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드팩토 "뼈 질환 치료 신약, 관절염 치료 효과 확인"
메드팩토는 미국류마티스학회 2023(ACR, the American College of Rheumatology 2023)에서 뼈 질환 치료제 신약 후보물질 ‘MP2021’의 전임상 데이터를 포스터 발표했다고 15일 밝혔다. MP2021은 류마티스 관절염, 건선 관절염, 골다공증 등 뼈 질환과 자가면역질환을 표적하는 신규 후보물질로, 메드팩토가 개발중인 항암 신약 ‘백토서팁’에 이은 차기 파이프라인이다. 인간 뼈 골수에 있는 파골세포는 분화를 거쳐 다핵 파골세포를 형성한다. 이 다핵 파골세포는 뼈를 갉아먹으면서 류마티스 관절염, 골다공증 등 뼈 질환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된다. MP2021은 다핵 파골세포 형성 및 흡수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단백질을 타깃한다. 염증을 억제하는 기전을 중심으로 한 기존 치료제와 달리, MP2021은 염증 억제 효과와 더불어 뼈를 파괴하는 다핵 파골세포의 형성을 근본적으로 막아 골 손실을 억제한다. 이번에 공개된 전임상 데이터에서 MP2021은 콜라겐 유 2023.11.15
위고비가 심장 건강에 주는 이점은…비만 환자의 심혈관결과·심부전 최신 데이터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노보 노디스크(Novo Nordisk)가 SELECT 임상시험의 초기 연구 결과를 공개한 지 3개월 만에 추가 데이터를 발표하며 위고비(Wegovy, 성분명 세마글루티드)의 심혈관 혜택 근거를 더했다. 미국심장협회(AHA 2023)에서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위고비는 주요 심혈관계 사건(MACE) 위험을 20% 줄였고, 심혈관 평가변수 전반에서 유익한 효과가 일관되게 나타났다. 앞서 유럽심장학회(ESC 2023)에서 발표된 연구결과에서는 심부전 관련 증상과 신체 기능을 개선시켰다. 15일 메디게이트뉴스는 SELECT 임상시험과 함께 최근 발표된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위고비의 심혈관 혜택 데이터를 살펴봤다. 위고비는 주 1회 주사하는 GLP-1 수용체 작용제로, 체중 감량 및 체중 유지를 포함한 체중관리를 위한 칼로리 저감 식이요법 및 신체 활동 증대의 보조제로 국내외에서 허가를 받았다. SELECT: 비만약으로는 처음으로 심혈관 위험 줄여, 2024년 적 2023.11.15
에스티팜, mRNA백신 'STP2104' 임상1상 중간 결과 발표
에스티팜은 국립보건연구원 국립감염병연구소로부터 수령한 COVID-19 mRNA백신 ‘STP2104’의 임상1상 중간 결과를 14일 발표했다. STP2104는 에스티팜의 자체 특허 플랫폼기술인 스마트캡을 사용해 캡핑효과와 전사효과를 향상시킨 코로나19 mRNA백신이다. 글로벌 임상을 통해 이미 안전성이 검증된 지질나노입자(LNP)를 mRNA 전달체로 사용하고 있다. 플라크억제시험법(PRNT, plaque reduction neutralization test)으로 총 120건의 검체를 분석한 결과에서 STP2104는 4주 간격으로 2회 기초접종한 후 4주째 형성된 중화항체의 역가가 접종 전보다 22.8배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STP2104의 중화항체 역가는 화이자-바이오엔텍의 코로나19 mRNA 백신과 비교해 동등 이상의 결과를 확인했다. 2021년 6월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게재된 논문(BNT162b2-elicited neutralization of B.1.617 and other 2023.11.14
