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바이오 전문기업 씨앤팜이 29일 열린 글로벌 바이오 컨퍼런스(GBC 2018)에서 항암신약 후보물질 CP-727의 유효성 평가 및 전임상 결과를 발표했다.
씨앤팜 발표에 따르면 CP-727은 체내에 독성을 끼치지 않는 '최대 무독성 용량(NOAEL)' 내에서 환자에게 고통을 주지 않고 암을 치료한다.
현재 처방되고 있는 항암제들은 암 치료를 위해 최대 무독성 용량의 수십 배에 달하는 용량을 사용하고 있다. 췌장암 등에 쓰이는 대표적인 항암제인 아브락산(성분명 냅-파클리탁셀)은 최대 무독성 용량의 약 40배, 난소암 치료에 쓰이는 탁솔(성분명 파클리탁셀)은 약 30배 용량이 투여된다.
씨앤팜은 "'무(無)고통 항암제(Pain-free Cancer Drug)'라 불리는 CP-727은 유방암과 폐암 등 다양한 암 치료에 사용되는 도세탁셀과 무기 고분자를 결합시킨 것으로, 혈중 약물 방출이 최대 3%에 그칠 정도로 낮아 독성이나 부작용을 거의 일으키지 않는다"면서 "반면에 체내 장기순환을 통해 암조직을 찾아가는 선택성은(TTR) 비 암조직에 비해 10배 이상 높다"고 설명했다.
CP-727은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 연구개발사업 국책프로젝트'의 지원을 받아 전임상전문기관 켐온, 이화여대 약학대학, 서울아산병원 등에서 유효성과 최대 무독성 용량 확인을 마쳤다. 전임상 중간결과는 지난해 7월 SCI급 학술지인 'International Journal of Nanomedicine'에 게재됐다.
씨앤팜 손연수 연구소장(대한화학회장)은 "항암 치료시 겪는 통증은 항암제의 독성 때문이며, 또한 이 독성으로 인해 충분한 용량을 투여하지 못해 결국 암의 전이나 내성 등이 발생한다"면서 "무고통 항암제가 사람 중심, 환자 중심의 암치료 시대를 활짝 열 것이다"고 말했다.
씨앤팜은 이번 유효성 평가와 전임상 결과 발표에 이어 곧 임상기관(CRO)을 선정해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임상 허가신청(IND)을 할 계획이다. 적응은 도세탁셀의 유방암, 위암, 폐암, 전립선암 등 8개 대상 암 가운데 난치암인 췌장암을 대상으로 글로벌 임상 1/2a에 들어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