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풍제약, 피라맥스 대규모 임상3상 시험계획(IND) 신청
[메디게이트뉴스 서민지 기자] 신풍제약이 피라맥스의 약물재창출 임상 2상에서 일차변수를 충족하지 못한 이유가 피험자수 부족이라는 판단 하에 대규모 임상 3상을 추진할 예정이다. 신풍제약은 지난 5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코로나19 치료제 피라맥스정의 대규모 임상 3상 시험계획(IND)을 신청했다고 공시했다. 해당 임상시험 제목은 경증 또는 중등증 코로나19(COVID-19) 환자를 대상으로 피라맥스정의 유효성 및 안전성을 비교 평가하기 위한 다기관, 무작위배정, 이중눈가림, 평행, 위약대조, 제 3상 임상시험이다. 임상 2상과 마찬가지로 3상에서도 위약과 비교해 유효성과 안전성을 확인할 예정이다. 임상시험 기관은 고려대 구로병원이며, 임상시험 대상자 수는 1238명이다. 기간은 내년 7월까지 1년간이다. 신풍제약 측은 "RT-PCR로 측정한 인비트로(in vitro) 약효 시험과 감염성 바이러스 감소 시험에서 피로나리딘과 알테수네이트 단독 처리 시 SARS-CoV-2가 효과적으로 억제됐 2021.07.06
대웅제약, 웨비나 통해 '나보타' 탈모 치료 사례 공유
대웅제약은 오는 7일과 21일 양일간 대웅 에스테틱 아카데미를 열고, 보툴리눔 톡신을 활용한 탈모 치료 사례에 대한 웨비나를 진행한다고 5일 밝혔다. 대웅 에스테틱 아카데미는 대웅제약이 국내 의료진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교육 프로그램으로, 미용성형 시술에 관한 다양한 주제로 온·오프라인 세미나 등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달에는 설문조사를 통해 의료진들이 가장 듣고 싶은 주제를 선정해 실제 현장에서 가장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번 세미나는 의료 전문 포털사이트 닥터빌에서 진행된다. 1회차(7일) 강의는 김진오 뉴헤어의원 원장이 성형외과와 피부과 의료진을 대상으로, 2회차(21일) 강의는 장태호 뉴헤어의원 원장이 전체 의료진들을 대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각 강의에서는 실제 개원가에서 탈모 환자에게 나보타를 3개월 이상 지속 시술한 결과에 대한 전후(before & after) 사진과 이에 대한 환자 만족도를 공유할 예정이다. 1회차 강의를 맡은 김진오 원장은 "탈모 치료 2021.07.05
휴온스, 삼성서울병원에 고집적 초음파 시스템 '엑사블레이트 뉴로' 설치
엑사블레이트 뉴로 국내 독점 공급사인 휴온스는 지난 5월 삼성서울병원과 고집적 초음파 시스템 '엑사블레이트 뉴로' 공급 계약을 체결하고 장비 설치를 위한 절차가 한창 진행 중이라고 5일 밝혔다. 이에 따라 오는 9월부터 삼성서울병원에서 엑사블레이트 뉴로(ExAblate Neuro)로 뇌질환 수술을 받을 수 있다. 엑사블레이트 뉴로는 이스라엘 생명공학 기업 '인사이텍(Insightec)'이 진단용이나 피부 미용에만 쓰이던 초음파를 뇌신경계질환의 치료에 접목해 개발한 최첨단 혁신 의료기기다. 두개골을 직접 열어야 했던 기존의 뇌수술 방식이 아닌 고집적 초음파(MRgFUS, Magnetic Resonance-guided Focused Ultrasound)를 이용해 뇌기능의 이상을 유발하는 특정 조직에 열을 가해 제거하는 '비침습적 무혈 수술 방식'을 사용한다. 출혈, 감염 등으로부터 위험이 없고 의료진이 수술을 하면서 자기공명영상(MRI)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술 부위를 모니터링해 오차 범 2021.07.05
차백신연구소, 면역증강제 활용한 차세대 항암치료제 개발 정부과제 선정
