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대의원총회] 홍순철 대의원 "협회가 의대생 법적 소송 지원하는 것 잘못" VS 김택우 회장 "미래 회원, 문제될 것 없어"
홍순철 대의원(대한의학회, 고려의대 교수).
[메디게이트뉴스 하경대 기자] 27일 대한의사협회 정기대의원총회 과정에서 의대생 복귀 문제를 둘러싸고 갑론을박이 이어졌다.
시작은 의대생 제적과 휴학 등 학사적 불이익에 대응하기 위해 의협이 법률 자문 등 지원 대책을 강화해야 한다는 감사단 권고사항이었다.
해당 권고에 홍순철 대의원(대한의학회, 고려의대 교수)은 "의대생은 의사도 의협 회원이 아니다. 그동안 의협은 의대생들이 성인이니 스스로 의사결정을 한다는 입장만 냈다. 지금 상황에선 앞으로 의대생 교육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협도 잘 알고 있다"그런데 의대생들에게 문제가 됐을 때 법적 소송을 의협에서 지원하는 것을 감사 수임사항에 포함시키는 것은 고민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홍 대의원은 "개인적으로 의대생들이 지금 복귀해야 할 시점이라고 생각한다. 의협에서 의대생 관련 입장을 명확히 했으면 한다. 의협이 계속 의대생들을 방패막이로 쓸 것인가"라고 비판했다.
의협 김택우 회장.
강도 높은 비판이 나오자 김택우 회장이 해명을 위해 직접 나섰다.
김택우 회장은 " 의대생들은 성인이고 이 사태에서 스스로의 의지를 갖고 나왔다. 특히 향후 미래 의협 회원으로서 공동의 방향성에 대해 공감했기 때문에 (나온 것이다.) 의대생들이 회원이 아니라고 해서 법률 지원하지 말라는 것은 부당하다"고 해명했다.
김 회장은 "의대생 뿐만 아니라 회원이 아니라도 의협 정책과 방향성이 같다면 법률 지원을 해왔다"며 "의대생 복귀와 관련해선 이들이 자발적으로 나온 것이다. 의협이 학생들에게 복귀하라고 해도 이들이 복귀할 명분이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복귀 명분을 우리 어른들, 선배들이 찾아줘야 한다. 찾아주는 과정에서 학장, 교수, 의협, 전공의들이 각자 생각이 다른 부분이 있어 서로간 마찰은 있었다. 그러나 학생들이 수업에 복귀하고 정상적인 절차를 거쳐 의사가 돼야 한다는 공감대가 있다. 현 시점에선 서로에 대한 배려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방패막이'라는 과격한 표현을 자제해달라는 얘기도 나왔다. 김 회장은 "방패막이라는 표현은 과하다. 절대 의협이 의대생, 전공의들을 방패막이로 써서 목적이나 결과를 이뤄내겠다는 생각은 없다. 그런 표현들은 내부적으로 자제해달라"며 "대선 전에 문제를 풀기 위해 협회는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