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 신축했지만 증원된 110명+휴학생 교육 어려워…교육 커리큘럼 혼선·정치적 불안 요소도
울산대 의과대학 전경. 사진=울산대학교
[메디게이트뉴스 하경대 기자] 울산의대의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의평원) 불인증 판정과 관련해 의료계 내 관심이 뜨겁다.
울산의대는 국내 가장 큰 빅5병원인 서울아산병원을 협력병원으로 두고 있는 우리나라 대표 의대이기 때문이다. 이에 울산의대가 왜 의평원 주요 변화 평가에서 불인증을 받았는지 이유에 대한 이목이 쏠리고 있다.
14일 메디게이트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울산의대 의평원 불인증 판정은 여러가지 이유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증원된 인원을 수용하기에 시설이 부족하다는 것이 결정적 원인으로 알려졌다.
울산의대는 신입생 등 의대 예과 학생들을 지방 본교에서 수업할 수 있도록 미래 메디컬캠퍼스 혁신파크를 최근 한마음회관에 신축했다. 1∼2층에는 의과학대학원과 의과대학 교육·연구 시설이, 3∼4층에는 의과학대학원과 의료혁신센터(COMPaaS-Ulsan), 기술사업화 시설 등이 마련된다.
그러나 해당 건물과 관련 시설이 정부의 의대정원 증원 정책 이전에 추진되다 보니 새로 증원된 110명을 모두 수용하기 역부족이라는 점이 지적됐다.
특히 휴학한 학생들까지 한꺼번에 복학하게 될 경우 사실상 정상적인 교육이 불가능할 것이라는 게 의평원 내부 견해다. 즉 늘어난 정원에 휴학생까지 모두 수용할 장소와 시설이 뒷받침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울산의대 A 교수는 "기초 교수 등 교육 인력은 서울에서 내려보내면 어떻게든 지도할 수 있다고 치더라도 물리적인 장소와 시설이 부족한 상태다. 예과생 등을 받기 위한 교육관은 신축됐지만 애초에 기존 40명 정원에 맞춰서 지어졌다. 이번에 의대증원이 진행되며 좀 더 규모를 늘렸다고 하지만, 증원된 110명에 휴학생까지 더해 150명 수용은 불가한 상태"라고 전했다.
이와 함께 의대 교육 커리큘럼 혼선 역시 문제로 꼽혔다. 코로나19 당시 비대면 교육 전면 전환과 최근 울산의대 이전 교육, 학생 연속 휴학 등이 겹치며 교육과정 개편이 아직 진행 중이라는 것이다.
정원이 크게 늘면서 실행이 불확실해진 커리큘럼도 존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울산의대는 최근 울산과학기술원(UNIST)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해 '의과학AI', '뇌인지공학개론' 등 7개 과목을 개설해 진행했다. 그러나 수용 정원이 늘어나며 연계 커리큘럼 계획에 수정이 불가피해진 것이다.
A 교수는 "UNIST와 함께 하는 교육 과정이 최근 큰 인기를 끌고 관심도가 좋았다. 그러나 정원이 갑자기 크게 늘면서 해당 커리큘럼 자체가 혼란한 상황이다. 최대 60명까지만 받아줄 수 있다는 얘기가 있어 과목의 정상적인 진행이 불확실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정치적 요인'이 작용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다른 울산의대 B 교수는 의평원 불인증과 관련해 "예산 문제나 여러가지 정치적 이슈 등이 얽혀 있다"고 말했다.
교육부는 2021년부터 울산의대 측에 시정 명령을 통해 울산 본교 수업을 늘리도록 요구했지만 제대로 이행되지 않았다.
이에 울산의대는 예과생 등 교육을 위해 새로 건물을 신축했지만 이 과정에서 정부의 융자 지원이 아닌 140억원 직접 지원을 받았다는 특혜 논란이 불거졌다.
해당 문제는 지난해 10월 국회 교육위원회 국정감사에서도 지적됐다. 당시 조국혁신당 강경숙 의원은 "울산대는 2022년 예과 학생 수업을 위한 건물을 짓겠다고 하더니 2023년 9월 울산대는 글로컬 대학 실행 계획서를 내면서 미래 메디컬 캠퍼스 혁신 파크로 이름만 바꿔서 끼워넣다. 두 사업이 예산도 140억원으로 유사하다"며 "결국 사립 지방의대 이전을 위해 국민 혈세 140억원이 투입된 꼴"이라고 꼬집었다.
강 의원은 또 "다른 사립의대들은 의대증원이 이뤄지면서 의학 교육 여건 개선을 위해 국립대처럼 직접 지원이 아닌 융자 지원만 이뤄진다. 그런데 왜 울산의대만 특혜를 받아야 하느냐"고 비판했다.
결국 의대 공간 조성에 글로컬대 예산을 쓰려했다는 이유로 울산대는 최근 지원 예산 58억원을 받지 못하게 됐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