차바이오텍 계열사 차백신연구소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바이오 산업 핵심기술 개발사업' 정부과제의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고 5일 밝혔다. 과제 금액은 총 43억원 규모다. 차백신연구소는 공동연구개발기관인 차 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전홍재 교수와 한국화학연구원 부설 안전성평가연구소의 이병석 책임과 함께 '차세대 어주번트(Adjuvant, 면역증강제)를 활용해 면역관문억제제의 한계를 극복하는 개량형 의약품 개발' 연구를 진행한다. 면역관문억제제는 기존 항암제와 달리 우리 몸의 면역체계를 활용한다. 암 세포는 우리 몸의 면역을 역이용해 면역시스템의 공격을 피한다. 면역관문억제제는 암 세포에 속았던 우리 몸의 면역시스템을 다시 작동시켜 면역항암반응을 강화한다. 세포 독성이 없어 기존 항암제보다 효과 및 부작용 면에서 우월하다고 평가된다. 반면 30% 정도의 낮은 반응율을 보인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면역관문억제제의 반응률을 높이기 위해 병용약물을 사용한다. 차백신연구소는 독자개발한 2021.07.05
동화약품, 날부핀 장기 지속형 진통 주사제 국내 도입
동화약품은 대만 루모사社(Lumosa Therapeutics)와 장기 지속형 진통 주사제(Extended-release Analgesic Injection) 'LT1001'의 국내 도입 계약을 체결했다고 5일 밝혔다. LT1001은 세계 최초로 최대 7일까지 효과가 지속되는 장기 지속형 진통제다. 근골격계 및 개복술, 제왕절개 등 다양한 수술을 시행하기 24시간 전 근육주사로 투여하여 수술 후 통증 완화 목적으로 사용된다. 기존에 쓰이고 있는 통증 자가 조절법(PCA, Patient-controlled analgesia)에 비해 지속시간이 길다는 것이 장점이며 특히 수술 직후 퇴원 또는 재활치료가 필요한 환자들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LT1001은 높은 진통 효과를 가진 날부핀에 독자적인 제형 기술을 적용한 제품이다. 날부핀은 주사 후 혈중농도가 급격히 증가하여 메스꺼움, 구토, 어지럼 등의 부작용 발생이 우려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날부핀의 안전성을 크게 개선 2021.07.05
구주제약, 동국대 약대와 항암제 공동개발 추진
구주제약은 파나세아(대표이사 동국대학교 약학과 금영삼 교수)와 공동 신약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5일 밝혔다. 공동 개발의 대상이 되는 타겟인 NRF2는 정상 세포가 산화적 스트레스에 노출 시 자신을 보호하는 항산화 효소를 만들어내는 방어 기전의 중심에 있는 전사인자다.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암세포는 NRF2 활성을 통해 세포 증식 및 항암제 내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NRF2 저해제는 단독으로 암세포 사멸을 일으키거나 또는 기존 항암제들과 병용 투여 시 감수성을 증가시킬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NRF2 저해제는 새로운 기전의 신개념 항암제로써 혁신신약(First-in class)의 가치를 가지고 있다. 동국대 약학과 금영삼 교수는 NRF2의 세포 내에서의 역할과 작용기전 관련 연구에서 전세계적으로 선도적인 위치에 있는 연구자로서 인정받고 있으며, 구주제약과 함께 구조활성 상관관계를 연구해 선도물질을 최적화함으로써 1년 내에 전임상 시험에 진입할 후보물질을 도 2021.07.05
유비케어, 휴대 단말기 연동 EMR 작성 기술 국내 특허 획득
유비케어는 전자차트 작성 방법 및 전자 차트 작성 장치에 대한 국내 특허를 취득했다고 5일 공시했다. 이번 특허는 의료진이 소유하고 있는 휴대기기와 기존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연동하는 기술이다. 특허에 따르면, 단순 뷰어로만 활용하던 휴대용 단말기를 EMR의 새로운 입력 장치로 사용할 수 있게 돼 이용자의 차트 작성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의료진의 환자 진료 집중도를 강화할 수 있다. 병·의원 진료실에서 의료진이 태블릿, 스마트폰 등으로 진찰 내용을 작성하고, 환자는 그 내용을 함께 확인하며 상담할 수 있어 효율적인 환자 응대가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이상경 유비케어 대표는 "이 기술이 의료진의 EMR 사용성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며 "병·의원의 업무 효율성과 환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R&D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2021.07.05
