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후생노동성, 시오노기제약 코로나19 치료제 긴급사용승인 권고
일본 후생노동성은 22일 약사·식품위생심의회에서 일본 시오노기 제약사와 한국 일동제약이 공동 개발 중인 조코바(S-217622)에 대해 긴급사용승인을 권고했다. S-217622는 일본 시오노기제약이 코로나19 바이러스(SARS-CoV-2) 감염증 치료를 위해 개발한 화합물로, SARS-CoV-2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는 다단백질(polyprotein) 과정(processing)과 바이러스 복제에 필수적인 SARS-CoV-2 3C 유사 단백질 분해효소의 저해제다. 앞서 지난 6월 22일 후생노동성 전문부회에서 추가 논의가 필요하다고 판단했고, 지난 7월 20일 약사식품위생심의회도 긴급사용신청을 보류하고 향후 추가 재논의하기로 의결한 바 있다. 두 차례 고배 끝에 후생성 심의회는 S-217622의 임상시험자료를 검토한 결과 코로나19 치료 효과가 있다고 판단했으며, 투표를 통해(찬성 5표, 반대 1표) 긴급사용 승인이 타당하다는 결정을 내렸다. 이번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일본 의약품 규 2022.11.22
엑세스바이오 자회사 웰스바이오, 민감·특이도 100% 쯔쯔가무시 키트 허가
엑세스바이오는 자회사인 웰스바이오가 쯔쯔가무시균의 감염 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키트인 케어진 쯔쯔가무시 감염 실시간 PCR 진단키트(careGENE™ Scrub Typhus Real-time PCR kit)의 국내 허가를 획득했다고 22일 밝혔다. ‘careGENE™ Scrub Typhus Real-time PCR kit(체외 제허 22-763호)’는 쯔쯔가무시 감염 의심환자의 전혈 검체에서 쯔쯔가무시균이 갖는 특이 유전자를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법(Real-time PCR)으로 검출하여 감염 여부 확인에 도움을 주는 체외진단 의료기기다. 검사 개시 이후 80분 이내에 결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국내에서 시행된 임상시험 결과 민감도와 특이도 모두 100%를 나타냈다. 또한 저농도 검출이 가능하도록 정밀하게 설계된 것도 주목할만한 특징이다. 웰스바이오는 이달 중 제품을 출시해 국내 의료기관으로의 공급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더불어 현재 준비 중인 CE 인증 획득을 통해 유럽 등 해 2022.11.22
아이진, 국산 백신 개발·상용화 위해 글로벌백신기술선도사업단과 협력
아이진은 글로벌백신기술선도사업단과 국산 백신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아이진은 자체 기술로 개발한 면역보조제 시스템과 양이온성리포좀 전달체 시스템을 활용해 대상포진 예방백신과 코로나19 예방백신을 개발 중이며, 현재 국내와 해외에서 mRNA 기반 코로나 19 예방백신(EG-COVID)의 기초접종과 부스터 임상시험을 수행하고 있다. 아이진은 자사의 mRNA 관련 기술과 전달체 기술을 활용, 현재 개발 중인 백신 이외에도 다양한 mRNA 기반 치료제와 백신 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업무협약을 통해 개발 과정 전반에 걸친 전주기적 협력을 강화하고, 신규 치료제와 백신의 기초 연구부터 상용화 단계까지 많은 지원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글로벌백신기술선도사업단은 신·변종 감염병 위기 상황에 신속히 대응하고, 국내 백신 산업의 글로벌 시장으로의 확대 및 선도를 위한 전 주기적 백신 개발 허브 구축을 목적으로 보건복지부의 지원을 받아 올해 1월 출범 2022.11.22
대웅제약 당뇨병 신약 DWP16001, 반려동물 대상 장기 안전성 확인
