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가노이드사이언스, 80억 시리즈 A 투자 유치
오가노이드사이언스가 80억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를 유치했다고 27일 밝혔다. 오가노이드사이언스는 이번 투자유치로 추진 중인 재생치료제 개발 및 오가노이드 플랫폼 국내외 사업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이번 오가노이드사이언스 투자는 아주아이비투자의 주도로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LB인베스트먼트, 컴퍼니케이파트너스 총 4개 기관이 참여했다. 오가노이드사이언스는 'Experience the New Sciences' 비전 하에 오가노이드 기반 재생치료제와 신약평가플랫폼 개발을 전문으로 하는 바이오텍으로 2018년 10월 설립됐다. 오가노이드사이언스를 설립한 유종만 대표는 차의과학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차그룹 오가노이드연구센터장 등을 역임하고 오가노이드학회를 창립해 오가노이드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 성체줄기세포 유래 오가노이드는 종양형성 가능성이 낮고 높은 자가 증식능으로 대량 공급 가능하며 조직 재생 능력이 탁월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재생치료제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이번 투자유치로 2020.03.27
드림씨아이에스, 상장예비심사청구서 승인
드림씨아이에스는 지난 26일 임상시험 전문 CRO(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 중 국내 최초로 코스닥 시장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청구서의 승인을 받았다고 27일 밝혔다. 최근 국내외에서 신약개발의 중요성이 증대하면서 더불어 임상 CRO가 주목받고 있다. 효율적 임상 시스템을 운영하고 전문 인력과 기술을 투입해 임상의 성공률을 높이게 조력한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은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보인다. 드림씨아이에스는 허가 임상 관련 위탁서비스부터 시판 후 조사 대행, 더 나아가 관련 임상 연구에 대한 다양한 자문 서비스 및 허가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0년의 풍부한 임상시험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다수의 글로벌 프로젝트를 수행해 기술과 노하우를 축적했다. 특히 글로벌 CRO 중 하나인 타이거메드(Tigermed)사가 2015년 드림씨아이에스를 인수하며 사업의 안정성이 강화됐고 표준작업지침을 통일해 프로젝트의 연속성을 높였다. 드림씨아이에스의 풍부한 임상시험 2020.03.27
소마젠, 코스닥 상장예비심사 승인…상반기 내 코스닥 입성 목표
미국 바이오 기업 소마젠은 지난 26일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의 상장예비심사 결과 기술특례 상장을 승인받았다고 27일 밝혔다. 소마젠은 지난 2004년 12월 한국 정밀의학 생명공학기업 마크로젠이 미국 메릴랜드주 락빌에 설립한 미주법인으로 지분의 56.94%를 마크로젠이 보유하고 있다. 지난해 연간 매출액 200억 원 이상을 달성했으며 미국 유전체 분석 시장에서 우수한 분석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회사는 신한금융투자를 주관사로 선정하고 지난해 기술보증기금과 한국기업데이터로부터 모두 A등급을 받아 외국기업으로는 최초로 기술성 평가를 통과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지난해 11월 코스닥 기술특례 상장예비심사를 청구했다. 소마젠은 빠른 시일 내에 금융위원회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공모 절차에 착수해 이르면 올해 상반기 내 코스닥 시장에 입성할 계획이다. 소마젠 라이언 킴(Ryan W. Kim) 대표는 "당사의 상장예비심사 승인은 외국기업 기술특례상장 1호로서, 해외 바이오 기업 기술특례 상 2020.03.27
