세대 심전도 측정기가 유럽 CE 인증을 획득했다. 디지털 헬스케어 전문기업인 에이티센스는 차세대 웨어러블 심전도 측정기인 에이티패치(AT-Patch, ATP-C120)가 유럽 CE 의료기기 인증을 획득했다고 13일 밝혔다. 유럽 CE 인증은 의료기기 판매를 위해 필수적으로 거쳐야 하는 인허가 절차로 국내 식약처의 의료기기 허가, 미국 FDA 인증 등과 함께 높은 수준의 요구 조건을 충족시켜야 받을 수 있는 의료기기 인허가 절차다. 에이티패치의 가장 큰 특징은 최장 11일 동안 작동해 1~2일 동안 착용하는 기존 홀터 심전도 기기보다 심장질환의 발견 가능성을 크게 높이고 의사의 조기 진단과 조기 개입을 가능하게 해주어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큰 도움을 준다. 또한 가로 약 8cm, 세로 약 4cm 정도의 초소형 크기에 약 13g 정도의 초경량 무게, 외부에 노출된 전선이 없는 패치 형태, 샤워가 가능한 방진 및 방수 기능을 가지고 있어 가슴 부위에 부착하고 2020.05.13
테라젠바이오, 아모레와 피부 특화 DTC 유전자 검사 론칭
테라젠바이오는 아모레퍼시픽의 고기능 스킨케어 브랜드 아이오페와 공동으로 피부 건강에 특화된 DTC(소비자 대상 직접) 유전자 검사 서비스를 론칭한다고 13일 밝혔다. 테라젠바이오는 최근 정부가 확대 허용한 DTC 유전자 검사 항목들을 활용해 아모레퍼시픽과 유전자 맞춤형 스킨케어 서비스 '아이오페 랩 지노 인덱스(IOPE LAB GENO INDEX)'를 공동 개발했다. 이 서비스는 유전자 검사 및 정밀 측정 등 과학적 분석을 통해 타고난 피부 유형과 현재 상태를 점검, 이에 맞는 효율적 피부 관리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 서비스에는 피부노화, 기미·주근깨, 색소침착, 태닝 반응, 튼살, 여드름 발생 등 피부 관련 유전자 13종과 헬스케어 관련 유전자 13종 등 총 26종에 대한 DTC 유전자 검사가 포함돼 있다. 테라젠바이오는 2016년부터 아모레퍼시픽 R&D센터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한국 여성 1700여 명의 피부 유전체 지표를 확보했으며 아이오페 랩 고객 58 2020.05.13
툴젠, 전 메디프론디비티 대표이사 김영호 박사 영입
툴젠은 치료제 연구개발을 가속화 하기 위해 치료제 연구개발 리더로 김영호 박사를 영입했다. 툴젠은 공시를 통해 오는 6월 26일 임시주주총회를 개최해 김영호 박사를 사내이사로 선임하고 추후 이사회 결의를 통해 각자 대표이사로 선임할 예정이라 12일 밝혔다. 김영호 박사는 서울대 동물학과에서 학사 및 석사를 마치고 서울대에서 분자생물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졸업 후에는 서울대 세포분화연구센터에서 박사후 연수를 받았고 미국 국립보건연구원(NIH)에서 연구원 생활을 했다. 또한 미국 국립보건원 재직 당시 툴젠 창업자인 김진수 박사를 만난 후 유전자가위 기술의 무한한 가능성을 알게 됐으며 2001년 귀국 후 툴젠에 합류해 책임연구원으로 재직했다. 이후 김영호 박사는 2002년 디지탈바이오텍(현 메디프론디비티) 연구소장으로 자리를 옮겼으며 2012년~2019년 대표이사로 메디프론디비티의 연구개발 및 경영을 이끌어왔다. 김영호 박사는 메디프론디비티의 연구개발 총괄책임자로 2005년과 200 2020.05.12
에이비엘바이오, AACR서 이중항체 면역항암제 전임상 결과 발표 예정
에이비엘바이오의 AACR(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 발표 일정이 확정됐다. AACR은 매년 미국서 열리는 글로벌 암학회로 글로벌 빅파마를 포함해 전세계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대다수 참여하는 자리다. 매년 4월 개최됐으나 코로나19(COVID-19) 대유행으로 4월 27~28일과 6월 22~24일 온라인상에서 두 번에 나눠 진행하는 것으로 변경됐다. 에이비엘바이오는 6월 22일(미국 동부 현지시간)부터 진행될 예정인 포스터 세션에서 ABL503(I-Mab 공동연구)의 연구성과를 발표한다. 또한 ABL111(I-Mab 공동연구), ABL105(YH32367, 유한양행 공동연구) 및 포항공대와 진행한 이중항체 면역항암제 관련 연구결과 등도 파트너사들에 의해 발표될 예정이다. 관련 초록(abstract)은 5월 15일(미국 동부 현지시간 12:01AM)에 공개된다. 이번 AACR 발표 내용은 에이비엘바이오가 파트너사와 연구중인 이중항체 면역항암 2020.05.12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