SK케미칼, 로사르탄 저용량 코스카정25mg 출시
SK케미칼은 지난 2008년 선보인 고혈압치료제 코스카정(성분명 Losartan potassium)의 저용량 제품인 코스카정25mg을 발매했다고 5일 밝혔다. 코스카정은 고혈압 치료제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ARB계열 약물로 오랜 기간 많은 사용 경험을 통해 효과가 입증된 성분이다. ARB(Angiotensin Receptor Blocker)는 RAAS(Renin-Angiotensin-Aldosterone System)에서 angiotensin II가 type 1 receptor에 결합하는 것을 저해하는 약물로, Angiotensin II의 혈관 수축 작용을 억제해 혈관을 확장시키고 부신 피질의 aldosterone 분비 작용을 저해해 수분·염분의 재흡수를 차단함으로써 혈압을 강하시킨다. 기존 코스카정은 50mg와 100mg 밖에 없어 고령의 고혈압 환자와 고혈압을 동반한 신장애 환자가 복용하려면 50mg 제형을 반으로 나눠 사용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SK케미칼은 국내 최초로 2021.07.05
종근당, 중동 6개국에 바이오시밀러 네스벨 수출
종근당은 오만의 제약사 매나진(Menagene Pharmaceutical Industries)과 2세대 빈혈치료제 바이오시밀러 '네스벨'의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종근당은 매나진에 네스벨의 완제품을 공급하고 계약금과 개발 단계별 마일스톤을 받는다. 매나진은 오만을 비롯해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쿠웨이트, 카타르, 바레인 등 중동지역 6개국에서 네스벨 품목허가 후 독점 판매할 계획이다. 양사간 합의에 의해 계약 규모 등은 공개하지 않는다. 네스벨은 다베포에틴 알파를 주성분으로 하는 네스프의 바이오시밀러로, 만성신부전 환자의 빈혈치료에 효과적인 약물이다. 유전공학기술을 이용해 약물의 투여 빈도를 대폭 줄여 환자의 편의성을 개선한 2세대 지속형 제품으로 2019년 한국과 일본에서 출시됐다. 지난해 글로벌 제약사 알보젠의 아시아 지역을 담당하는 로터스와 수출 계약을 맺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대만, 베트남, 태국 등 동남아 3개국에서 허가를 진행 중이다. 2021.07.05
신풍제약 피라맥스 임상2상 결과 "위약군과 효능 차이 없어"
[메디게이트뉴스 서민지 기자] 말라리아치료제인 신풍제약 피라맥스가 지난해 약물재창출 방식으로 코로나19 치료제 임상2상을 시행했으나, 대조군과 효능을 비교했을 때 유의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신풍제약은 5일 코로나19 치료제 피라맥스(피로나리딘인산염과 알테수네이트복합제)의 국내임상 2상 시험의 톱라인(Top line) 분석 결과를 공개하고, 추후 후속 임상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2상 임상시험(SP-PA-COV-201)은 피라맥스의 임상적인 유효성과 안전성을 탐색하기 위해 국내 13개 대학병원에서 모집된 총 113명의 경증, 중등증의 코로나19 환자를 대상으로 위약대조, 무작위배정, 이중눈가림방식으로 진행했다. 전체 대상자 중 경증환자는 100명(88.5%), 평균연령은 52세였고, 피라맥스투여군(피라맥스군)과 대조군(위약군)으로 나뉘어 투여 후 28일까지 바이러스억제와 임상지표에 대한 효과를 관찰했다. 그 결과 유효성 평가에서 일차평가변수로 설정된 RT-PCR 진단키트기반 2021.07.05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