일본 식품 대기업 아지노모토, 미국 유전자치료제 CDMO 828억엔에 인수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일본 식품 대기업 아지노모토(Ajinomoto Co.)가 미국 유전자 치료제 위탁개발생산기업(CDMO)을 인수하며 차세대 치료제 분야에 진출한다. 1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아지노모토는 최근 포지 바이오로직스(Forge Biologics)를 828억 엔(약 7300억원)에 인수한다고 밝혔다. 포지는 바이러스 벡터와 플라스미드 CDMO이자 임상단계에 있는 치료제 개발 기업이다. 2020년 설립됐으며, 1억2000만 달러를 투자 받아 생산 능력을 확장하고 인력을 3배로 늘렸다. 오하이오주 콜럼버스에 2만 평방피트 규모의 cGMP 시설을 가지고 있으며, 직원이 300명 이상 근무하고 있다. 아지노모토는 일본의 아미노산과 조미료 기반 식품 대기업으로, 2022년 기준 매출은 1조3591억 엔에 달한다. 의료용 식품과 재생의학용 세포배양배지, 항체약물접합체(ADC) ,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약물 등 전략적 사업분야로의 확장을 통해 기업 성장을 모색하고 있다. 아지노 2023.11.14
셀트리온, 미국 학회서 졸레어 바이오시밀러 CT-P39 글로벌 3상 결과 발표
셀트리온이 12일(현지시간) 미국 알레르기 천식 면역 학회(ACAAI 2023, American College of Allergy, Asthma and Immunology)에서 알레르기성 천식, 만성 특발성 두드러기 치료제 졸레어(XOLAIR, 성분명 오말리주맙) 바이오시밀러 'CT-P39'의 글로벌 임상 3상 결과를 발표했다. 올해 81회를 맞이한 ACAAI는 미국의 저명한 알레르기, 천식 및 면역 학회로 이달 9일부터 13일까지 닷새간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열리며 온라인에서도 동시에 진행된다. 셀트리온은 폴란드, 불가리아 등 총 6개국에서 만성 특발성 두드러기(Chronic Spontaneous Urticaria) 환자 619명을 대상으로 첫 투약 후 40주간 임상을 진행했다. CT-P39 투여군과 졸레어 투여군으로 나눠 각각 300mg, 150mg 용량별 투약 임상을 진행했으며, 300mg 투여군에서 베이스라인(Baseline) 대비 12주 차에서 주간 간지럼 점수 값(ISS7, 2023.11.13
AI 신약 벤처 '온코크로스', 145억원 프리 IPO 투자유치
온코크로스가 코스닥 상장 예비심사청구를 앞두고 프리 IPO(상장 전 지분투자) 투자를 통해 145억원의 연구개발 및 운영자금을 유치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프리 IPO 투자에는 인터베스트, 에스티캐피탈, 모루자산운용, 패스파인더에이치 등 기관투자자들이 재무적 투자자(FI)로 참여했으며 온코크로스와 공동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동화약품도 전략적 투자자(SI)로 투자를 단행했다. 온코크로스는 7월 기술성 평가에서 ‘A, A’ 등급을 받으며 기술특례상장 자격을 갖췄다. 내년 상반기 상장을 목표로 한국거래소에 상장예비심사청구를 신청할 계획이다. 2015년 설립된 온코크로스는 인공지능(AI) 신약개발 플랫폼을 바탕으로 제일약품, 대웅제약, 동화약품, JW중외제약, 보령 등 국내외 제약회사 및 바이오텍들과 공동으로 신약을 연구개발하는 바이오벤처다. 이번 프리 IPO 투자를 통해 확보한 자금으로 올해 초 호주에서 글로벌 임상 1상을 완료한 노인성 근감소증 치료제(OC514) 및 심근 2023.11.13
아스트라제네카, 중국 에코진과 20억달러 계약…차세대 경구용 GLP-1 비만약 개발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릴리(Eli Lilly and Co)의 GLP-1 비만약 젭바운드(Zepbound, 성분명 터제파타이드)가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를 받으며 노보 노디스크(Novo Nordisk)의 위고비(Wegovy, 성분명 세마글루티드)와 정면 승부를 예고한 가운데,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가 GLP-1 파이프라인을 강화하기 위해 20억 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해 눈길을 끌었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중국 상하이에 본사를 둔 생명공학 기업 에코진(Eccogene)과 비만, 제2형 당뇨병 및 기타 심장대사 질환을 위해 개발 중인 차세대 경구용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 1 수용체 작용제(GLP-1RA)인 ECC5004에 대한 독점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9일(현지시간) 밝혔다. 계약 조건에 따라 아스트라제네카는 에코진에 초기 선급금 1억8500만 달러를, 향후 마일스톤으로 최대 18억2500만 달러를 지급한다. ECC5004의 단독요법과 병용요법을 2023.11.11
