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25.11.26 12:57최종 업데이트 25.11.26 13:08

제보

[단독] "日은 구급대가 이송 병원 결정한다"? 확인해보니 사실과 달라

우리나라처럼 수용 가능 여부 확인 위해 병원들에 전화 돌려…국회입법조사처 보고서 내용 '오해' 소지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메디게이트뉴스 박민식 기자] 국회입법조사처가 최근 '일본은 구급대가 이송병원을 직접 선정한다'는 내용이 담긴 보고서를 내놨지만, 이는 사실과 다른 것으로 확인됐다. 일본도 구급대원이 직접 여러 병원에 전화를 걸어 환자 상태를 설명한 다음 수용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있으며, 향후 환자 상태를 알 수 있는 사진이나 영상 정보를 올리면 의료기관이 수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전국적으로 도입할 계획이다.  
 
26일 메디게이트뉴스가 더불어민주당 양부남 의원실로부터 받은 국회입법조사처의 ‘119병원 이송 관련’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은 구급대원이 현장에서 환자를 분류해 가장 적합한 의료기관을 선정해 이송한다고 명시돼 있다.
 
구급대원이 일방적으로 이송할 병원을 결정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지만, 일본 후생노동성이 지난 3월 발표한 ‘응급의료 정보 연계 플랫폼 모델 사업’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도 구급대원이 병원에 수용 가능 여부를 직접 확인해 환자를 이송하고 있다. 국회입법조사처 보고서 내용과 달리 일본 응급 이송체계도 우리나라와 유사한 셈이다.
 
특히 후생노동성은 해당 보고서에서 구급대원이 환자 상태를 알 수 있는 사진, 영상 등의 정보를 올리면 다수의 의료기관이 동시에 확인 후 수용 여부를 결정하는 플랫폼을 전국적으로 도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일부 지역에서 실증 사업을 실시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전국에 확대 적용하겠다는 것이다.
 
후생노동성은 이 같은 플랫폼 도입의 배경으로 기존 응급환자 이송 병원 결정의 문제점을 언급했다. 일본도 현재는 이송 병원을 결정할 때 구급대가 여러 병원에 반복적으로 전화를 걸어 환자 상태를 설명해야 하고 실제 수용하는 병원이 결정될 때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일본은 구급대원이 수용 가능 여부를 병원에 전화해 일일이 확인해야 했던 문제를 해결하고자 전국적으로 플랫폼 도입을 계획하고 있다. 자료=일본 후생노동성

이에 후생노동성은 환자 상태를 다수의 의료기관에서 동시에 확인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해 이송 병원 선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해당 플랫폼을 통해 사진, 영상 등의 데이터도 공유가 가능한 만큼, 구급대원의 설명에만 의존하는 것보다 환자 분류 측면에서도 질 개선을 기대하고 있다.
 
다만 실증 사업 결과에 따르면, 병원 결정에 소요되는 시간 단축 효과는 제한적이었다. 대신 플랫폼 등에서 사진 등의 자료를 공유할 수 있어 환자 정보 전달과 병원의 환자 수용 준비 측면에서는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응급의학의사회 이형민 회장은 “애초에 응급의료법으로 이송 전 병원의 수용 가능 여부를 확인하도록 했던 이유가 환자가 골든타임 내에 최종치료를 받을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였다”며 “(수용 가능 여부 확인 없이) 구급대가 일방적으로 이송하면 이송된 환자도 위험하고 해당 응급실에서 치료받고 있던 다른 환자들도 위험해진다”고 했다.
 
이어 “구급대 입장에선 아무래도 부담을 덜기 위해 상급종합병원을 더 찾게 될 것”이라며 “결국 상급 병원 응급실의 과밀화도 더 심각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박민식 기자 (mspark@medigatenews.com)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