애드세트리스, ADC 기술로 피부T세포 림프종 치료에 새로운 패러다임 제시
제약회사 메디컬팀이 들려주는 약 이야기 과학기술이 발달하면서 근거중심의학을 넘어 맞춤의학의 시대가 오고 있습니다. 메디게이트뉴스는 정밀의료 시대를 맞아 의사들에게 올바른 처방정보를 제공하고자 다국적 제약회사의 의학부를 만나 최신 질환정보와 제품정보를 듣는 기획 시리즈를 마련했습니다. 이를 통해 평소 개원가에서 보기 어려운 질환 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동시에 의약품 처방 시 도움이 되는 임상근거 자료를 쉽고 자세하게 풀어 환자 진료에 도움을 주고자 합니다. ①다케다제약 림프종 치료제 '애드세트리스'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림프종은 드물지만, 재발 시 치료 성적이 급격히 떨어지는 질환으로 크게 호지킨(Hodgkin) 림프종과 비(非)호지킨 림프종으로 나뉜다. 전체 림프종에서 5%가 호지킨 림프종이고, 나머지는 비호지킨 림프종이다. 한국다케다제약의 림프종 치료제 애드세트리스(Adcetris, 성분명 브렌툭시맙 베도틴)는 호지킨 림프종과 NK T셀에서 유래한 비(非)호지킨 림프종 2020.03.27
진매트릭스, '네오플렉스 COVID-19' 아랍에미리트 수출 계약 체결
진매트릭스는 코로나19 진단키트 '네오플렉스 COVID-19'를 아랍에미리트(United Arab Emirates, UAE)에 공급하는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계약은 네오플렉스 COVID-19의 유럽 CE 인증과 국내 식약처 수출 허가 이후 중동지역을 대상으로 체결된 첫 공급 계약이며 계약 규모는 46만 달러(약 5억7800만 원)이다. 또한 진매트릭스는 아랍에미리트 외에도 ▲리투아니아 ▲이탈리아 ▲칠레 추가 3개국 수출 계약도 체결했다. 네오플렉스 COVID-19는 코로나19 진단을 위해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권고 기준과 세계보건기구(WHO) 권고 기준을 모두 부합하도록 설계됐다. 또한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법(Real-Time PCR)을 사용해 3시간 이내에 코로나19를 검출 할 수 있고 분석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한 것이 특징이다. 진매트릭스는 아랍에미리트 초도 물량 계약 이후 지속적인 수출을 예상하고 있다. 아랍에미리트는 가장 2020.03.26
바이오리더스, 서울아산병원 등 대학병원과 코로나19 치료제 공동 연구 돌입
바이오리더스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치료제 개발을 위해 서울아산병원, 경희대병원, 중앙대병원 등의 감염내과와 공동 연구에 돌입했다고 26일 밝혔다. 회사는 지난 19일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을 위해 임상수탁기관(CRO) 씨엔알리서치와 계약을 체결했다. 약물위탁생산(CMO)은 한국콜마가 담당한다. 바이오리더스는 자궁경부상피이형증을 대상으로 임상 3상 임상시험계획(IND)까지 획득한 바이러스성 질병 치료제 'BLS-H01'을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을 위해 약물재창출(drug repurposing) 방식으로 사용한다. 지난 2013년 중증 급성호흡기증후군(SARS) 당시 BLS-H01의 핵심물질인 폴리감마글루탐산(ɤ-PGA) 실험에서 이를 투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60% 이상 바이러스 감염 억제 효과를 보였다. BLS-H01은 체내에서 TLR4(자연면역수용체)와 결합해 인터페론-베타(IFN-β) 등의 분비를 촉진시킨다. 이를 통해 면역 체계를 활성화하고 특정 박테리아나 2020.03.26
EDGC헬스케어, 코로나19 진단시약 유럽 SYNLAB 1~2차 10만명분 공급계약