美FDA, 초희귀 혈액응고질환 치료제로 다케다 '애드진마' 첫 승인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최초로 희귀 혈액응고장애인 선천성 혈전성 혈소판감소성 자반증(cTTP) 치료제를 승인했다. FDA는 cTTP 성인 및 소아 환자의 예방 또는 보충 효소대체요법(ERT)으로 다케다제약(Takeda Pharmaceuticals)의 애드진마(Adzynma)를 승인했다고 9일(현지시간) 밝혔다. cTTP는 혈액 응고 조절 효소를 생성하는 ADAMTS13 유전자 변이로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 효소가 결핍되면 몸 전체의 소혈관에 혈전이 형성된다. 미국에서는 1000명 미만이 앓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증상은 일반적으로 유아기에 발생하지만, 경우에 따라 성인이 돼서 발생할 수 있으며, 임신 중에 처음 나타날 수도 있다. cTTP 환자에서는 심각한 출혈과 뇌졸중, 주요 장기 손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치료하지 않고 방치했을 때 급성 TTP 발생 시 사망률이 90%를 초과한다. cTTP 치료로 결핍되거나 낮은 ADAMTS13 효소를 보충해 2023.11.11
셀트리온헬스케어, 브라질 연방정부 입찰서 3년 연속 '램시마' 수주 성공
셀트리온헬스케어가 중남미 최대 규모의 제약시장인 브라질에서 개최된 인플릭시맙 연방정부 입찰에서 3년 연속 램시마 수주에 성공했다고 10일 밝혔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지난 2년간 브라질 인플릭시맙 시장의 약 60%를 차지하는 연방정부에 램시마를 단독으로 공급해왔으며, 이번 입찰로 내년에도 상반기에만 36만 바이알 규모의 램시마를 공급하게 됐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브라질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연방정부는 물론 주정부 입찰에도 지속적으로 참여해왔다. 2월 미나스제라이스(Minas Gerais)를 시작으로 리우데자네이루(Rio de Janeiro), 에스피리투산투(Espírito Santo) 등 주요 주정부에서 개최한 인플릭시맙 입찰에서도 낙찰에 성공하며 직접판매(직판) 역량을 입증했다. 해당 입찰들을 비롯해 사립 시장에 공급하는 물량까지 모두 포함할 경우, 램시마는 브라질에서 8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램시마SC(피하주사제형)와의 시너지도 가시화될 전망이다. 셀트리온헬 2023.11.10
치료 어렵고 일상생활 영향 큰 부위 아토피피부염, 효과적인 치료제 선택 고려해야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아토피피부염은 우리 몸의 면역 체계 이상으로 발병하는 자가면역 질환으로, 가려움증이 심한 습진 병변이 피부에 생기는 것이 주된 증상이다.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면서 만성적인 경과를 보인다. 피부 질환 중에서도 삶의 질에 부담을 크게 주는 질환으로 심한 가려움증 및 통증 등으로 인해 수면, 일상 기능, 노동 생산성, 감정 상태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아토피피부염 중에서도 일반적으로 치료하기가 좀 더 까다롭고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는 생식기와 손, 머리, 목 등은 병변의 면적은 크지 않아도 환자들의 삶의 질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많은 아토피피부염 환자들이 "얼굴과 손가락 부위 아토피피부염이 특히 심해서 밥 먹을 때 음식을 씹기도 힘들고 무슨 맛인지도 모르겠어요. 손가락 전체에 퍼진 습진 때문에 손이 덜덜 떨리고 수저를 들기도 힘들 지경이에요", "초등학생 아이인데 생식기와 발목 부위에 아토피피부염이 집중돼 아이가 생식기 부위 2023.11.1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