대웅제약은 최근 대한수의학회에서 반려동물을 대상으로 DWP16001의 당뇨병 치료 효과에 대한 연구자 추가 임상 결과를 공개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에 발표한 내용은 지난해 5월 발표한 8주 간의 연구자 임상에 참여했던 인슐린 의존성(제1형) 당뇨병 반려견을 대상으로 1년 연장 투약에 대한 장기 안전성을 추가로 검증한 연구 결과다. 이번 발표는 최한솔 서울대학교 수의내과학교실 전임수의사가 진행했다. 인슐린과 DWP16001을 1년 동안 1일 1회 또는 3일 1회 병용투여하고, 각 군에게 혈중 케톤 및 젖산탈수소효소(Lactate dehydrogenase, LDH) 검사, 일반 혈액(Complete Blood Cell, CBC) 검사, 혈청화학(serum chemistry) 검사, 전해질 검사, 요검사 등을 시행했다. 혈중 케톤과 LDH 검사는 ‘당뇨병성 케톤산증’ 평가 검사로 저혈당과 함께 가장 주요한 부작용 평가 지표로 알려져 있다. 검사 결과, 약물을 투여한 1년 동안 혈중 케 2022.11.22
세포·유전자치료제 글로벌 파이프라인 3343개 달해…2026년 73조원 시장 형성
[메디게이트뉴스 서민지 기자] 세포·유전자치료제(CGT, Cell and Gene therapy)가 연평균 50%의 성장률(CAGR)을 이어가면서 오는 2026년에는 73조원의 시장을 형성할 전망이다. 이에 글로벌 제약사들은 CGT 관련 파이프라인 확보를 위해 기술수출, M&A 등을 통한 외부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 중이다. 22일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 진주연 연구원은 최근 세포·유전자치료제 신약개발 글로벌 트렌드 분석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CGT는 유전물질을 인체로 전달하거나 유전물질이 변형·도입된 사람 또는 동물의 세포를 인체로 전달하는 치료제를 뜻하며, 유전자치료제와 세포치료제, RNA치료제, 항암바이러스 등으로 이뤄져 있다. 유전자 투여 경로에 따라 체내(in vivo)와 체외(ex vivo)로 구분되며, 유전자 치료제 연구의 80%가 바이러스성 벡터를 사용한다. 글로벌 CGT 시장 성장률은 49.4%로 오는 2026년에는 555억9000만 달러, 한화 약 73조원대 2022.11.22
차백신연구소·목암생명과학연구소, AI 기반 백신 공동 개발
차바이오텍 계열사 차백신연구소는 목암생명과학연구소와 'AI(인공지능) 기반 신약 후보물질 발굴을 위한 상호협력 업무협약식'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협약식에는 차백신연구소 염정선 대표와 안병철 연구소장, 전은영 연구부소장이 참석했고, 목암생명과학연구소에서 김선 연구소장, 신현진 부소장 등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두 회사는 각종 AI 알고리즘을 이용한 새로운 백신 개발을 위해 상호 협력한다. AI를 활용한 신약 후보물질 발굴과 개선을 위한 공동연구, 신약 후보물질 개발의 사전 준비 협의를 위한 물적∙인적자원 교류 협력을 진행한다. 또한 공동 연구에 따른 지식재산권을 공동으로 출원하고 논문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번 협약에 따라 차백신연구소는 면역증강 플랫폼과 백신을 개발하면서 얻은 실험 데이터를 제공한다. 목암생명과학연구소는 자체 보유한 AI 알고리즘을 통해 해당 데이터를 분석해 세포와 신호물질 전달과정에서 발생하는 기전을 연구한다. 이후 차백신연구소는 연구 결과를 받아 신약 2022.11.21
유통사 지오영, 일반의약품 시장 진출…'지르텍' 영업·마케팅 나선다
지오영은 다국적제약사인 한국유씨비제약과 알레르기질환 치료제 지르텍 정(세티리진염산염) 공급에 대한 신규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파트너십 계약은 2023년 1월 1일부터 지오영이 국내 알레르기 치료제 시장에서 일반의약품인 지르텍 10정에 대한 독점적 영업, 마케팅을 수행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대중광고도 계획 중이다. 다국적 제약회사의 일반의약품을 국내 의약품유통기업이 광고와 영업활동 등을 포함한 국내마케팅에 나선 것은 지오영이 처음으로, 기존 주력사업인 의약품 유통은 물론 창립 20주년을 맞아 광고·마케팅이라는 새로운 영역으로 사업을 확장한 것이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의약품 물류센터의 대형화, 자동화를 실현하고 유통선진화를 선도해 온 지오영이 3자물류와 4자물류를 넘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지르텍은 국내 항히스타민제제 시장에서 30년 이상 입지를 공고히 다져온 알레르기질환 치료제의 대표 제품이다. 130여개 이상의 2022.11.21
