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계류중인 '지역의사제' 법안 대폭 수정?…복지부·기재부·교육부 모두 '부정적'
기본권 제한 요소 있어 충분한 논의 필요…예산 지원 태클에 학생 선발 형평성 지적까지
진료비 지불제도의 허상 ‘궁즉변’ 아닌 ‘궁즉망’ 걱정해야
정책 정책 [칼럼] 안덕선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원장·고려대 의대 명예교수
분만장과 모든 의료현장은 범죄현장이 아니다
정책 정책 [칼럼] 황규석 서울특별시의사회장
분만병의원협회 "일본 모델 따라 분만 과정 소송 근절 안 하면 한국 '출산난민' 발생"
정책 정책 불가항력적 분만 사고 기소 행위 즉각 중단…일본 모델 차용해 국가 차원 제도적 보상 체계 시급
17일 파업 예고, 국립대병원 노조들 "의료대란으로 병원 적자 2배↑…전공의 복귀로 PA 토사구팽"
정책 정책 11개 국립대병원 2024년 5639억원 적자를 기록… 2023년 적자액 2847억 대비 96% 증가
전남지사, '국립의대 신설' 요청…정은경 장관 "필요성 공감"
정책 정책 김영록 지사 15일 정은경 장관과 면담…"내년 2월까지 신설 정원 포함 2027년 정원 규모 확정해달라"
산부인과 의사들 "신생아 뇌성마비, 의료진 과실로 6억 배상 판결…집에서 분만하는 시대 올 것"
정책 정책 무과실 분만사고 보상금 현행 3000만원에서 10억원 상향…의료기관 영업방해 근절하고 수가 정상화 필요
제약바이오 (1/2)
국내외 제약.바이오 뉴스를 심층적이고 발 빠르게 전달해드립니다.
전체보기
명인제약 이행명 대표 "비상장사라는 이유로 글로벌 진출과 인재 확보에 어려움 겪어"
"성장과 신뢰를 위한 것" 승계 의혹 일축…전문경영인체제 도입, 펠렛 공장 신·증축, 신약 출시 등 통해 CNS 분야 글로벌 1위 도약
[미래 헬스케어 트렌드] 네이버클라우드 유한주 랩장 "의무기록 작성 자동화에 건강관리 에이전트까지"
"의무기록 요약 및 챗봇 환자 이송에 적용, 병동 에이전트 등 환자 경험 개선과 간호사 업무 보조에서 새로운 생태계 구축"
10년간 1조원 실적 부풀린 일양약품…금융당국 검찰 통보
비연결 중국법인 편입으로 과대 계상…증선위, 대표이사 및 임원에 해임 권고·직무정지 6개월 조치
"우리는 신약 개발 레시피를 다시 쓰는 중"…암젠과 로슈는 AI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을까
암젠, 단백질 언어 모델 개발해 분자 예측…로슈, 공정 수율 높여 효과적으로 공급망 관리
개원의가 많이 본 기사
의대 교수가 많이 본 기사
유한재단, 북한 출생 대학생 대상 장학금 수여
총 5억원 규모, 북한 출생 대학생 100명 안정적 학업기반 도움 위해 전달
단신
병원·기업·의료계 단체들의 다양한 활동과 실시간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GE 헬스케어, 종로노인종합복지관서 시니어 지원 위한 임직원 봉사 활동 진행
풍림무약, '2025 우수승계기업' 중소기업중앙회장상 수상
원산협 "과거 회귀적 '비대면진료' 규제 강력 반대"
5년 간 1260만 건 시행했지만 별다른 문제 없어…과도한 규제로 기술 주도권 상실 우려
유한양행-휴이노 '메모큐' 판매 계약 MOU 체결…디지털 헬스케어 경쟁력 강화 나선다
제품 단위에서 솔루션 단위 확대…웨어러블 기반 환자상태 실시간 모니터링, 국내 병원망에 구축하는 첫 걸음
'키메스 부산 2025', 지역의료분권포럼과 함께 오는 26일 부산 벡스코서 개막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창립 38주년 기념 '글로벌 홍보관' 리뉴얼 실시
쓰리빌리언, 'AWS 퍼블릭 섹터 데이 2025'서 AI 유전체 해석 SaaS 구축 사례 발표
개인별 전장유전체 100~200GB 데이터 안정적 처리… 빠르고 정확한 희귀질환 진단 서비스 실현
루닛, 프랑스 최대 공공의료 조달기관 '유니하' 정부입찰 수주
프랑스 1500개 이상 공공병원에 유방암 AI 진단 솔루션 다수 공급
에이슬립, 세계 최대 수면학회 '월드슬립 2025'서 연구성과 8편 발표
입셀, 오노약품공업과 iPSC 기반 효능평가 서비스 협력 개시
존슨앤드존슨 메드테크, 부정맥 분야 국제공인 자격 'IBHRE' 신규 합격자 배출
토큐
메디게이트뉴스를 포함해 여러 매체에서 화제가 된 내용을 한 눈에 보여드립니다.
의대증원 놓고 의∙정 갈등 최고조
정부가 발표한 의대증원,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에 의료계 반발이 거세다. 전공의들이 사직하고, 의대생들이 휴학하는 가운데 정부가 강경 대응 기조를 이어가면서 의∙정 갈등이 최고조에 이르고 있다. 박민식 2024.02.21
의대증원 의∙정 강대 강 대치 장기화
정부가 2025학년도부터 의대 정원을 2000명 증원하겠다고 밝힌 뒤로 전공의와 의대생을 필두로 정부에 강력 반발하고 있다. 정부는 한 달이 넘도록 이어지는 의료계의 반발에도 연일 강도를 높여가며 의료계를 압박하고 있다. 조운 2024.03.19
이재명 서울대병원 전원 논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최초 이송된 부산대병원이 아닌 서울대병원으로 이송·수술을 받아 논란이 일었다. 특히 최근 공공의대법, 지역의사제 통과에 힘썼던 민주당의 대표인 만큼 그의 이송 소식은 의료계의 공분을 샀다. 이지원 2024.01.12
전체 뉴스 순위
의사를 위한 맞춤 기사
제약 중심 맞춤 기사
의료 중심 맞춤 기사
칼럼/MG툰
[디지티의 미국의사일기] 전공의의 시간은 빠르...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