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의협 정책이사 "'각자도생' 상황이지만 의료계 산적한 문제 해결 위해 치열한 고민해야"
김민수 전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전 대한의사협회 정책이사)
[메디게이트뉴스 박민식 기자] 의정 갈등 과정에서 개원가와 의대 교수들의 역할이 아쉬웠다는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전 집행부의 지적이 나왔다.
박단 대전협 집행부에서 이사와 비대위원을 지낸 김민수 전 대한의사협회 정책이사(고대안암병원 내과 전공의)는 9일 대한의사협회 학술대회에서 ‘의료개악과 의정갈등, 젊은 의사들의 선택’을 주제로 발표에 나서 이같이 밝혔다.
김 전 이사는 “지난해 정부가 발표한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는 분명히 1차 의료를 공격하는 것이었다. 소신껏 진료하는 환경을 저해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내용들이었다”며 “하지만 충분히 대응하기 위해 단합했는가 하는 측면에서 많은 전공의들은 그렇지 않았다고 생각할 것”이라고 했다.
그는 이 부분을 언급하면서 지난 의정 갈등 과정에서 개원가가 사직 전공의들을 최저임금 이하에 저임금으로 고용하고 있다는 내용의 기사를 제시하기도 했다.
필정패 '1차 의료'에 치명적…정작 개원가는 사직 전공의 저임금 고용
김 전 이사는 “일각에선 (선배 의사들이) 젊은 의사들을 총알받이로 내세웠다는 식의 폭력적인 단어를 쓰기도 하지만, 그런 어휘를 동원하지 않더라도 의정 사태를 대하는 태도에 세대 간 차이가 있었던 건 사실”이라고 했다.
그는 수련병원과 의대 교수들에 대해서도 정부의 정책 강행을 막기 위해 최선을 다했는지 의문이라고 토로했다.
그는 “깊은 감정의 골이 봉합되고 있는 사제지간에 소금을 뿌리는 건 아닐지 조심스럽다”면서도 “평소 각종 의료정책들에 대해 의견을 내던 수련병원의 전문가 집단이 폭압적 정책 추진 과정에서 충분히 (정부를) 설득하기 위한 노력을 했는가 하면 그렇지 못했던 것 같다”고 했다.
이어 “관료제가 갖는 한계도 있겠지만, 충분히 설득하거나 모두가 비슷한 관점을 갖고 노력한 건 아니라는 아쉬움이 젊은 의사들 사이에 있다”며 “서로 일에 너무 치였던 탓이기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의대 교수들도 '폭압적 정책' 뒤바꿀 설득 노력 부족
그는 또 “물론 (교수들에게) 도움을 받은 경우들도 있지만, 내부에서조차 의견이 통합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며 “PA 법제화 논의 과정에서 전문위원회에 참여했던 경험에 미뤄봤을 때, 그 테이블에 올라온 (교수들의) 논리는 썩 유쾌하지만은 않았다”고 했다.
이어 “그러다 보니 투쟁에 지친 일부 사직 전공의들은 전문의를 빨리 따려고 복귀하기도 했고, 일부 전공의들은 사제간 신뢰의 영역이어야 하는 일터의 문제들을 전공의법에 의존하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김 전 이사는 지금 의료계는 ‘각자도생’의 상황이 됐다면서도 산적한 문제들에 맞서기 위해선 봉합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그는 “감정의 골을 봉합하는 건 일방의 노력만으론 안 된다. 양쪽에서 신뢰 회복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며 “이를 통해 새롭게 관계를 정립하면 기존과 다른 새 방식의 유대관계 성립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어 “얼마 전에 임시대의원총회가 있었고, 범투위도 구성됐다.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보다 더 큰 문제들이 산적해 있다”며 “각자도생의 시기인 건 맞지만 세대 간, 직역 간의 유대를 지키려면 각자의 자리에서 어떤 일을 할 수 있을지 치열하게 고민해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