삼성서울병원 권오정 교수·서울아산병원 이상도 교수 유한 결핵 및 호흡기학술상 수상
유한양행과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는 지난 20일 오후 서울 코엑스 아셈볼룸에서 '제26회 APSR 2022·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22년 정기총회' 시상식을 열었다. 이날 '제44회 유한 결핵 및 호흡기학술상'의 영예는 권오정 교수(삼성서울병원 호흡기내과)와 이상도 교수(서울 아산병원 호흡기내과)에게 돌아갔다. 권 교수와 이 교수는 각각 상패, 상금, 메달 등을 수여했다. 수상자인 권 교수와 이 교수는 탁월한 연구성과로 호흡기분야 의학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지난 1979년 유한양행과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가 제정한 '유한 결핵 및 호흡기학술상'은 매년 이 분야의 의학 발전에 공적이 두드러진 의학자에게 수여하는 시상제도다. 유한양행 측은 "40여년이 넘게 호흡기 학술 발전에 큰 기여를 해왔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국내 호흡기 분야 최고 권위의 학술상으로 자리잡았다"고 밝혔다. 2022.11.21
휴젤, 2023년 목표 내부 시스템·생산 능력 강화해 글로벌 수요 대응
휴젤은 지난 18일 창립 21주년 기념 온라인 타운홀 미팅을 진행했다고 21일 밝혔다. '2022년 휴젤이 만든, 2023년 휴젤이 만들 새로운 역사'를 주제로 진행된 이번 타운홀 미팅은 임직원들에게 올해 주요 경영 성과를 발표하고, 새해 사업 목표와 비전을 공유하는 시간으로 진행됐다. 손지훈 대표는 2022년 주요 성과로 '글로벌 영토 확장'을 꼽으며 휴젤이 글로벌 메디컬 에스테틱 마켓 리더로 성장하겠다는 비전에 한걸음 다가갈 수 있도록 각고의 노력을 다해준 임직원들에게 감사의 뜻을 전했다. 실제 휴젤은 올해 유럽 주요 11개국과 캐나다에서 보툴리눔 톡신 제제 보툴렉스의 품목허가를 획득하는 성과를 거뒀다. 브라질·대만·태국 등 기타 국가에서도 차별화된 현지 마케팅 전략으로 목표 대비 초과 매출을 달성했다. HA필러 브랜드 '더채움'이 중국에서 품목허가 획득 후 첫 선적을 개시하면서 휴젤이 중국 톡신과 필러 시장에 모두 진출한 국내 최초 기업으로 이름을 올렸다. 2023년 주요 목표 2022.11.21
한미사이언스, 헬스케어 부문 SCM 혁신…미래 물류시장 선도
한미약품 그룹 지주회사 한미사이언스는 IT 기반 SCM(supply chain management, 공급망 관리)을 토대로 헬스케어 분야 유통과 물류 혁신을 선도해 나갈 방침이다. 한미사이언스와 합병한 한미헬스케어는 생산부터 물류에 이르는 혁신적이고 최적화된 다양한 IT 솔루션을 제공해왔으며, 앞으로 한미사이언스는 IT 기반 SCM을 업계 전반으로 확대하는 데 주력할 계획이라고 21일 밝혔다. IT 기반 SCM은 공급망 단계 최적화로 수요 예측에서부터 생산까지의 정확성을 높이고 기업의 불필요한 비용을 줄여 이윤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혁신 기업이 갖춰야 할 최우선 순위 관리 시스템으로 꼽힌다. RFID 기반 솔루션은 한미헬스케어가 지난 2009년부터 구축해온 의약품 유통 혁신의 대표 모델이다. 비접촉 인식 기술인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한 공간에 적재된 모든 제품을 단 한번의 인식을 통해 이력 추적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미 2022.11.21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