이원다이애그노믹스(EDGC)는 EDGC헬스케어가 관계회사 솔젠트의 코로나19 진단시약으로 지난 19일 초도 물량과 함께 200만달러 규모 공급계약(Pre-Payment)을 유럽 신랩(synlab Holding GmbH)과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EDGC 관계자는 "유럽 대형 검진센터인 신랩에서 솔젠트 코로나19 진단시약 테스트를 진행한 뒤 적합 판정을 받았으며 이탈리아, 스페인, 독일, 프랑스 등 유럽 전역 코로나 감염증의 빠른 확산에 따라 EDGC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 대규모 시약 공급으로 전세계 194여개 국에 이르는 코로나 감염증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상황을 조기 종료하는데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신랩은 독일에 본사를 둔 글로벌 검진센터로 2017년 기준 연간 매출액 약 19억유로(약 2조 6000억원)에 달하며, 유럽 내 검진센터 중 검진규모 1~3위를 차지한다. 현재 유럽 34개국, 중동 및 남미 등을 포함하여 총 42개의 글로벌 지사를 운영하고 있는 신랩은 대 2020.03.26
지엔티파마, 뇌졸중 환자 209명 임상 2상 시험 임상약물 투약완료
지엔티파마는 재개통되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넬로넴다즈의 임상 2상 시험을 위한 환자등록을 모두 마쳤다고 26일 밝혔다. 지엔티파마는 아주대병원 신경과를 비롯 7개 대학 뇌졸중 센터에서 8시간 이내에 혈전제거수술을 받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환자등록을 시작한 지 42개월만에 총 209명에 대한 임상약물 투약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넬로넴다즈는 뇌졸중 후 발생하는 뇌세포사멸을 방지해 사망과 장애를 줄이기 위해 NMDA 활성과 활성산소를 동시에 막는 다중표적약물이다. 국내 뇌졸중 임상연구는 뇌 컴퓨터단층촬영 (CT)과 혈관조영촬영(CTA)을 시행하여 중등도 허혈성 뇌졸중환자를 선정한 후 혈전제거수술과 약물을 투약하고 1, 4, 12 주 후에 각각 장애 지수를 측정한다. 이 기간동안 재개통 치료 후에 발생하는 출혈 부작용도 검사한다. 마지막 환자등록이 완료됨에 따라 임상시험은 5월말에 완료되며 그 후 넬로넴다즈의 약효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을 시작한다. 지난 20여년동안 기대를 모았던 2 2020.03.26
테라젠이텍스, 바이오 자회사 신설… 주주총회 승인
테라젠이텍스가 제약과 유전체 사업부문을 분할, 비상장 법인인 '테라젠바이오(가칭)'를 신규 설립하기로 확정했다고 26일 밝혔다. 테라젠이텍스는 이날 경기도 안산 본사 인근에서 제30기 주주총회를 개최, 물적분할을 비롯해 류병환, 황태순 대표이사 재선임과 제무제표 승인 등 5개 안건을 의결했다. 테라젠이텍스는 지난달 27일 이사회를 통해 단순∙물적분할 방식의 법인 분할을 결의하고, 이를 정기 주주총회 안건으로 상정했었다. 이번 주주총회에서 분할계획서가 승인됨에 따라, 존속하는 제약 사업부문이 신설되는 테라젠바이오 주식 100%를 취득하는 방식으로 법인 분할을 진행하게 된다. 분할 기일은 2020년 4월 30일이다. 테라젠이텍스의 양 사업부문은 2010년 합병 당시부터 별도 사옥에서 각자대표체제로 운영되고 있었기 때문에 분할에 따른 구조적 변화는 크지 않을 전망이다. 이와 관련, 테라젠이텍스 관계자는 “이번 분할로 재무적 리스크를 분산해 안정적인 재무제표를 유지하면서도, 공격적 투자 유 2020.03.26
큐리언트, NEJM에 내성결핵치료제 '텔라세벡' 임상결과 발표
큐리언트가 개발 중인 내성결핵제료제(텔라세벡)의 임상2a상 결과가 세계 최고 권위의 학술지인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슨(NEJM)에 게재됐다고 26일 밝혔다. 국내에서 개발한 퍼스트인클래스(First-in-Class) 혁신신약의 임상 결과가 NEJM에 발표된 것은 처음이다. 결핵치료제 임상연구 분야 최고 권위자인 안드레아스 다이아콘(Andreas Diacon) 박사팀은 'Telacebec(Q203), a New Antituberculosis Agent'라는 제목으로 텔라세벡 임상2a상의 결과와 의미를 설명했다. 1차 평가 지표인 TTP(Time to Positivity) 분석을 통해 단독 투약 14일만에 결핵균의 활성도 저하를 확인했고 100㎎, 200㎎, 300㎎의 투여용량에 정비례하는 약효를 도출했으며 약물과 관련된 부작용 사례도 발생하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러한 임상결과에 따라 텔라세벡이 신규 결핵치료제들과 병행처방을 통해 차세대 치료법을 완성하기 위한 약물임을 강조했다. 큐리언트 2020.03.26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