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신경병증 환자들, 사전지식 있어도 막상 통증 생기면 당뇨병과 연관 못시켜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비아트리스 코리아(Viatris Korea)가 9월 통증 인식의 달을 맞아 한국과 이탈리아, 스페인, 말레이시아, 멕시코 5개국 신경병증성 통증이 있는 당뇨병 환자 963명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21일 기자간담회 통해 발표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신경병증성 통증(neuropathic pain, NeP)이 당뇨병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 및 고충을 살피기 위해 마련됐다. 신경병증성 통증(NeP)은 신경의 손상 또는 비정상적인 신경기능으로 인해 3개월 이상 통증이 지속되는 만성 병적 통증이다. 신경병증성 통증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DPN)은 대표적인 당뇨 합병증으로, 국내 당뇨병 환자 33.5%가 겪고 있다.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 환자의 43.1%가 통증을 동반한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painful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pDPN) 환자로 2023.09.21
원치않는 임신의 90% 피임 안했거나 원시적 방법 사용…현대적 피임법 교육·홍보 필요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한국오가논이 20일 여성건강 증진의 일환으로 피임과 난임의 최신 현황과 미충족 수요를 조명하고 질환과 제품 포트폴리오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전하는 ‘Her Health(허헬스)’ 미디어 세션을 열었다. 현재 우리나라의 초저출산, 계획되지 않은 임신과 위기 산모 문제가 여성건강을 넘어 사회의 주요 과제로 자리잡음에 따라, 한국오가논은 피임과 난임에 대한 최신 정보를 전달하고 사회 이슈 해결에 대한 공감대를 넓히고자 이번 미디어 세션을 마련했다. 행사에는 서울아산병원 산부인과 김성훈 교수(대한피임·생식보건학회 회장)와 베스트오브미여성의원의 구화선 원장이 발표자로 참석해 인사이트를 공유했다. 첫 번째 발표자로 나선 김성훈 교수는 ‘피임의 선택지’를 주제로 국내 피임 현황과 피임법의 최신 동향에 대해 설명했다. 피임이란 통상 월경주기법이나 질외사정을 제외한 안전하고 현대적인 피임 도구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만 15~49세 여성 8500 2023.09.20
퍼스트바이오, FB849+키트루다 병용임상 MSD서 무상공급
퍼스트바이오테라퓨틱스(1ST Biotherapeutics)가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경구용 HPK1 저해제 FB849와 MSD의 PD-1 항체 키트루다(Keytruda, pembrolizumab) 병용요법 임상시험에 대한 협력 및 공급계약(Clinical Trials Collaboration and Supply Agreement, CTCSA)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퍼스트바이오테라퓨틱스는 현재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FB849의 임상 1/2상(NCT05761223)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계약에 따라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FB849 단독투여, FB849와 키트루다의 병용투여 시의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 및 항암 예비효과를 평가한다. 임상시험에 사용되는 키트루다는 무상으로 공급받는다. 모집은 하반기 진행될 예정이다. 김재은 퍼스트테라퓨틱스 대표는 “이번 협력을 통해 FB849 개발의 다음 단계를 밟게 돼 매우 기쁘다. 키트루다와의 병용요법이 효과적인 항암 반응을 유도해 진행성 고 2023.09.19
