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생 입장에서 본 음주, 폭력, 은폐 문제…술에 관대한 문화부터 고쳐야
의대 시절부터 폭력 가해자 정학 등 처벌 강력해야
[메디게이트뉴스 신재민 인턴기자·계명의대 본2] 23일 국가인권위원회 배움터에서 의과대학 학생들의 인권개선을 위한 토론회가 개최됐다. 의과대학 학생들의 인권상황 실태조사 결과,개선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의대협,전공의협의회,인권위,교육부, 보건복지부가 모였는데 공감 가는 이야기들이 많았다. 음주, 폭력, 그리고 은폐로 이어지는 구조가 너무 공고하다는 의견이 가장 인상 깊었다. 내가 생각하기엔 의과대학이 그 첫단계인 음주를 많이 할 수 밖에 없는 구조이기 때문이라고 본다. 지방에 있는 의과대학들은 타지에서 학생들이 많이 온다. 자연스레 가족과 떨어져 혼자 있는 시간은 길어지게 마련인데, 이런 경우는 술로 시간을 많이 보내게 된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선배가 후배를 술자리에서 부르는 일이 잦은 편이다. 보건복지부의 권근용 사무관은 “이런 잦은 술자리는 집단의 에너지가 올바르지 못하게 분출되지 못한 형태”라고 표현했다. 긍정적인 방향으로 스트레스들이 해소되기 위해서는 우선 학교 차원에서 노력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