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18.10.10 09:55최종 업데이트 18.10.10 10:52

제보

"문재인 케어 재정지출 목표 대비 54.6%만 집행"

[2018 국감] 윤소하 의원 "보장성 강화 위해 예비급여의 급여화 빠른 추진 필요"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메디게이트뉴스 윤영채 기자] 문재인케어의 목표 대비 집행률이 저조해 보다 빠른 추진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윤소하 의원(정의당)은 10일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윤 의원은 "정부는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발표 당시 2022년까지 총 30조 6164억 원의 재정이 필요하고 제도 시행 첫 해인 2017년 4834억 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했다"라며 "전년도 지속사업인 3대 비급여 지원항목인 간호간병통합서비스 1401억을 제외하면, 문재인케어 사업 1년 차 실지출계획은 3433억원 이었던 셈이다"라고 분석했다.

윤 의원은 "그러나 2017년 건강보험보장성 강화 정책에 따라 건강보험료가 추가 소요된 지출은 총 6개 항목 1875억 원으로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제외하고 추산대비 54.6%의 집행에 그쳤다"라며 "이는 박근혜 정부 마지막 해인 2016년 보장성 강화 지출 집행률이 79.6%와 비교했을 때 크게 밑도는 수치다"라고 전했다.

정부는 2017년 4834억원, 2018년 3조7184억원, 2019년 5조590억원, 2020년 6조922억원, 2021년7조1194억원, 2022년 8조1441억원 총 30조 6164억원의 재정소요 계획을 세웠지만 실제 사업 첫해인 2017년 실 지출액 규모는 1875억 원에 그쳤다는 지적이다. 윤 의원은 "물론 작년 치료분에 대한 병원의 급여신청이 완료된 것은 아니라서 향후 일부의 지출이 추가될 수 있지만 분명한 것은 계획대비 너무 낮은 지출액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사진: 윤소하 의원실 제공
 
문재인 케어로 불리는 현 정부의 건강보험보장성 강화의 핵심 방향은 세 가지였다. 첫째 노인, 아이 등 의료취약계층에 개인부담을 줄이고 둘째 가계경제를 붕괴시킬 수 있는 재난적 의료비를 지원하며 셋째 3600개의 비급여항목에 대해 예비급여 형태를 거쳐 건강보험을 적용하여 국민 의료비 부담을 줄이겠다는 것이었다.

윤 의원은 "재난적 의료비의 경우 지원할 수 있는 법적 제도를 구비하는 과정에서 첫 해 재정계획은 포함되지 않았고 취약계층의 본인부담률 감소를 위해서는 이미 구체적인 실행에 나섰다"라며 "그럼에도 문재인 케어가 본래 궤도에 오르지 못하고 있는 핵심 문제는 가장 큰 지원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3600개 비급여항목의 급여화 정책이 난항을 거듭하고 있다"고 말했다.
 
윤 의원에 따르면 실제 2017년 추진된 6개 항목의 사업을 세부적으로 보면, 중증치매산정특례 본인부담 완화로 35억원, 아동입원진료비 본인부담 완화 445억 원, 아동치아홈메우기 본인부담 완화 57억원, 노인틀니본인부담 완화로 526억 원이 실 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비급여의 급여화 항목으로는 예비급여의 급여화, 약제선별 급여 등으로 2098억 원이 예측됐지만 실제 2018년 1분기까지의 급여지출액은 38.7%인 812억 원에 그친 것이다.

윤 의원은 “문재인 캐어 발표 1년 건강보험보장성 강화 대책의 핵심인 비급여의 급여화가 의료계에 반대 등에 부딪쳐 진행이 늦어지면서 본래의 목표대로 시행되기 어려워지는 것이 아닌지 국민들은 우려하고 있다"라며 “무엇보다 문재인 케어가 본래 궤도에 빠르게 안착하기 위해서는 비급여의 급여화가 원 계획대로 최대한 빠르게 추진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전했다.

윤영채 기자 (ycyoon@medigatenews.com)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