메디데이터, 유한양행 알레르기 신약 임상시험에 환자 중심 전자설문지 ‘eCOA’ 제공
메디데이터는 유한양행이 알레르기 신약 후보물질 1상 임상시험에 환자중심의 임상시험 전자설문지 ‘메디데이터 eCOA’를 도입했다고 19일 밝혔다. 유한양행이 개발중인 'YH35324'는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핵심인자인 ‘면역글로불린E(lgE)’의 몸 속 수치를 낮추는 신약 후보물질이다. 만성 두드러기와 아토피성 피부염 등 lgE로부터 비롯된 대다수의 알레르기를 치료할 것으로 예상된다. 유한양행이 해당 임상시험에서 사용한 ‘메디데이터 eCOA’는 환자, 임상의 및 간병인으로부터 임상시험 데이터를 쉽고 정확하게 수집할 수 있는 전자 설문지 솔루션이다. 환자는 전자 기술을 이용해 임상시험 기간 동안 자신의 건강 관련 정보를 편리하게 작성하고 보고할 수 있고, 연구자와 의뢰사는 환자가 보고한 결과를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수집하고 관리 및 분석할 수 있다. 유한양행이 앞서 임상시험에서 활용 중인 전자임상시험데이터수집 플랫폼 ▲‘레이브 EDC(Rave EDC), 무작위배정 및 임상시험용 의약품 공급 2023.09.19
美 라니 테라퓨틱스, 셀트리온 CT-P43으로 경구형 우스테키누맙 임상 1상 착수
미국 라니 테라퓨틱스가 셀트리온의 CT-P43을 이용한 경구형 우스테키누맙(오리지널 의약품명 스텔라라) 임상 1상에 착수했다. 셀트리온은 라니와 경구형 우스테키누맙과 아달리무맙(오리지널 의약품명 휴미라) 개발을 위한 계약을 체결한 상태로, 라니가 보유한 경구용 캡슐 플랫폼 ‘라니필’을 통해 자사의 항체의약품을 경구형으로도 전달하는 방안을 모색해 왔다. 라니필 기술로 만들어진 경구용 캡슐은 소장(小腸)에서 캡슐이 분해되고 캡슐 내에 있던 용해 가능한 마이크로 니들을 통해 약물이 소장으로 전달돼 혈관으로 이동된다. 경구제이지만 캡슐 내 탑재한 마이크로 니들을 통해 주사제와 유사하게 약물을 전달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셀트리온은 라니의 혁신적 약물 전달 플랫폼이 제품 파이프라인에 보다 폭넓게 적용될 수 있는 잠재성을 가진다고 판단해 임상 결과를 주시하면서 협업 확대 여부를 검토할 예정이다. 이번 임상시험에서 라니는 건강한 참가자 최대 55명을 대상으로 호주에서 진행하는 단일센터(singl 2023.09.19
아일리아 출시 10주년 "4주에서 16주까지 유연한 투여간격…환자 위한 치료 여정 멈추지 않겠다"
바이엘 코리아가 15~16일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에서 항-혈관내피성장인자(anti-VEGF) 치료제 '아일리아(성분명 애플리버셉트)'의 임상적 가치를 조명하는 POWER-PIONEER 심포지엄을 열었다고 19일 밝혔다. ‘최소 4주부터 최장 16주까지, 환자를 위한 멈출 수 없는 아일리아의 치료 여정(Unstoppable joruney for patients with EYLEA Q4 to Q16)‘을 주제로 한 이번 심포지엄은 이틀에 걸쳐 총 네 세션으로 진행됐으며, 국내 안과 전문의 148명이 참석해 아일리아 중심의 최신 망막질환 치료 전략과 임상 사례를 공유했다. 15일 행사에서는 ‘진화하는 치료 패러다임 속 아일리아‘를 주제로 김하경 교수(한림대강남성심병원)와 김중곤 교수(서울아산병원)가 좌장을 맡고 사공민 교수(영남대병원)와 이은경 교수(서울대병원)가 연자로 나섰다. 사공민 교수는 ‘아일리아의 멈출 수 없는 치료 여정: 더 나은 내일을 위한 시도(Unstoppable Jo 2023.09.19
씨엔알리서치, 샤페론·인핸드플러스와 글로벌 임상 수행
