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압사사고 생존자, 하반신 마비에 근육괴사까지 진행됐지만 완쾌된 이유는?
횡문근융해증·다발성 말초신경병증, 회복 어렵지만…압박시간 짧고 나이 어려 예후 좋아
[메디게이트뉴스 하경대 기자] 지난해 10월, 159명이 숨진 이태원 압사사고에서 생존한 중환자들은 어떻게 살고 있을까.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당시 압사사고로 196명이 부상을 입었는데 이 중 31명은 중상으로 분류돼 병원 치료를 지속적으로 받았다. 중앙대학교병원 김두환 재활의학과 교수 연구팀이 지난 24일 대한의학회지(JKMS)에 발표한 '이태원 압사사고 생존자 사례 보고서'에 따르면 압사사고 생존자 A씨(27세, 여)는 횡문근육해증이 심각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횡문근융해증은 근육이 괴사되면서 세포 안에 있는 근육 성분이 혈액으로 방출되면서 나타나는 증후군이다. 근육 세포에서 나오는 크레아티닌 키나아제(Creatinine kinase)와 같은 근육 효소의 혈중 농도가 상승하고, 근육 통증이 있으며 소변에서는 근육세포에서 나오는 미오글로빈이 나오는 것이 특징적이다. 상태가 심각할 경우 급성 신손상, 전해질 불균형, 근육 효소가 심하게 상승해 생명을 위협하기도 한다. A씨는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