씨엔알리서치가 샤페론 및 인핸드플러스와 함께 글로벌 임상시험을 수행하기로 했다고 18일 밝혔다. 샤페론은 아토피피부염 등의 면역질환 치료제와 면역항암 및 항바이러스 치료제를 파이프라인으로 구축하고 있는 면역 조절 플랫폼 전문바이오 신약 개발 회사다. 최근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 ‘누겔’의 미국 임상 2상 계획을 승인받았으며, 씨엔알리서치와 미국 및 국내에서의 임상시험을 진행하게 된다. 아토피 피부염 환자를 대상으로 위약 대비 누겔의 중증도 지수(EASI 점수) 개선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 목표다. 이번 임상시험에는 복약 순응도의 극대화를 위해 인핸드플러스의 인공지능(AI) 스마트워치 기반 복약관리시스템이 활용된다. 인핸드플러스는 임상참가자의 복약 행동 데이터(Real-world Data)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복약 순응도를 최적화할 수 있는 기술을 보유했다. 이번 임상에서 샤페론은 다양한 인종의 피부와 다양한 용량에서의 치료 효과를 시험하고자 하는 만큼, 인핸드플러스의 AI 2023.09.18
알지노믹스, 아태 세포유전자치료제 엑설런스 어워드 유전자치료제 부문 2년 연속 수상
알지노믹스가 14일 싱가포르에서 열린 Cell & Gene Therapy World Asia 2023(CGTWA 2023)의 Asia Pacific Cell & Gene Therapy Excellence Awards(ACGTEA)에서 'Most Promising pipelines – Gene therapies(유전자 치료제 부문 가장 유망한 파이프라인)' 부문상을 2022년에 이어 2년 연속으로 수상했다고 18일 밝혔다. CGTWA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 소재 바이오제약 기업의 세포 및 유전자치료제 대표 기술들을 공유하는 행사다. 알지노믹스는 트랜스 스플라이싱 라이보자임 기반의 유전자치료제 플랫폼 기술과 파이프라인 및 국내 원천 특허권 확보 이후 PCT 및 미국을 포함한 주요 국가에 특허 출원중인 자가 환형화 RNA 기술현황을 소개해, 더욱 발전된 퍼스트인클래스(First-in-class) 플랫폼 기술 보유 기업으로 기술혁신성을 보여줬다는 평가를 받았다. 지난해 식품의약품안전처와 미국 2023.09.18
큐리언트 416억 규모 유상증자 및 무상증자 결정
큐리언트가 18일 이사회를 열고 416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이번 유상증자를 통해 신주 800만주를 주당 5210원에 발행할 예정이며, 기존 주주에게는 1주당 0.6023270453주를 배정하게 된다. 또한 유상증자 직후 1주당 0.30주의 비율로 무상증자를 실시하기로 결정했다. 큐리언트는 이번 증자와 별도로 3자배정 및 전략적 투자 유치 등을 진행하고 있고 연내 기술 이전도 추진하고 있다고 밝히며, ‘자본요건 미충족으로 인한 관리종목 편입에 대한 우려는 실제 일어날 가능성이 없다’고 자신했다. 이번 증자를 통해 모집된 자금은 연내 추진중인 기술이전 이후 2024년부터 차례로 계획되고 있는 대규모 기술이전이 있을 때까지 임상 개발 자금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큐리언트 관계자는 “항암과제들의 임상연구 진행과정에서 뛰어난 데이터를 누적하게 됨에 따라 혁신신약으로서의 경쟁력을 확인하고 있다”면서 “세계적인 항암 연구기관들로부터 공동 임상개발 제안들이 이어지고 있고, 이 2023.09.18
자디앙, 고령 환자서 근육량 저하 없이 혈당 관리 효과 확인
베링거인겔하임과 일라이 릴리는 자디앙(성분명 엠파글리플로진)이 2형당뇨병을 가지고 있는 65세 이상의 일본 노인 환자들을 대상으로(평균 연령 74.1세) 혈당 조절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한 EMPA-ELDERLY 임상연구에서 근육량이나 근력 저하 없이 혈당 조절 효과를 확인했다고 18일 밝혔다. 이 결과는 최근 '당뇨, 비만, 그리고 대사(Diabetes, Obesity and Metabolism, DOM)'에 게재됐다. EMPA-ELDERLY는 일본에서 진행된 연구로, BMI 22kg/m2 이상, 당화혈색소(HbA1c) 7.0~10.0%인 65세 이상 2형당뇨병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연구 결과 자디앙은 52주차에 당화혈색소가 위약 대비 0.57% 감소했으며, 이러한 혈당 감소 효과는 연령, 성별, eGFR 또는 BMI에 관계없이 일관되게 나타났다. 목표 당화혈색소 도달률의 경우, 자디앙은 54.7%(35명)에 달한 반면, 위약은 22.2%(14명)에 그쳤다. 지속 제기되고 있는 2023.09.18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